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9P 상승 2480
기관, 하루 6947억 어치 순매수
23개월 만에 최대 규모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한동안 움츠러들었던 한국 증시가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장에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여져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13일 한국을 비롯해 중국, 홍콩H, 대만 자취안 등 상당수 아시아 증시가 동반 상승했다. 최근 강하게 유입되고 있는 기관 자금도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분석이다.
◆4분기 영업이익 크게 늘 듯
이날 코스피지수는 19.55포인트(0.79%) 오른 2480.55에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2048억원어치를 순매도했지만, 기관투자가가 6947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기관의 순매수 규모는 2016년 1월28일(1조6440억원) 이후 23개월 만에 최대치다. 개인은 5119억원어치를 팔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1.50% 떨어졌지만 전체 지수는 올랐다. 566개 종목이 상승했고 244개 종목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11.82포인트(1.55%) 오른 772.22로 마감해 지난 5일 이후 처음으로 770선을 회복했다.
13일까지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윈회(FOMC) 회의를 앞두고 글로벌 증시엔 한동안 경계심리가 고조됐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미국 금리 인상은 시장에서 충분히 예상한 이벤트지만, 과거 금리 인상이 단행됐을 때도 FOMC 회의를 앞두고 경계심리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며 “연말까지는 대외적으로 돌발변수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 안도 장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도 “최근 재닛 옐런 의장의 Fed 발언들을 감안했을 때 금리 측면에서 매파적인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은 작다”며 “글로벌 주식시장은 다시 기업들의 실적에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47조2279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57.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3개월 전 예상치와 비교해도 2.6% 증가했다.
◆기관 이달 1조원 넘게 순매수
삼성증권에 따르면 과거 네 차례 미국 금리 인상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업종은 통신과 정보기술(IT)이었다. 금리 인상 이후 2주일간 평균 1.95%, 1.05% 올랐다. 철강, 정유, 화학업종도 상승세를 보였다.
글로벌 경기민감주인 IT업종의 경우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두고 불확실성이 커지며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가 금리 인상 후 반등폭도 크게 나타나는 흐름을 보였다. 배당성향이 큰 통신주는 최근 네 차례에 걸쳐 이뤄진 미국 금리 인상 중 두 차례가 연말에 이뤄져 배당에 대한 기대 등이 반영됐다.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IT와 통신업종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정다이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연말 차익실현 물량이 나오면서 최근 주가가 하락했던 IT 대형주들이 먼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며 “뉴욕증시에서는 IT업종 반등이 한국보다 먼저 나타났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3개월 전 14조8460억원에서 현재 16조3195억원으로, 이 기간에 9.9% 높아졌다. 반면 주가는 지난달 이후 10.3% 하락했다.
“통상 연말에 배당을 많이 주는 통신주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있다. 이날 SK텔레콤(2.41% 상승), KT(0.98%), LG유플러스(5.05%) 등 통신주들은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외국인의 매도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매년 12월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는 기관 자금이 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기관은 2011년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매년 12월 순매수를 기록했다.
중국 대표 빅테크 알리바바의 주가가 최근 강세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사업이 고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에 투자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중학개미 역시 최근 가장 많이 사들이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알리바바 40% 껑충...중학개미 순매수 1위21일 홍콩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이날 1.98% 상승한 165.10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전날엔 5% 가까이 뛰었다.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할 것이란 전망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이날 주가는 상승 마감했다. 최근 3개월 사이 주가 상승률은 40%를 넘어섰다. 올해 상반기 호실적에 대규모 AI 투자 계획 등이 알려지면서 기대를 키우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10월1일~20일) 국내 투자자들은 홍콩 증시에서 알리바바(1916만1868달러)를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알리바바의 공매도 규모는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공매도는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매수해 갚는 투자 기법인다. 공매도가 줄었다는 것은 주가 상승을 염두한 투자자가 많아졌다는 의미다. 금융정보업체 AAstock에 따르면 전날 알리바바의 전체 거래액 대비 공매도 비중은 13.44%로 지난달 말 15.08%보다 1.64%포인트 감소했다. 지난달 29일엔 공매도 비중이 23%를 웃돌았으나 최근 주가가 소폭 주춤하자 공매도 세력도 약화하는 분위기다.3분기 실적은 다음달 중순께 공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분기 알리바바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한 2476억5200만위안을 기록했다.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 매출이 같은 기간 26% 늘었다. 올해 3분기 실적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이 큰 폭의 개선세를 보일 것이
미국 2위 철강사인 클리블랜드클리프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희토류 확보를 위한 광산 개발에 뛰어든다. 정책 수혜 기대로 이 회사 주가는 하루 만에 21% 이상 급등했다.◇미네소타·미시간 등 희토류 부지 확인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20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희토류 개발 계획을 처음 공개했다. 로렌코 곤살베스 최고경영자(CEO)는 “희토류 원소의 전략적 가치 증대가 광산 포트폴리오 내 잠재력을 재검토하게 했다”며 “이는 기회이자 우리의 책무”라고 밝혔다.1800년대 설립 당시부터 철광석 광산을 기반으로 한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그동안 쓰지 않던 부산물 등에서 희토류 채취가 가능한지 분석해왔다. 이에 따라 희토류 확보가 가능한 지질로 나타난 미네소타주와 미시간주 등 두 곳에서 생산 가능성을 검토한다는 구상이다.이날 콘퍼런스 콜에서 희토류 생산을 위한 수직계열화 계획을 묻는 질문에 곤살베스 CEO는 “초기 연구 진행에 따라 채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스텔코 등 자회사를 통해 캐나다에서의 협력 기회가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확보 가능한 원소에 대한 질문에는 “상업적 실행 가능성을 평가 중”이라며 구체적인 자원량은 공개하지 않았다.클리블랜드클리프스가 희토류를 생산하면 USA레어어스 등 개발 중인 업체보다 속도 면에서 앞설 수 있다. 환경 영향 등을 감안한 합법적인 철광석 광산, 이른바 ‘브라운필드’ 방식으로 기존 광산 채굴 장비와 인력, 전력을 포함한 인프라를 활용해 새로운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광산 부산물과 폐기물을 재처리하는 공정만 추가하면 되
미국 증시에서 최근까지 폭등세를 이어온 양자컴퓨터 관련주가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 노벨상 수상 소식으로 과열된 투자심리가 식으면서다. 양자컴퓨터 주도권이 빅테크로 넘어갈 것이란 전망이 영향을 미쳤다.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아이온Q는 4.77% 떨어진 59.94달러에 마감했다. 지난 13일 사상 최고가인 82.09달러를 기록한 이후 닷새 연속 하락했다. 디웨이브는 10.25% 급락한 34.40달러, 리게티컴퓨팅은 6.62% 내린 43.31달러로 마감했다.노벨상 수상으로 주목받은 양자컴 기술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알고리즘을 해독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며 매수세가 몰렸다. 하지만 기술 상용화가 여전히 먼 데다 빅테크가 양자컴 분야에 뛰어들면서 ‘버블 붕괴’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이번 조정은 JP모간체이스의 대규모 기술 투자 발표와 맞물려 있다. JP모간은 앞서 미국의 경제 안보와 산업 회복을 위해 10년간 1조5000억달러 규모를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주요 투자 분야 중 하나로 양자컴퓨팅을 꼽았다. 당시 양자컴퓨팅 관련주가 상승세를 탔지만 결과적으로 빅테크가 수혜를 누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이혜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