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2주 안에 반도체 수입에 대한 국가 안보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이 날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의 회담 후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폰 데어 라이엔이 임박한 반도체 관세를 훨씬 더 나은 방법으로 피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조사가 EU가 모든 것을 한꺼번에 해결할 보다 광범위한 무역 협정을 협상하고자 한 핵심적 이유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관세 영향을 피하기 위해 대만 등의 여러 기업들이 미국에서 반도체 제조에 투자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러트닉 美 상무부 장관 "2주내 반도체 조사 결과 나와" [영상]
트럼프 대통령과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EU 수입품에 대해 전면적으로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은 새로운 기본 무역 협정을 발표했다. 15% 관세 부과 대상에는 자동차도 포함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에 의약품과 반도체의 해외 수입에 대한 광범위한 의존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1962년 무역확대법 232조에 따라 실시되는 이 조사는 수입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구리와 목재 수입에 대해서도 무역확대법에 따른 별도의 조사를 시작했다.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부문별 관세도 무역확대법에 따른 조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미국은 대만과 한국에서 수입하는 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전임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회사들의 미국내 생산을 확대하도록 유치하기 위해 칩 및 과학법에 따라 수십억 달러를 지원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