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치 보복은 있어서는 안 되고 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온라인에서는 그가 과거 "정치보복은 공언하는 게 아니라 나중에 몰래 하는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말이 재조명됐다.

이 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정치 보복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할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 "사회 분열을 막기 위해서도 우리 사회가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라도 국민 통합은 당연히 해야 한다"며 "정치 보복 이런 단어조차 없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통합의 가치는 매우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 정치 보복을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며 "정치 보복이라고 하는 개념이 문제인데 정치적 목적으로 부당하게 상대를 압박하는 건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발언에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그가 지난 2022년 대선 후보 당시 유세에서 한 말이 재조명됐다.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집권하면 문재인 정권 적폐 청산 수사를 하겠다"고 말해 파장이 일자 이 대표는 2022년 2월 울산 남구 롯데백화점 광장 유세에서 "정치적 안정이 정말 중요한데 세상에 어떤 대통령 후보가 정치보복을 공언하나"라며 "하고 싶어도 꼭 숨겨놨다가 나중에 몰래 하는 거지 세상에 대놓고"라고 말했다.

이에 같은 진영 내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정운현 전 국무총리는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보도된 대로라면 이 후보는 당장은 정치보복 하겠다는 말하진 않지만 나중에 대통령이 되면 은밀하게 정치보복을 하겠다는 말로 들린다"며 "이 후보가 울산 유세 때 한 말은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 대한 수사는 진행됐으니 이 후보는 숨겨뒀다가 어디에다가 정치보복을 하겠다는 건가"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