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가운데, 수출 단가도 9% 이상 하락했다. 지난 3월 12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품목별 25% 관세 조치의 영향이 본격화한 것으로, 국내 철강 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마진을 줄이며 수출을 이어간 결과로 해석된다.

2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3억27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9000만달러)보다 16.3% 감소했다. 수출 단가는 지난해 5월 톤(t)당 1429달러에서 올해 5월 1295달러로 9.4% 하락했다. 올해 월별 수출 물량은 비교적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수출 단가는 5월 들어 급락했다.

대미 철강 수출량은 3월 관세 부과 이후에도 뚜렷한 감소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수출 단가는 1~4월 t당 1500달러 안팎을 유지하다가, 5월에는 1295달러로 지난 4월과 비교하면 불과 한 달 만에 14.6% 하락했다.

이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내 철강 업체들이 단가를 낮춰서라도 수출 물량을 유지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수개월 전 주문이 이뤄지는 철강 업계의 거래 관행상 지난 4월까지는 3월에 부과되기 시작한 미국발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5월부터는 관세 충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지난 4일부터 미국이 한국산 철강에 부과하는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면서 하반기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 인상이 한국산 철강의 가격 경쟁력을 더욱 떨어뜨리고, 미국 내 수요처가 한국산을 대체할 공급처를 물색할 가능성을 키우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효과가 내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다면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철강의 입지는 한층 더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앞서 일본제철은 인구가 줄어드는 자국 시장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판단해 US스틸 인수를 추진한 바 있다.

한국 철강 업체 1·2위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이지만, 상업 생산 개시 목표는 오는 2029년이다. 이런 점에서 당장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된 일본산 철강이 가격과 공급망에서 한국산보다 미국 시장 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러한 여러 여건을 고려할 때, 국내 철강 업계가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 전략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