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북 공유 하천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 물을 재차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기후에너지환경부 등 당국이 19일 밝혔다. 연천군 필승교 수위는 하천 행락객 대피 기준인 1m를 넘었다.기후부는 황강댐 방류 여부를 확인하고자 위성영상으로 접경지역을 감시 중으로, 이날 오후 3시께 북한이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북측은 10일부터 비가 계속 내리고, 17∼18일에도 강우가 이어져 홍수 조절 용량 확보를 위해 황강댐을 비운 것으로 추정된다.한강홍수통제소에 따르면 남측에서 임진강 최북단인 연천군 필승교 수위는 이날 7시 전후로 하천 행락객 대피 기준인 1m를 넘었다.북측은 이번에도 방류를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 2009년 9월 북한이 통보하지 않고 황강댐에서 물을 내보내면서 임진강 하류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같은 해 10월 남북이 황강댐 방류 시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으나 북측은 2013년을 끝으로 합의에 따르지 않고 있다.정부는 임진강 유역을 필승교 수위에 따라 4단계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필승교 수위가 1m를 넘어서면 하천 행락객 대피, 2m는 비홍수기 인명 대피, 7.5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관심 단계, 12m는 접경지역 위기 대응 주의 단계가 각각 발령된다.이승환 기후부 수자원정책관은 "이달 12일 황강댐 방류 징후를 포착한 후 북측이 황강댐 수문 개폐를 반복하고 있는 만큼, 하류에 피해가 없도록 필승교 수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과 함께 철저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시스타 출신 가수 소유가 외항사 이용 중 기내서 인종차별을 당했다고 밝혀 공분을 사고 있다.소유는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뉴욕 스케줄을 마치고 경유로 애틀랜타→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면서 "너무 피곤한 상태에서 식사 시간을 확인하려고 한국인 승무원을 요청했을 뿐인데, 사무장은 제 태도를 단정하며 저를 문제 있는 승객처럼 대했고 갑자기 시큐리티까지 불렀다"고 전했다.소유는 "제가 문제라면 내리겠다는 말까지 해야 했고, 이후 비행 내내 차가운 시선과 태도를 견뎌야 했다"면서 "그 순간 '이게 인종차별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15시간 넘는 비행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했고, 그 경험은 인종적 편견에서 비롯된 깊은 상처로 남았다"고 설명했다.이어 "아무도 인종 때문에 의심받거나 모욕당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소유가 공유한 티켓에서는 '델타항공' 로고가 보였다.앞서 지난 2023년 8월 혜리도 외항사의 갑질에 피해를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퍼스트 클래스 좌석을 예약했지만, 환불 조치도 없이 이코노미 좌석으로 강제로 다운그레이드 당했다는 것이었다.혜리는 티켓 일부를 찍은 사진과 함께 "한 달 반 전에 예약하고 좌석까지 미리 지정했는데 퍼스트 클래스 좌석이 없다고 이코노미로 다운 그레이드. 환불도 못해주고 자리가 마음에 안 들면 다음 비행기 타고 가라는 항공사"라며 "심지어 두 자리 예약했는데 어떻게 둘 다 다운 그레이드 될 수가 있나. 너무나도 황당한 경험 여러분은 조심하시길"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때도 혜리가 이용한 항공사는 델타항공이었다. 당
인천국제공항을 터뜨리겠다는 협박 글의 게시 명의자가 울산에 거주하는 10대로 파악됐다. 다만 명의자가 협박 글을 작성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어 경찰은 명의도용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19일 울산 북부경찰서·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45분께 "인천공항을 터뜨리러 가겠다"는 글이 119 안전신고센터에 게시됐다. 자신을 '촉법소년'이라고 소개한 글 작성자는 "아이폰은 (디지털) 포렌식도 못 한다"며 "돈을 이체하지 않으면 김포공항까지 폭탄을 설치하겠다"고 특정 계좌번호를 게시글에 함께 적었다.경찰은 신고와 함께 입력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토대로 게시글 명의자를 울산 북구에 사는 10대 A군으로 확인했다. 다만 경찰 조사에서 A군은 "내가 쓴 글이 아니다"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해당 게시판에는 별도의 본인인증 없이도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알면 누구나 글을 올릴 수 있다. 경찰은 글이 올라온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토대로 실제 작성자를 쫓는 한편, A군이 임의 제출한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진술의 사실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경찰 관계자는 "명의도용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