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사태 이후 일본 내 핵무장 논의가 본격화돼 파문이 커지고 있다.

18일 오후 열린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외상 간 회담에서도 대북 제재 협력 방안과 함께 아시아 지역의 핵 확산 문제가 논의됐다.

지난 9일 북한의 핵 실험 후 일본 당정 고위 인사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핵무장 논의를 꺼내들었다.

강경파인 나카가와 쇼이치 자민당 정조회장은 15일 "핵 보유를 둘러싼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 핵무장론에 불씨를 지폈다.

나카가와 정조회장은 "일본 헌법은 핵 보유를 금지하지 않는다.

핵을 보유하면 공격 당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반격할 수도 있다는 논리가 가능해진다.

일본이 고수해 온 비핵 3원칙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 논의하자"고 말했다.

그의 발언이 일본 안팎에 파문을 일으키자 아베 신조 총리는 이튿날 중국 공산당 왕자루이 대외연락부장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일본은 핵무기를 갖지 않는다.

안심해도 좋다"고 해명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아소 다로 외상은 라이스 장관의 방문에 앞서 18일 오전 열린 중의원 외무위원회 답변에서 이러한 입장에 동의하는 발언을 다시 꺼내 핵무장 논란을 확산시켰다.

아소 외상은 "이웃 나라가 (핵무기를) 갖게 됐을 때 (일본이 핵보유 여부를) 검토하는 것도 안 된다,의견 교환도 안 된다는 것은 하나의 생각이기는 하지만 논의를 해 두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측의 핵무장 논의는 미국과의 '동맹 관계'나 현행 헌법상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핵무장을 이슈화해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경계감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또 북핵 사태로 인한 '안보 위기'를 극대화해 재무장이 용이하도록 발판을 마련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일본이 미국으로부터 구입을 원하는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 첨단 무기의 대량 구매를 위한 대미 카드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본의 핵무장이 현실적으로 어렵더라도 북핵 사태의 발전추이에 따라 언제든 이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도쿄=최인한 특파원·이심기 기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