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가 미국 프로축구(MLS)팀 LAFC와 파트너십을 맺고 K팝과 스포츠가 만나는 K-컬처 축제를 만든다. LAFC는 손흥민 선수가 뛰고 있는 팀으로, 하이브가 미국 프로축구팀과 파트너십을 맺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하이브는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오는 29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BMO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아우디 2025 MLS컵 플레이오프' 첫 홈경기에서 K-컬처 행사를 후원한다. 이 행사는 로스앤젤레스와 한국의 문화적 유대를 조명하고, 현지 스포츠팬들에게 K-컬처의 매력을 소개하기 위해 기획됐다.로스앤젤레스는 미국 내에서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하이브와 LAFC는 이번 행사를 통해 경기장을 찾은 팬들에게 한국 문화·음악·커뮤니티가 어우러진 몰입형 K-컬처 축제를 선보일 계획이다.우선 LAFC의 홈구장인 BMO 스타디움에서 경기 중 K팝이 배경 음악으로 재생되고, 방탄소년단, 세븐틴, 캣츠아이 등 하이브 뮤직그룹 아티스트의 음악에 맞춘 라이트쇼가 펼쳐질 예정이다. 2만2000석 규모의 BMO 스타디움은 제이홉,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등 아티스트의 공연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관중들은 팔찌형 응원밴드, 레이저, 불꽃을 음악과 연동한 연출로 K팝 응원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현장에는 현지 인기 한식당들이 코리아타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퓨전 한식도 선보인다.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음악과 스포츠의 공통점은 언어와 지역을 초월해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힘이 있다는 것"이라며 "한국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로스앤젤레스에서 LAFC 및 MLS와 첫 협업을 하게 돼 뜻깊게 생각하며, 현지 팬들과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수 있어 기
가만 생각해보면 인간이 서로 마주해 이야기를 주고받는 ‘대화’는 정말로 마법 같은 행위다. 서로 차례를 지켜가면서 이야기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도의 신경 메커니즘이 동원돼야 한다. 상대방이 하는 말을 듣고 빠르게 이해해야 하고, 동시에 어떤 말을 건넬지 생각하면서 입을 떼야 한다. 두 사람 사이의 대화에서 교대하는 순간을 ‘턴’이라고 부르는데, 영국의 언어학자인 스티븐 C. 레빈슨의 연구에 따르면, 턴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평균 0.2초다. 한 사람의 말이 끝나고 상대방이 말을 이어받기까지 걸리는 시간 ‘0.2초.’ 이 짧은 시간 동안에 우리 머릿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최근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대화의 0.2초(会話の0.2秒)>는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놀라운 언어의 세계로 안내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언어학 전공자이자 출판사 편집자, 그리고 36만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유튜버로 ‘느슨한 언어학 라디오’를 진행하며 지식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미즈노 다이키(水野太貴)가 썼다.저자는 머리말에서 말귀를 알아듣지 못해 면접에서 떨어진 자신의 흑역사를 공개하며 책을 시작한다. 한창 취업 활동을 하던 시절, 한 출판사 면접에서 “지금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은 미즈노는 “최근 대학을 은퇴한 은사를 만나고 싶다”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분위기는 갑자기 찬물을 끼얹은 듯 썰렁해졌고, 얼마 지나지 않아 면접관은 “아니 그게 아니라…….”라고 하면서 당황스러워했다. 출판사 면접에서 만나고 싶은 사람을 묻는 질문에 대한 바람직한 답은 무엇이었을까? 긴장한 까닭에
와인 애호가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 '와인킹'(본명 이재형). 구독자 68만 명(24일 기준)을 보유한 세계 1위 와인 유튜버다.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 등 유럽 3개국에서 와인마케팅, 포도재배학, 와인양조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그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와인 전문가다. 그러나 와인을 설명할 때 지식보다 '경험'을 앞세운다는 점이 그의 채널을 특별하게 만든다. 비싸고 어려운 술이라는 선입견 대신, 누구나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술로 와인을 소개한다. 또 생산자 중심의 평론이 아니라 소비자 관점에서 솔직하게 평가하고 추천하는 방식이 시청자의 호응을 이끌었다.무엇보다 그의 콘텐츠가 눈길을 끄는 이유는 '언어'에 있다. 여덟 개 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그는 현지어로 와인을 주문하고, 사람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며 한 잔을 나누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담아낸다. 그렇게 와인을 낯선 이들도 편히 즐길 수 있는 문화로 끌어내렸다. 1000만 조회수를 기록한 '프랑스 식당에서 무시당했을 때 대처법', 와인 최고 권위 자격자인 마스터 오브 와인(MW)과 함께한 저가 와인 시음 영상 등이 대표적이다. 전 세계 와인 유튜버 가운데 최초로 50만 구독자를 돌파한 그는 최근 '구매 전 시음이 가능한' 와인 숍 '와인무'를 열어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활동을 넓히고 있다.그런 그가 이번에는 와인이 아닌 '언어 학습법'을 들고 독자를 찾았다. 신간 <와인킹의 8개 국어>는 서른 살이 다 되어 처음 외국어 공부를 시작해, 10년 만에 여덟 개 언어를 유창하게 익힌 그의 여정을 담았다. 대다수의 한국인은 영어를 십수 년 배우고도 막상 외국인 앞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