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증권주는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실적 개선 규모가 크지 않고,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끌어올릴 만한 정책 모멘텀도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정태준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13일 보고서를 내고 이러한 의견을 밝혔다. 정 연구원은 "최근 코스피는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에 힘입어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지만, 주요 증권사의 주가는 7월 기록했던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며 실적이 개선되는 폭은 주가 상승으로 설명할 수 있을 만큼 크지 않고, 밸류에이션 배수를 추가로 끌어올릴 정책 모멘텀은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또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올해 주요 증권사의 12개월 선행 주당순자산가치(BPS)는 크게 오르지 않았지만,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뛰어올랐다. 정 연구원은 "실적이 (주가 상승에) 기여한 바는 크지 않고, 대선 전후 나타난 다양한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하지만 기대감을 모았던 정책 상당수가 현실로 반영돼 관련 모멘텀은 약화했다고 판단했다. 정 연구원은 "3차 상법개정안 표결이 남았지만, 현실화하면 시장에서는 모멘텀 소멸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자기주식(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3차 상법 개정안을 올해 내 처리할 계획이다.정 연구원은 향후 주가 향방은 주주환원책에 달려있다고 봤다. 그는 "3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 주요 동인은 누가 얼마나 실적을 잘 내는가가 아닌, 누가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 개선 방향을 내놓는가에 달려있을 것"이라며 "2분기 모든 증권사가 좋은 실적을 기록했지
BNK투자증권은 미국의 성장주와 한국의 반도체주에 대해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최고 수준까지 올라 시장 대비 초과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13일 분석했다.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주들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017~2018년의 ‘반도체 빅사이클’ 시기의 수준을 넘어섰다”며 “2000년 이후 코스피 대비 반도체주의 상대강도도 80에 육박했다”고 말했다.이어 “이성적인 투자자라면 추격 매수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수준”이라며 “코스피 대비 추가적인 아웃퍼폼(초과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트레이딩에 집중하는 게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덧붙였다.미국의 성장주도 마찬가지라고 BNK투자증권은 평가했다. 역시 밸류에이션의 2000년 전후의 ‘닷컴버블’ 시기의 수준을 넘어섰다는 것이다.김 연구원은 “1995년 1월을 기준으로 미국의 성장주는 2531% 상승했고, 가치주는 567% 올랐다”며 “성장주와 가치주의 지수 대비 상대강도는 각각 79.8과 20.2”라고 설명했다.미국 성장주의 후행 PBR도 13.9배로, 1999년 12월의 직전 고점(13.1배)를 넘어섰다. 주가매출비율(PSR) 역시 현재 6.5배로, 닷컴버블 시기은 2000년 6월의 3.9배를 훌쩍 뛰어넘고 있다.김 연구원은 “기업 실적 전망이 양호한 상황이라 현재의 밸류에이션이 유지되고 있다”면서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편입 종목들의 12개월 선행 PER이 1991년 이후 평균의 2표준편차에 도달했다는 점은 부담”이라고 말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iM증권은 13일 대한항공에 대해 "올 3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5000원은 유지했다.이 증권사 배세호 연구원은 "지난해 9월 추석 연휴에 따른 기저효과와 단거리 중심의 경쟁 강도 강화로 국제선 여객 운임이 크게 하락하며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iM증권은 대한항공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31.5% 증가한 6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29.6% 감소한 4687억원으로 추정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전망치를 24% 밑도는 수준이다. 다만 4분기 여객 실적은 반등할 것으로 배 연구원은 전망했다. 10월 연휴 시즌과 함께 방한 중국인이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배 연구원은 "단기적인 실적 둔화와 화물 부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최근 주가 흐름은 부진하다"며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장거리 부문 수익성 강화, 엔진 유지·보수·정비(MRO), 항공우주사업 부문 경쟁력 증대 등 투자 포인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