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사랑의 날 음악회' 감상문 최우수작…겨울날 온기 전하는 햇살 같은 공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몽구 재단 문화예술 나눔사업
내겐 사실 아픈 부분이 있다. 선천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었는데, 초등학교 3학년이 되던 해에 갑작스레 ‘소아녹내장’ 진단을 받았다. 발견 당시 소아녹내장이 많이 진행돼 두 눈을 모두 수술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엔 생활에 불편할 정도로 시야가 좁아진 상태로 지내야 했다. 의사 선생님으로부터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병을 앓게 됐는지 모르겠다. 완치되기 어렵다’는 절망적인 말까지 들었다. 화가 나고 속도 상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스스로 이 사실을 담담히 받아들이게 됐다.
가끔씩 눈이 불편하다는 사실을 떠올릴 때면 친구들이 날 싫어하지는 않을지, 내 곁을 떠나지는 않을지 불안했고 그런 나 자신이 싫어지기도 했다. 눈이 불편해진 이후 나는 점점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 가는 것을 꺼리게 됐다. 많은 사람이 있는 곳에서 어디가 어디인지 잘 구별하지 못하고 헤매는 내 모습을 들킬까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항상 정신을 바짝 차리고 긴장하지 않으면 넘어지고 다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큰 공연장을 찾는 것은 감히 엄두를 못 냈다.
하지만 나는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연주하는 곡을 직접 듣기 위해 이번엔 큰 용기를 냈다. 무엇보다 내 마음속 또 다른 벽을 극복해보고 싶었다. 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통로를 지나 객석 가운데 있는 내 자리를 직접 찾아 앉아야만 했다. 남들에겐 별 것 아닐 수 있지만 내겐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다. 이런 마음을 아셨는지 담임 선생님은 나와 함께 공연장에 가주셨다. 선생님과 함께 관람했던 이번 공연은 내겐 더욱 특별한 시간이 됐다.
지휘자 해설이 끝나고 공연이 시작되면서 공연장은 어두워졌다. 난 곡을 듣기 위해 조용히 귀를 기울였다.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서곡이 흘러나왔다. 악기를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단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신기해 눈을 더 크게 뜨고 자세히 관찰하려 애를 썼다. 어느 순간부터 눈을 감고 연주를 감상하며 음악과 하나가 된 나를 보게 됐다.
음악을 들으며 이렇게 많은 장면을 생생하게 떠올렸던 적은 처음이어서 그 자리에 앉아있는 것만으로 행복했다. 비록 눈은 불편하지만 내게 이런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귀가 있다는 것에 감사했다. 감미로운 연주소리가 멈추고 준비된 곡이 완전히 끝났을 때 난 옆자리에 있던 선생님과 박수를 치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공연이 끝난 뒤에도 그날의 생생했던 기억은 지금도 뇌리에 박혀 잊히지 않는다.
내게 현대차 정몽구 재단 청소년 문화사랑의 날 음악회는 ‘추운 겨울날 온기를 전하는 따스한 햇살’ 같은 공연이었다.
앞으로도 나와 같은 청소년들을 위해 이런 의미 있는 공연이 많이 열렸으면 좋겠다.
정다원(14·강릉 경포중 2학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