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암학회에서 한미약품이 미래 먹거리를 잇달아 발표했다.한미약품은 24일(현지 시간) 표적단백질분해제(프로탁)과 표적 항암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결과를 ‘AACR-NCI-EORTC 2025’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한미약품이 프로탁 후보물질을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미의 첫 표적단백질분해제 공개되다한미약품의 첫 프로탁 후보물질의 표적은 EP300이라는 핵 속 단백질이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설계도라 할 수 있는 DNA가 리보핵산(RNA)으로 전사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정상세포에서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EP300과 CBP가 모두 정상적으로 존재해 어느 한쪽이 망가지더라도 RNA 전사가 원래대로 이뤄진다. 한미의 프로탁은 CBP가 훼손된 암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EP300 단백질을 분해하면 EP300과 CBP가 모두 사라져 암세포가 RNA를 전사하지 못하고, 그 결과 생존과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해 죽게 되는 원리다.이전에도 저분자화합물로 EP300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EP300과 CBP의 구조가 유사해 둘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 다 제거하게 되면 정상세포도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해 죽게 된다.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뜻이다.이용택 한미약품 표적항암팀 연구원은 “세포실험을 통해 프로탁이 EP300만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CBP는 그대로 둔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동물실험에서도 프로탁을 투여한 쥐의 체중이 감소하지 않아 큰 부작용 없이 암세포만 제거한 것을 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한미약품의 EP300 프로탁은 아직 국내외 통틀어 임상에 진입한 약물이 없어 유력한 ‘퍼스트 인
“출연연 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돼도 현장에서 활용되지 않고, 기술이전률도 급락했습니다.”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기술사업화 부진이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기술이전조직(TLO) 활성화와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기술이 산업으로 이어지는 ‘넥스트 스텝’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22개 출연연을 전수 조사한 결과 미활용 기술이 2021년 398건에서 올해 689건으로 73% 증가했고 상용화된 기술은 640건에서 431건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또 기술이전률이 같은 기간 64.5%에서 36.8%로 급락했다고 지적했다.기관별 기술이전률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5.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1%, ETRI 8.56% 등 한자릿수 전후에 머물렀다. 국내 가장 오래된 출연연구기관인 KIST조차 이전 실적이 급감했다.이 의원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개발된 월드와이드웹(WWW)은 공공이 개발한 기술이 인류의 생활을 바꾼 대표적 사례”라며 “팀 버너스리 박사가 연구원 신분으로 웹을 만들고, CERN이 이를 전 세계에 개방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이어 “우리 출연연도 공공 연구기관으로서 기술이 산업 현장으로 흘러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지적에 공감한다”며 “기관별 예산과 역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4월 출연연 총괄 TLO를 출범시켰고, 향후 기술 수요–공급 간 미스매치를 줄이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
코스닥시장 상장사 클래시스가 남미 최대 미용 의료기기 유통그룹인 JL헬스를 인수한다고 24일 밝혔다.클래시스는 100% 자회사인 클래시스브라질을 통해 JL헬스 지분 77.5%를 인수한다. 인수 자금은 182억7000만원이다. 자금은 전액 클래시스 보유 현금을 활용해 조달한다.JL헬스는 브라질 미용 의료기기 시장의 최대 유통기업인 메드시스템스를 비롯해 이와 연계된 교육·금융서비스 법인을 소유하고 있다. 메드시스템스의 지난해 매출은 1350억원,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69억원이다. 클래시스에 따르면 JL헬스의 기업가치는 약 1000억원으로 평가됐다. 다만 순차입금이 767억원에 달해 비교적 낮은 취득 금액이 결정됐다.클래시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브라질 내 미용 의료기기 직판망 구축에 나선다. 브라질 내 1만5000개 이상의 병원과 에스테틱 스파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는 메드시스템스를 활용해 마진율을 높이고, 제품 간 교체 판매와 결합 시술 마케팅 등 기존 대리점 체제에서 펼치기 어려웠던 영업전략을 실행할 계획이다.브라질은 클래시스의 글로벌 매출(1638억원)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다. 클래시스의 울트라포머(국내명 슈링크) 시리즈는 남미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시장에서 독보적으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주파(RF)기기 볼뉴머도 현지 시장에 나와 있으며, 향후 차세대 마이크로니들 RF 제품과 레이저기기 등을 추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백승한 클래시스 대표는 “이번 인수를 통해 고성장하는 브라질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선두주자 자리를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오현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