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경기 고양 뉴코리아CC(파72) 9번홀(파4). 최혜진이 페어웨이에서 친 세컨드샷이 핀 30㎝에 붙자 갤러리의 환호가 쏟아졌다. 결과는 컨시드 버디. 김효주는 그런 최혜진을 바라보며 환하게 웃었다. 스웨덴의 마야 스타크와 린 그랜트 조를 상대로 3홀 차로 앞서간 두 선수가 승리를 확신한 순간이다.이날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국가대항전인 한화 인터내셔널크라운(우승상금 50만달러·총상금 200만달러) 첫날 조별리그 1차전 포볼(2인 1조 팀이 각자의 공으로 경기해 더 좋은 성적을 기록) 경기에서 ‘롯데 자매’ 김효주·최혜진 조가 스타크·그랜트 조를 상대로 2홀 남기고 3홀 차 압승을 거둬 승점 1점을 안겼다.고진영·유해란 조의 무승부(0.5점)까지 더한 한국은 B조 공동 1위(승점 1.5)로 대회를 출발했다. 리디아 고(뉴질랜드) 브룩 헨더슨(캐나다) 찰리 헐(잉글랜드) 슈웨이링(대만) 등 4개국 선수 연합으로 출전한 월드팀도 일본을 상대로 1승1무(승점 1.5)를 기록해 한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7년 만에 정상을 꿈꾸는 한국은 월드팀(24일), 일본(25일)과 차례로 맞붙는다. ◇LPGA 유일 국가대항전2014년 창설된 인터내셔널크라운은 올해로 5회째다. 이번 대회에는 한국 미국 일본 호주 태국 스웨덴 중국 그리고 월드팀(다국적) 등 8개 팀이 참가했다. 국가별 세계랭킹을 기준으로 4명이 한 팀을 이뤄 싸우는 국가대항전이다.팀전인 만큼 대회 방식은 복잡하다. 8개 팀이 A, B조로 나뉘어 사흘간 조별리그를 치른다. 조별리그는 두 차례 포볼 경기를 치러 승리 1점, 무승부 0.5점, 패배 0점으로 승점을 부여한다. 준결승부터는 같은 팀 선수 2명이 공 하나를 번갈아 치는 포섬 매치 1경
내년 정규투어 시드 확보를 향한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선수들의 처절한 생존 경쟁이 2주간 펼쳐진다.24일부터 사흘간 전남 나주 해피니스CC(파72)에서 펼쳐지는 광남일보·해피니스오픈과 오는 30일부터 나흘간 제주 엘리시안제주(파72)에서 열리는 에쓰오일 챔피언십(이상 우승상금 1억8000만원·총상금 10억원)은 중위권 선수들에겐 마지막 기회다. 에쓰오일 챔피언십까지 상금랭킹 60위 이내에 들어야 내년에도 시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60위 밖으로 밀려나면 ‘지옥’이라고 불리는 시드전에 끌려가야 한다. 시드전은 다음달 11일부터 나흘간 전남 무안CC에서 열린다. 여기서도 20위권에 들지 못하면 내년엔 드림(2부)투어로 강등된다.내년 풀시드 확보를 위한 커트라인인 60위에 걸려 있는 선수는 김우정이다. 그는 올 시즌 1억6003만원을 벌었다. 61위 최예본(1억5867만원)과의 격차가 136만원이다. 작년 상금 61위 홍진영(1억6152만원)도 60위 한지원(1억6678만원)보다 526만원이 모자라 시드전에 나섰다.2019년 신인왕이자 통산 4승을 기록 중인 조아연도 안심할 수 없는 위치다. 그는 지난주 상상인·한경 와우넷오픈에선 1라운드가 끝난 뒤 부상을 이유로 기권했다. 상금을 추가하지 못했기에 순위는 3계단 하락한 58위(1억6223만원)가 됐다. 이번 주 대회에서도 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60위권 밖으로 밀려날 확률이 높다. 이세희도 최근 2개 대회 연속 출전권을 얻지 못해 순위가 57위(1억6333만원)까지 추락했다.통산 6승을 자랑하는 이소영도 2016년 KLPGA투어에 데뷔한 이후 처음으로 내년 시드를 잃을 위기다. 2022년 8월 이후 3년 넘게 우승 소식을 전하지 못한 그는 올 시즌 27개 대회에서 단 한
9년 만에 국내 무대에 출전한 김시우(사진)가 32m 칩인 이글에 힘입어 우승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다.김시우는 23일 충남 천안 우정힐스CC(파71)에서 한국프로골프(KPGA)투어와 DP월드투어가 공동 주관해 열린 제네시스 챔피언십(우승상금 68만달러·총상금 400만달러) 1라운드에서 이글 1개, 버디 2개, 보기 2개를 묶어 2언더파 69타를 쳤다. 6언더파 65타로 공동 선두인 김민규, 리하오퉁(중국)과는 4타 차. 남은 사흘간 충분히 역전을 노릴 수 있는 위치다.미국프로골프(KPGA)투어 통산 4승을 자랑하는 김시우는 2016년 10월 현대해상 최경주인비테이셔널 이후 9년 만에 국내 팬 앞에 섰다. 첫날 경기를 마친 김시우는 “한국에서 정말 오랜만에 경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며 “내 경기를 처음 보는 한국 팬도 있을 텐데 의욕이 앞선 탓인지 오히려 잘 안 맞은 것 같다”고 말하며 웃었다.이날 10번홀(파4)에서 출발한 김시우는 11번홀(파4)과 13번홀(파3)에서 징검다리 보기를 범하며 흔들렸다. 다행히 14번홀(파4)에서 약 6m 버디퍼트를 떨어뜨려 바운스백에 성공했고, 18번홀(파5)에서도 버디를 추가해 잃었던 타수를 모두 만회했다. 김시우는 “아침 일찍 10번홀에서 출발해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다”며 “드라이버샷은 괜찮았는데 아이언샷이 생각한 것만큼 잘 안 맞아 힘들었다”고 돌아봤다.마지막 2개 홀을 남길 때까지 타수를 줄이지 못하던 김시우는 8번홀(파5)에서 짜릿한 이글을 터뜨려 반등했다. 페어웨이 200m 거리에서 5번 우드로 친 세컨드샷이 그린 주변 러프에 떨어졌다. 핀과의 거리는 32m. 그런데 김시우의 어프로치샷이 그대로 홀로 빨려 들어갔다. 그는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