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의 품종은 참굴, 토굴, 바위굴, 벚굴 등 다양하지만 국내에서 소비되는 굴은 대부분 참굴(pacific oyster)이다. 제철은 10월부터 이듬해 3월이며 5~9월 산란기에는 풍미가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먹지 않는다. 주산지는 통영, 거제, 고성 등이다. 참굴은 양식화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크기는 패각 기준 5~15cm 정도인데 크기와 모양이 일정하지 않다. 굴은 kg 단위로 판매한다. 껍데기를 깐 생굴은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상품화 과정에서 150g, 250g, 350g, 500g 등 작은 단위로 나누기도 한다. 올해 작황은 지난해보다 좋다. 작년에는 폭염이 매우 심해 조개류 생육 환경이 나빴다. 태풍이 큰 변수인데 아직은 이렇다할 위험요인이 없다. 가격은 23일 첫번째 경매가 열리는데 작년과 비슷하게 시작될 것 같다. 통영 굴 경매는 주간 4~5일, 하루 2번 진행된다. 일단은 작년과 비슷한 가격에서 시작하겠지만 1주일 쯤 지나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공급상황은 좋아졌어도 굴은 시즌 초반에 수요가 한번에 몰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깐 굴 소매가 기준으로는 100g에 2000원 안팎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굴은 껍데기가 없이 편하게 먹을 수 잇는 생굴(깐굴)의 판매가 강세를 보이나 최근에는 젊은 세대를 위주로 플레이팅에 용이한 반각석화(반만 깐 굴) 판매가 조금씩 오르는 추세다. 이마트는 국내 유통업계에서 굴의 가장 큰손이다. 생굴 기준으로 한 해에 750톤 가량을 판매한다. 껍데기를 포함하면 5000톤 정도 될 것 같다. 굴을 매입하기 위해 주산지는 거의 다 다녀가는 편인데 여수, 사천, 고흥, 남해, 부산을 오가기도 하고, 김장용 작은 굴 매입을 위해 서해안(태안, 안산,
신기술 소재 전문기업 아이엘이 32억9000만원 규모의 전환사채(CB) 소각을 결정했다고 24일 발표했다.부채비율을 낮추고 주식 전환에 따른 오버행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회사는 이번 결정을 통해 재무 건전성과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동시에 드러냈다.이번에 소각하는 전환사채는 2023년 9월에 발행한 150억원 규모의 5회차 전환사채 중 22%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만기일자는 2026년 9월 20일이며, 사채 소각 예정일은 오는 10월31일이다.전환사채 소각은 부채총액이 감소하면서 부채비율이 낮아지고 이자비용 부담이 줄어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버행 리스크까지 완화될 수 있어 기존 주주들의 지분가치 희석을 줄일 수 있다.이번 결정은 확보한 재무 여력을 기반으로 아이엘의 미래 성장에 대한 자신감과 주가 부양 의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행보로 평가된다. 회사는 하반기 경영활동에 집중하는 동시에, 이번 소각 이후에도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송성근 아이엘 대표는 “아이엘은 모빌리티 분야에서 실리콘 렌즈 기술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하며 가시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며 “이번 전환사채 소각은 단순한 조치가 아니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말했다.아이엘은 최근 아이엘셀리온의 천안 스마트팩토리 이전을 통해 그룹 차원의 원스톱 생산체제를 완성했다. 전고체 배터리 사업도 본격화하고 있는데, 아이엘이 연구 중인 전고체 배터리 기술은 리튬을 기반으로 한다. 리튬 전고체 배터리는 물질의 에너지
전문가들은 공모 형태로 애니메이션 제작을 지원하는 현행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콘텐츠진흥원의 제작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작품은 6~12개월 안에 완성해야 한다. 하지만 공모 지원 때 제시한 목표 분량만큼 작품을 제작하지 않아도 중간평가 단계에서 일정 분량만 채우면 지원금을 보전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나리오 단계부터 최종 완성까지 수년이 걸리는 애니메이션 특성을 고려해 예산 지원 요건을 완화한 것을 악용해 단물만 빼먹는 ‘체리피커’가 양산되기 쉬운 구조인 셈이다.제작 업체의 재무 건전성보다 작품의 예술성을 중시하다 보니 제작사 재정난으로 작품이 완성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강문주 애니메이션제작협회장은 “공모작 심사위원들도 어떤 콘텐츠가 흥행할지 장담할 수 없다 보니 가능한 한 많은 작품을 선정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이 때문에 ‘나눠먹기식 지원’을 하는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정부의 장편 애니메이션 지원사업은 2023년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콘텐츠진흥원으로 주관 주체가 바뀐 뒤 제작비 30억원을 넘지 않는 애니메이션만 지원하고 있다. 지원 규모도 작품당 최대 8억원에 그친다.김남희 애니메이션산업협회 부회장은 “기존 영화발전기금으로도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해 경쟁력 있는 업체가 양질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원종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