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경비까지 감안해도 한국에서 치료받는 게 미국 병원비보다 저렴합니다."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세인 가운데 단순 관광을 넘어 뷰티-의료 서비스를 겸한 'K-의료관광' 수요도 늘고 있다. 이 같은 의료관광 유형은 일반 여행 대비 체류기간이 길고 소비 여력이 크다는 점에서 성장성이 크다.2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방한객은 1238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시기 직전인 2019년을 넘어섰다(107.9%). 방한객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는 K콘텐츠 인기가 꼽힌다. 지난 6월 공개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전 세계적 인기로 콘텐츠 속 한국 문화를 직접 체험하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최근에는 한복 체험과 고궁 관람에 그치지 않고 김밥, 컵라면 등 F&B(식음료)를 즐기거나 올리브영, 다이소 등에서 한국인 일상을 따라해보는 여행 트렌드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체험형 여행 수요는 K-뷰티와 K-의료관광으로 확장하는 추세다.일례로 세계적 셀럽이자 사업가인 킴 카다시안이 한국의 피부과를 찾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심이 한층 높아졌다. 퍼스널 컬러 분석과 뷰티숍 방문을 비롯해 피부과와 성형외과까지 경험하면서 K-의료를 체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의료 행위를 받은 외국인 환자는 2020년 11만7069명에서 지난해 117만467명으로 10배가량 늘었다. 국내에서 미용·성형 시술을 받은 외국인 관광객에는 부가가치세를 환급하는데 올
"사람이 아니다. '숨듣명(숨어서 듣는 명곡)'이 숨 막히게 듣다가 명 짧아지는 노래인 것 같다."40년 커리어를 지닌 가수 임재범은 '싱어게인4' 심사위원석에서 걸그룹으로 활동한 적 있는 어린 무명 후배의 무대를 보고 이같이 평가했다.그룹으로 활동할 당시 발표했던 곡을 홀로 완창하며 퍼포먼스까지 해낸 '67호 가수'의 모습에 심사위원 전원의 극찬이 쏟아졌다. 호평을 받은 해당 무대는 이후 시청자들 사이에서 거듭 회자되며 200만뷰에 달하는 클립 영상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다.이 밖에도 61호 가수의 '나비효과', 37호 가수의 '홍대 알앤비', 65호의 '프롬 마크', 55호 가수의 '일종의 고백', 59호의 '세월이 가면' 등 여러 무대의 클립 영상이 빠른 속도로 조회수 100만회를 돌파하며 화제성을 자랑했다."또 오디션이야?"라며 피로감을 호소하던 대중의 분위기가 최근 사뭇 달라졌다. '싱어게인4' 외에 발라드를 주력으로 내세운 '우리들의 발라드'도 인기를 얻고 있다.'우리들의 발라드'는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 기준 전국 시청률이 6%를 찍었으며, 넷플릭스 '오늘 대한민국의 TOP 10 시리즈' 최고 순위 2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프로그램이 입소문을 타며 온라인 누적 영상 조회 수는 총 1억뷰를 돌파했다.음악 시장이 아이돌 위주로 재편되면서 가장 외면받았던 장르로 손꼽혔던 게 발라드였던 점을 감안하면 '우리들의 발라드'의 활약은 더욱 뜻깊다.'발라드 황제' 신승훈은 컴백 기자간담회에서 "K팝의 위상이 높아져서 너무 좋다"면서도 "구조상 많이 쏠려 있다 보니까 각 장르에서 음악 하는
으르르르르렁!으리으리한 저택 안, 두꺼운 나무 문 저편에서 무시무시한 짐승의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집주인 부부를 비롯해 그 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모두 두려움에 떨었습니다. 방 안에서 마치 갇혀 있는 맹수처럼 바닥을 기어 다니는 그것의 정체는…. 집주인이 초대한 화가, 안토니오 리가부에(1899~1965)였습니다. 그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뒤틀린 얼굴을 보며 맹수처럼 울부짖고, 동물의 몸짓을 흉내 내면서 그림을 그리고 있었습니다. 이때까지 늘 그랬던 것처럼요.독특하고 강렬한 화풍의 화가 리가부에는 오늘날 이탈리아에서 가장 사랑받는 20세기 작가 중 한 명입니다. ‘이탈리아의 반 고흐’가 그의 별명입니다. 리가부에의 삶은 여러 편의 영화와 책으로 만들어졌고, 이탈리아 파르마에는 작품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도 있습니다. 2020년에는 그의 생애를 다룬 영화 ‘히든 어웨이’가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곰상 경쟁 부문에 오르며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기도 했습니다.하지만 이런 영광과 대조적으로, 그는 삶의 대부분을 철저히 배척당하며 살았습니다. 미치광이, 짐승, 야만인이라고 불리면서요. 그는 어떤 사람이었고, 왜 이런 방식으로 그림을 그려야만 했을까요. 리가부에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길 잃은 원시인세상에 처음 왔을 때부터 리가부에는 그 누구의 환영도 받지 못했습니다. 그는 1899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아버지를 모르는 사생아로 태어났습니다. 태어난 직후부터 리가부에는 각종 발작과 질병에 시달렸고, 어머니는 불과 6주 만에 그를 버렸습니다. 안 그래도 아픈 아기였던 리가부에는 이때 겪은 영양 결핍으로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