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차 핵실험땐 추가 제재" … 韓 "무기실은 북한 선박 검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인 탕자쉬안 국무위원이 19일 오전 평양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면담,6자회담 복귀를 촉구한 데 이어 한·미·일 3국이 대북 제재 방안을 본격 조율함에 따라 북핵 사태가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아소 다로 일본 외상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북한 핵실험 이후 처음으로 3국 외무장관 회담을 열고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3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핵실험에 따라 3국이 집단 안보체제의 혜택과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고 대북 지원 프로그램의 조정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을 통한 국제협력을 확대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미국과 일본은 대북 봉쇄조치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우리 정부는 유엔 결의에 따라 정부의 금강산관광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대북 반출 물자에 대한 검사를 강화키로 했다.
반 장관은 아울러 남북 해운합의서를 통해 무기를 실은 북한 선박을 검색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이미 마련돼 있다고 미·일에 설명한 뒤 PSI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입장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스 장관은 노무현 대통령도 예방했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방한에 앞서 일본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추가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는 추가 조치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와 미국 국내법에 근거,대북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일본은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할 경우 대북 봉쇄에 가까운 새로운 제재 결의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도 18일 ABC 방송과의 회견에서 북한이 핵무기를 이란이나 테러조직인 알카에다에 팔려 한다면 중대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시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를 이전하려고 한다는 첩보를 입수하면 북한 핵물질을 실은 배나 항공기에 적절히 대응해 이를 중단시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김홍열 기자 janus@hankyung.com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아소 다로 일본 외상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북한 핵실험 이후 처음으로 3국 외무장관 회담을 열고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3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핵실험에 따라 3국이 집단 안보체제의 혜택과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고 대북 지원 프로그램의 조정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을 통한 국제협력을 확대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미국과 일본은 대북 봉쇄조치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우리 정부는 유엔 결의에 따라 정부의 금강산관광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대북 반출 물자에 대한 검사를 강화키로 했다.
반 장관은 아울러 남북 해운합의서를 통해 무기를 실은 북한 선박을 검색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이미 마련돼 있다고 미·일에 설명한 뒤 PSI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입장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스 장관은 노무현 대통령도 예방했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방한에 앞서 일본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추가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는 추가 조치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와 미국 국내법에 근거,대북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일본은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할 경우 대북 봉쇄에 가까운 새로운 제재 결의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도 18일 ABC 방송과의 회견에서 북한이 핵무기를 이란이나 테러조직인 알카에다에 팔려 한다면 중대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시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를 이전하려고 한다는 첩보를 입수하면 북한 핵물질을 실은 배나 항공기에 적절히 대응해 이를 중단시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김홍열 기자 janu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