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압박 줄겠지만…셈법 복잡해진 中, 원유 수입 '직격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외교·군사력 중동에 집중
中, 무역 협상 한숨 돌렸지만
원유 수입 절반 이란에 의존
호르무즈 봉쇄 땐 수급 차질
中, 무역 협상 한숨 돌렸지만
원유 수입 절반 이란에 의존
호르무즈 봉쇄 땐 수급 차질
◇원유 수입·일대일로 차질 우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3일 “이번 중동 갈등이 중국 안보·외교 전략에 구조적인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그동안 중동에 쏟아온 경제적 이해관계를 감안하면 파급 효과가 클 것이란 진단이다. 쉬웨이쥔 화난이공대 연구원은 “중동의 불안정은 중국의 대외 투자와 공급망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며 “호르무즈 해협은 중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절반 이상이 통과하는 핵심 해로로, 봉쇄될 경우 에너지 수급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도 큰 충격을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따라 미국의 대이란 제재가 강화되면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 등 국유기업이 이 같은 제재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2023년 중국의 중재로 성사된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국교 정상화도 이번 사태로 무력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이란이 중국의 손을 벗어나면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 전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이란뿐 아니라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등과도 경제 협력을 병행해온 것이 이런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중국의 균형 전략 자체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中 영향력 확대 가능성도
일각에선 이번 사태가 오히려 중국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미국의 외교 전략 초점이 중동으로 이동하면서 중국은 남중국해와 대만 해협 등 태평양 지역에서 해군 활동을 강화하고, 지역 내 영향력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또 이번 공습 자체가 중국의 중동 외교 거점인 이란을 약화시키면서 패권 경쟁에서 미국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미국이 중동에 자원을 집중하면 ‘전략적인 피로’가 생길 수 있고,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은 더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중 무역 협상에도 간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쉬톈천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 수석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군사 개입은 미·중 관세 협상 일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며 “8월 중순으로 예정된 합의 시한이 3개월가량 밀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란 정세의 불안정성은 중국의 원유 교역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스라엘 주재 중국 대사관은 지난 21일 성명을 통해 자국민 약 300명을 이스라엘-이집트 국경을 통해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대사관은 “이스라엘-이란 간 충돌이 격화되며 미사일 공격 범위가 넓어지고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스라엘 내 외국인이 다수 대피했거나 대피 중이며, 육로 국경은 혼잡하고 해외 연결 항공편도 점점 제한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