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비상계엄 및 탄핵 국면에서 '부정선거' 주장을 확산해온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근교 메릴랜드주 옥슨힐에서 열린 미국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연례 행사 계기에 입장 발표 행사를 갖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 비상계엄 및 탄핵 국면에서 '부정선거' 주장을 확산해온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근교 메릴랜드주 옥슨힐에서 열린 미국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연례 행사 계기에 입장 발표 행사를 갖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부정선거' 주장을 확산해온 단체가 미국 대규모 친(親) 트럼프 성향 보수·우파 행사를 무대 삼아 미 측에 동조를 요청했다.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근교 메릴랜드주 옥슨힐에서 열린 미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연례 행사장에 부스를 만들고 자신들 주장을 홍보했다. 행사장 내 별도 공간에서 입장 발표 행사를 갖기도 했다.

입장 발표에는 최원목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류현우 전 주쿠웨이트북한대사관 대사대리, 박주현 변호사 등 한국 측 인사들과 함께, 친트럼프 성향 싱크탱크인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프레드 플라이츠 부소장, 고든 창 변호사, 스티브 예이츠 헤리티지재단 선임 연구원 등이 나섰고 청중과 취재진 등 약 100명이 현장에서 이를 지켜봤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이 2020년 대선에서 패한 뒤 부정선거 주장을 지난해 대선 때까지 쉼없이 제기했다는 점에서 부정선거 주장은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한미 양국 인사들의 1차적 공통분모였다. 또 하나는 '반중(反中)'이었다.

'틱톡금지법'이 지난해 미 의회를 통과한 데서 보듯 미국 정치·사회 영역에 걸친 중국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미국인의 경계심이 고조된 상황 속 부정선거를 주장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한 것을 한국의 부정선거 주장 단체가 적극 활용하는 모습이었다.

최원목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든 세계 어디서든 선거 조작은 진정한 범죄이기에, 적절히 조사돼야 하며, 선거 과정에서 중국의 개입이 있다면 국제적 범죄이기에 중단돼야 한다"며 "윤 대통령이 한 일은 가치있으며, 계속 싸워달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해주면 어떨까 한다"고 밝혔다.

또 고든 창 변호사는 지난해 한국 총선에 중국산 장비와 소프트웨어가 사용돼 결과가 조작됐다는 입증되지 않은 주장을 제기하면서 "선거는 도둑맞았다"고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중국과 북한이 한국의 민주주의를 해치고, 아태지역의 안보를 해치고, 미국을 이 지역에서 축출하려 하고 있다"며 "따라서 선거 부정 문제는 더 큰 안보 도전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CPAC과 미국보수연합(American Conservative Union) 등 미국 보수·우파 단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KCPAC은 지난해 12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그에 따른 탄핵소추 국면에서 윤 대통령의 부정선거 주장을 확산하는 데 주력했다.

다만 미 한인사회에선 첨예하게 입장이 엇갈리는 국내 문제를 놓고 미국 측 영향력 행사를 유도하려는 움직임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나온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