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에서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은 60대 환자가 80분 넘게 병원을 찾다가 가까스로 이송됐지만, 치료 중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23일 창원소방본부와 진해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8시 24분께 창원시 진해구 회현동에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를 건너던 60대 여성 A씨가 직진하는 1t 화물차에 치여 크게 다쳤다.신고를 받은 119구급대는 약 2분 만에 현장에 출동해 출혈 증세를 보이던 A씨를 응급처치하면서 이송 병원을 찾았지만,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이후로도 계속 이송 병원을 찾은 구급대는 80여분이 지나 A씨를 받아줄 수 있다는 창원의 한 병원으로 A씨를 이송했고, A씨는 병원 치료 중 사고 이튿날인 지난 15일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통상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골든타임(적정시간)은 발생 후 1시간 이내로 본다. A씨는 병원 선정 과정에서 이미 골든타임을 놓친 셈이다.한편, 경찰은 A씨를 친 1t 화물차 운전자 B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치사 혐의로 입건해 정확한 사고 경위 등을 조사 중이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보험 가입 직후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사고를 잇달아 당해 크게 다친 친오빠를 방치해 숨지게 한 여동생에게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대구지법 서부지원 형사1부(도정원 부장판사)는 유기치사, 사기 등 혐의로 기소된 A씨(47·여)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A씨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7건의 사고를 당해 위중한 상태에 빠졌던 친오빠 B씨를 대구 소재 집 안에 방치한 채 제대로 돌보지 않아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지적장애인인 B씨는 여러 차례 사고를 당하면서 안구 손상, 안와골절, 늑골 다발성 골절 등의 병원 진단을 받았지만, 제대로 된 치료는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B씨는 2014년 8월 상태가 위급해지자 응급실로 옮겨졌지만, 다음날 사망했다. 당시 B씨는 제대로 서 있지 못하고 대소변도 가릴 수 없는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검찰은 B씨가 각종 사고를 당하기 직전 본인 명의로 5개 보험에 가입한 점 등으로 미뤄 A씨가 보험금을 노리고 고의로 방치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고 보고 징역 7년을 구형했다.재판부는 "일부 혐의에 대해 입증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면서 "유기치사와 일부 사기 등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한다"고 판시했다.한편, 당시 함께 범행을 저질러 구속기소 됐던 A씨의 남편 C씨(48)는 2017년 선고 직전 보석으로 풀려난 뒤 현재까지 도주 상태다.이후 이들 부부의 재판을 미뤄온 법원은 지난 7월 A씨에 대해서만 재판을 재개해 이날 선고를 내렸고, C씨 재판은 수사기관이 소재를 파악하기 전까지 선고를 미루는 영구미제 사건으로 회부를 검토 중이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두 번째 심의가 불발됐다.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223회 회의를 열고 계속운전 허가안을 심의·의결 안건으로 다뤘지만,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규정을 놓고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차기 회의에 안건을 재상정해 계속 심의하기로 했다.앞서 원안위는 지난달 25일 222회 회의에서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과 계속운전 허가를 논의했으나 추후 재논의하기로 했고, 이날 재상정된 사고관리계획서는 표결을 거쳐 오후 4시 의결했다.다만, 계속운전 허가안에 대해서는 고시에 있는 '운영 허가 이후 변화된 방사선환경영향평가'라는 문구를 놓고 위원들 간 충돌이 이어졌다.방사선환경영향평가는 원전 운전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고리 2호기 건설 및 운영 허가 당시 허가서류가 아니었다. 하지만, 1982년 관련법 개정으로 허가 서류가 됐다.이에 한국수력원자력은 새로 방사선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해 평가서를 제출했다.이와 관련 진재용 위원은 "운영 허가 당시와 변화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기수 위원은 "이미 다 달라진 것을 전제로 해 최신 자료로 평가한 것인 만큼 실익이 없다"면서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는 의견을 냈다최원호 원안위 위원장은 "규정의 취지는 최신 환경에 대한 평가를 충실히 하라는 의미로 이해한다"면서도 "변화된 정도는 보여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타당하게 보인다"면서 "허가 당시 부지 특성이나 인구 등 주변 환경 파악할 수 있는 기존 서류를 참고 자료로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한수원이 원안위에 계속운전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