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을 4개월 앞두고 간경화를 앓는 아버지에게 자기 간을 떼어준 효자 아들의 사연이 전해졌다.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은 지난 7월 28일 이대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아들의 간을 이식받은 48세 남성 환자 A씨가 건강을 회복했다고 밝혔다.경기도 일산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해 11월 간경화(간경변증) 진단을 받았다.간경화는 (간염) 바이러스, 알코올, 약물 등으로 장기간에 걸쳐 간세포가 서서히 파괴되고 간 조직이 딱딱해지는 병이다.A씨는 진단 직후 정기적으로 이대서울병원에서 치료받았지만, 병세는 급격히 나빠져 간에 복수가 차고 간 이식 외에는 선택지가 없는 상태까지 악화했다.공여자가 급히 필요했던 와중 A씨의 아들인 17세 B군이 자발적으로 이식을 자청했다. B군은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관련 학과 진학을 목표로 2026학년도 대입 수능 시험을 준비 중이었다.수능을 4개월 앞둔 B군은 홍근 이대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의 집도 하에 무사히 아버지에게 간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홍 센터장은 "아버지와 아들의 혈액형이 달라 아버지에게 전처치 중 감염 증상이 발생했지만, 항생제 치료 이후 상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이식 수술을 진행했고 두 분 모두 건강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B군은 의료진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면서 "남은 기간 열심히 준비해서 수능시험도 잘 치르겠다"고 말했다.아버지 A씨는 "수능을 앞둔 아들에게 힘든 일을 겪게 해서 너무 미안했는데 아들이 오히려 아빠를 다독여 고민 없이 수술을 빨리 받도록 해줬다. 아들을 생각해서라도 빨리 회복해 힘이 돼주겠다"고 말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
MZ세대 사이에서 '눈 근접 샷(MZ샷)'이 새로운 밈(meme)으로 떠오르고 있다.눈썹 바로 위, 속눈썹과 홍채가 또렷이 드러날 만큼 카메라를 가까이 대고 찍는 사진으로, 마치 인형처럼 큰 눈이 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눈이 커 보인다", "인형처럼 나온다"는 후기가 이어지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확산하고 있다.◇"썸남·썸녀에게 보낼 인형 사진"... 밈이 된 'MZ샷'21일 유튜브 등 각종 SNS에는 이미 "MZ샷 잘 찍는 법", "망한 MZ샷 모음" 등 영상이 줄줄이 올라오고 있다. 실제 눈 근접샷은 단순히 예쁜 사진을 남기려는 목적을 넘어, 하나의 밈으로 소비되고 있다.인스타그램과 유튜브, 틱톡에는 '썸남썸녀 꼬실 수 있는 요즘 mz샷 찍는 법', '썸녀랑 잘된다는 인형 눈 사진' 같은 제목의 영상이 넘쳐난다. 단순한 셀카 팁을 넘어, 일종의 연애 전략처럼 소비되고 있다.유튜버 '투데이뷰티팁'이 올린 "눈 2배 샷 찍는 법" 영상은 조회수 97만 회를 기록했다. 영상 속에서는 카메라를 코앞까지 들이대고 눈을 살짝 치켜뜨는 방식으로 "인형 눈 효과"를 극대화하는 법이 소개된다이외에도 관련 영상 조회수는 100만 회에서 1000만 회를 오가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괴물처럼 찍혔지만 재밌다"... 실패조차 즐기는 Z세대 직접 따라 찍은 사람들의 후기도 유쾌하다. 찍는 방법을 소개한 영상에는 "예쁘게 찍히기가 어렵다", "여러 번 시도했는데 계속 실패한다", "실패했지만 나름대로 매력 있어 얼굴 사진으로 바꿨다", "이 사진의 준비물은 예쁜 눈" 등 반응이 이어진다.직장인 김
한국 미술품 거래시장이 서서히 활력을 되찾고 있다. 불황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퍼지며 경매시장을 중심으로 김환기, 이우환, 천경자, 김창열, 우국원 등 ‘블루칩’ 작가들의 작품이 잇달아 출품되고 있다. 올초 기대 이하의 낙찰가로 거래된 김환기의 회화가 9개월 만에 다시 등장했고, 주요 작가의 작품이 서울옥션과 케이옥션 무대에 오른다.케이옥션은 오는 29일 서울 신사동 본사에서 10월 경매를 연다. 총 88점, 약 106억원 규모의 이번 경매는 국내 컬렉터가 선호하는 근현대 거장들의 작품으로 채워졌다. 이 중 김환기의 ‘무제’가 주목된다. 화면 중앙의 푸른 점을 중심으로 점과 선, 면이 어우러진 이 작품은 뉴욕 시기(1960~1970년대) 양식의 정수를 보여준다. 지난 1월 같은 경매에서 7억8000만원에 거래된 이 작품이 다시 출품된 것은 시장 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하반기 들어 ‘팔릴 작품은 팔린다’는 분위기도 힘을 보탰다. 지난달 케이옥션 경매에서 이중섭의 ‘소와 아이’(35억2000만원), 박수근의 ‘산’(12억원)이 낙찰돼 반등의 신호탄을 쐈다. 상반기 10억원 이상 낙찰작이 단 한 점뿐인 점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회복세다.이번 경매에는 김환기 외에도 이우환 ‘바람과 함께 S8708-5’(사진), 박서보 ‘묘법 No.150218’, 천경자 ‘자바의 여인’, 김창열 ‘물방울 PA83032’ 등 블루칩 작가의 주요작이 대거 포함됐다. 천경자와 김창열은 각각 서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전시가 열려 주목도가 높다.서울옥션도 28일 신사동에서 제187회 미술품 경매를 연다. 총 112점, 약 83억원 규모로 하이라이트는 김환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