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결의 이기업 왜이래’는 선한결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한경닷컴 사이트에 먼저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먼저,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국내 개인투자자들이 해외 주식 중 가장 많이 보유한 테슬라가 지난 22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한 것을 전후로 월가와 국내 증권가에선 가지각색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자율주행과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신사업 기대를 두고 전망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세액공제 놓치기 싫어'…선구매 수요에 매출 증가테슬라는 올 3분기 매출이 280억9500만달러(약 40조480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약 11.6% 증가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으로 시장 컨센서스(263억7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올 1·2분기엔 연속으로 매출이 줄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중 자동차 부문은 작년 3분기 200억달러에서 6% 늘어난 212억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약 75%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세액공제 만료를 앞두고 차량 수요가 일시적으로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전기차 한 대당 최대 7500달러까지 지원한 세액공제를 지난 9월30일 종료했다. 세액공제를 받으려는 소비자들이 '선구매'에 나서면서 테슬라의 올 3분기 차량 인도량은 49만7099대로 작년 3분기 대비 7% 늘었다. 에너지 생산·저장 부문 실적도 좋았다. 테슬라는 데이터센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태양광 발전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이 부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34억2000
오랜만에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CPI) 데이터는 '관세 인플레이션은 없다'라는 걸 보여줬습니다. 상품 물가는 관세 효과로 오름세를 보였지만, 서비스 물가는 수요 둔화로 안정세를 보이며 상품 물가를 상쇄했습니다. 그렇다고 미국 경제가 크게 둔화하는 것도 아닙니다. S&P글로벌의 구매관리자지수(PMI) 조사를 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확장 국면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경기 침체가 없는 상황에서 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가 이어질 수 있는데요. 과거 이런 상황은 증시에 매우 좋았습니다. 24일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운 배경입니다.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뿐 아니라 미·중 정상회담,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실적 발표 등 빅 이벤트가 줄줄이 이어집니다. 이들 이벤트가 긍정적으로 마무리된다면, 계절성이 개선되는 11월부터는 연말 랠리가 나타날 것이란 희망이 큽니다. 1. 인플레 없는 9월 CPI…10월 이어 12월도 금리 인하미국의 9월 CPI가 예정보다 열흘가량 늦게 발표됐습니다. 데이터는 월가 예상보다 훨씬 좋았습니다.헤드라인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0% 상승했습니다. 지난 8월(0.4%, 2.9%)과 비교하면 전년 대비로는 올랐지만, 전월 대비로는 둔화한 것이고요. 월가 예상(0.4%, 3.1%)보다 낮았습니다.음식물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한 달 전보다 0.2%, 1년 전에 비해 3.0% 오른 것으로 발표됐는데요. 8월(0.3%, 3.1%)이나 월가 컨센서스 예상치(0.4%, 3.1%)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에너지 물가가 한 달 만에 1.5% 올라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의류 +0.7%, 가전 +0.5%, 오락용품 +0.4% 등 관세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하지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사상 최고가로 마감됐다.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밑돌자,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면서다.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72.51포인트(1.01%) 오른 47,207.12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3.25포인트(0.79%) 상승한 6,791.6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63.07포인트(1.15%) 뛴 23,204.8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3대지수 모두 장중 신고가와 종가 기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물가 상승세 둔화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미 노동부가 발표한 9월 CPI는 전월 대비 0.31%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인 0.4% 상승, 전월의 0.38% 상승을 모두 밑돌았다.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의 물가를 나타내는 근원 CPI는 0.23% 상승했다. 연율 기준으로 보면 미 Fed의 연간 물가상승률 목표치에 근접한 수준이다.특히 좀처럼 상승세가 꺾이지 않던 주거비도 전월 대비 0.2% 상승하는 데 그쳐 2021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는 데 시장은 주목했다.노스라이트 자산운용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Fed가 금리를 인하하고 있고 이번 보고서는 25bp 인하를 막을 이유가 전혀 없다"며 "기업 이익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강세장이 중단될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분석했다.유동성 확장 기대감 속에 시가총액 1조원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들이 대부분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2.25%, 브로드컴은 2.86%, 알파벳은 2.67% 상승했다. 테슬라만 3.4% 하락했다.반도체섹터도 강세였다. 구글이 엔트로픽에 수백억달러 규모의 TPU를 주문했다는 풍문이 사실로 확인된 덕이다. 또 IBM이 A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