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증권은 23일 SK하이닉스에 대해 올해 4분기부터 범용 메모리 상승 사이클의 본격적인 실적 반영이 시작될 전망으로, 다시 한 번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36만원에서 61만원으로 대폭 상향했다. 현재 SK하이닉스 주가는 전날 종가 기준 48만1500원이다.이 증권사 차용호 연구원은 "3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25조원, 영업이익 11조6000억원으로 시장 추정치(컨센서스) 매출액 24조7000억원, 영업이익 11조3000억원을 웃돌 전망"이라며 "3분기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출액은 8조2000억원으로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달 중순부터 시작된 범용 메모리 상승 사이클로 출하량과 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다"고 말했다.범용 메모리 사이클이 당장 이번 3분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다. 차 연구원은 "3분기 호실적 발표 이후 '셀온(호재 속 주가하락) 우려'는 단기적인 요인에 불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은 HBM 경쟁 심화 등으로 회사의 HBM 영업이익률이 올해 65%에서 내년 61%로 둔화할 전망이지만, 범용 메모리 상승 사이클이 4분기까지 지속되며 컨벤셔널 디램(Conventional DRAM)의 영업이익율이 올해 50%에서 내년 59%로 개선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낸드(NAND)도 회사의 경쟁사 대비높은 쿼드레벨셀(QLC) 비중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올해 9%에서 내년 22%로 개선될 전망"이라고 했다.차 연구원은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 2.3배로 밴드 최상단이어서 과거 기준으로 보면 부담이 느껴질 수준"이라며 "하
NH투자증권은 23일 전날 LG화학 주가 급등과 관련해 "자회사 지분 가치 상승과 이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이 증권사 최영광 연구원은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전기차(EV) 수요 둔화에 따른 업황 부진을 벗어날 수 있는 돌파구로 부각되는 중"이라며 "LG화학의 양극재 케미스트리는 (리튬인산철)LFP가 아닌 니켈코발트망간(NCM)으로 직접적 수혜는 없지만 ESS 배터리 판매 증가가 예상되는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지분가치 상승에 따른 간접적 수혜가 가능하다"고 했다.이어 "LG화학이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 지분가치에 대해서는 중복상장에 따른 할인이 불가피한데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가치 제고 권고안을 제시한 점은 비효율적 자산의 효율적 활용 가능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할인율 축소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중장기 관점에서 이 같은 자산 효율성 제고 요구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실제 지난 1일 LG화학은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 지분 2.46% 처분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자금 조달 계획을 공시했다.최 연구원은 "향후 추가적인 지분 유동화 계획이 발표될 경우 할인율 추가 축소 또는 비효율적으로 배치된 자산의 효율적인 재배치를 통한 재무구조와 현금흐름 개선, 주주환원 강화 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한국투자증권은 23일 LIG넥스원에 대해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 사업 매출 증가로 2028년 이후까지 이익 개선이 이어질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올렸다. 목표주가는 58만원으로 제시했다.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23조5000억원으로, 수출 사업 비중이 55% 이상으로 파악된다”며 “수익성 높은 수출 사업의 매출이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LIG넥스원은 올해부터 UAE로의 천궁-2 수출 사업의 매출을 인식한다. 이에 더해 내년부터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사업의 매출도 순차적으로 늘어날 예정이라고 한국투자증권은 설명했다.장 연구원은 “수출 사업의 양산 매출 인식 기간을 5년 이상으로 추정하기에, 이익 개선은 2028년을 넘어서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LIG넥스원은 3분기 매출 1조510억원, 영업이익 779억원의 실적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한국투자증권은 추정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2%와 49.9% 증가할 것이란 추정치다. 영업이익 추정치는 현재 집계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792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