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지난 6일(현지시각) 독일 뮌헨공항 활주로 인근에서 드론 비행 금지를 경고하는 표지판이 서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6일(현지시각) 독일 뮌헨공항 활주로 인근에서 드론 비행 금지를 경고하는 표지판이 서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일(현지시각) 저녁 세계 최대 규모 맥주 축제 옥토버페스트를 맞아 붐비던 독일 뮌헨 공항은 때아닌 ‘드론(무인기) 출몰’에 활주로를 폐쇄했다. 출국장에 발 묶인 승객들은 공항이 제공한 간이침대에서 담요를 덮고 밤을 지샜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5일 공영방송 아에르데(ARD) 인터뷰에서 드론을 날린 배후로 “러시아가 의심된다”고 했다.

#드론 공포는 덴마크에선 ‘일상’이 됐다. 9월22일 밤 코펜하겐 공항 활주로 상공에 대형 드론이 떠 공항이 멈춘 뒤 9월27일까지 엿새 동안 전국에서 500여건의 드론 목격이 경찰에 접수됐다. 대부분은 오인 신고였다. 9월26일엔 시민들이 밤하늘 금성을 러시아 드론으로 신고하면서 빌룬 공항이 20분간 폐쇄될 정도였다.

프랑스 일간 리베라시옹은 “덴마크·독일 공항 상공서 미스터리 드론들이 포착된 뒤 유럽 전역을 휩쓴 ‘공황의 바람’은 러시아와 그 동맹국들이 민주주의 세계를 흔들기 위해 벌이는 ‘하이브리드 전쟁’의 빛나는 승리”라고 썼다.

광고

러시아의 하이브리드 전쟁 위협이 우크라이나를 넘어 유럽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전쟁이란 기존 재래식 무기 공격을 벗어나 드론과 해킹·인프라 파괴·심리전 등 온갖 수단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도발을 뜻한다. 서방에선 러시아의 저의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럽의 관심 분산이라거나, 향후 나토(NATO) 국가를 향한 전면 침공의 전초전이라는 등 해석이 분분하다.

공중·해상·사이버공간 넘나든 도발

러시아발 하이브리드 전쟁이 서방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받은 건 9월9일 러시아제 드론 19대가 폴란드 영공에 침입하면서다. 폴란드군은 최소 3대를 격추했는데, 나토 회원국이 러시아 군용기를 영공에서 격추한 건 1949년 나토 창설 이후 처음이었다. 이후 루마니아·덴마크·노르웨이·체코 등 러시아에서 비교적 가까운 동·북유럽 국가들은 물론, 독일·벨기에 등 서유럽에서도 조종자를 알 수 없는 드론이 공항·군 기지 위로 연일 목격되고 있다.

광고
광고

르피가로에 따르면, 러시아 시사 라디오 콤메르산트에프엠(FM)의 칼럼니스트 드미트리 드리제는 뒤이은 유럽 사회의 혼란을 두고 “군대를 배치하고 핵 삼위일체(대륙간탄도미사일·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전략폭격기)를 가동할 필요가 없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작은 드론이 사고로든 아니든 길을 잃으면 유럽 전체가 공황에 휩싸인다”고 조롱했다.

프랑스 사법 당국이 지난달 27일 프랑스 서부 연안에서 나포한 베냉 국적의 유조선 보라카이호의 지난 2일 모습. 이 배는 러시아 ‘유령 선단’으로 유럽연합 등의 제재를 받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프랑스 사법 당국이 지난달 27일 프랑스 서부 연안에서 나포한 베냉 국적의 유조선 보라카이호의 지난 2일 모습. 이 배는 러시아 ‘유령 선단’으로 유럽연합 등의 제재를 받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 도발은 공중에 그치지 않는다. 최대 1000척 규모로 추정되는 러시아 ‘유령 선단’이 대표적이다. 유령 선단은 러시아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제재를 피하기 위해 운영하는 배다.

광고

프랑스 사법 당국은 9월27일 프랑스 서부 연안에서 베냉 국기를 단 유조선 보라카이호를 나포했다. 유럽연합(EU)의 제재 목록에 올라있는 이 배는 애초 목적지인 인도로 가던 중 항로를 꺾어 생나제르 앞바다 해상풍력단지에 머물러 있었다. 프랑스 당국은 이 선박이 9월22일 코펜하겐에 드론을 날린 ‘발사대’로 쓰였을 수 있다고 의심한다. 핀란드·스웨덴에선 러시아와 연관된 유령 선박이 닻을 늘어뜨려 해저 케이블을 손상시킨 사례가 보고됐다.

프랑스 해군 출신 군사 분석가 스테판 오드랑은 한겨레에 “유령 선단의 여러 선박들은 전자기 신호 수집, 군사 시설 감시, 해저 케이블 등 해저 인프라 위협 등에 쓰인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며 “이들은 다른 나라 깃발을 걸고 있어 공격이 러시아 소행이라 입증하는 게 매우 어려울 수 있다”고 짚었다.

해킹 역시 유럽을 긴장시킨다. 독일 공공조달 포털 누리집은 친러시아 해커 그룹 ‘노네임057’의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으로 약 1주일 간 마비됐다가 14일 복구됐다고 쥐트도이체차이퉁(SZ)이 보도했다. 해커들은 독일이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어트 방공 시스템을 공여한 데 대한 앙갚음으로 공격했다는 단서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디지털 방어 보고서에 따르면 올 들어 나토 회원국을 향한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은 1년 새 25% 늘었다.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보안국(MI5)의 엘리자 매닝엄-불러 전 국장은 최근 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등의 수위를 고려하면 “영국은 이미 러시아와 전쟁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며 “이는 다른 형태의 전쟁이지만, 적대 행위와 사이버 공격, 물리적 공격, 정보 활동 등이 광범위하게 행해진다”고 경고했다.

광고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군 방공부대의 포화를 뚫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공습하는 러시아군 드론.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군 방공부대의 포화를 뚫고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공습하는 러시아군 드론. 로이터 연합뉴스

유럽은 ‘다층 방어’ 골머리

하이브리드 도발은 방어하는 쪽에 다층적이고 값비싼 준비 태세를 강요한다. 지상전 위주 재래전보다 막아야 할 영역이 훨씬 넓어지는 데다, 누가 어떤 의도로 공격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드론의 경우 기존 방공망으론 오래 대처하기 힘들다. 100만유로를 호가하는 공대공 미사일 등으로 2만유로짜리 이란제 러시아군 샤헤드 드론을 격추하는 건 타산이 안 맞는 탓이다. 도심에서 저공 비행하는 소형 드론에 미사일을 쏘면 파편으로 2차 피해가 날 수 있다. 레이저를 쏴 드론의 전자장치를 태우거나 그물을 단 드론으로 적 드론을 포획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지만 나토에 실전 배치된 기술은 아니다.

이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027년까지 러시아 드론 침입을 차단할 ‘드론 장벽’을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지상 센서와 위성 감지 시스템을 활용한 탐지망을 마련한 뒤, 추적·요격 체계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그러나 회원국마다 계획에 대한 온도차가 크다. 노르웨이부터 폴란드까지 3000km 넘는 유럽연합 동부 국경을 막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이 원인이다.

16일(현지시각)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운데) 등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벨기에 브뤼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위 대비태세 로드맵 2030’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유럽연합 동부전선 등에 ‘드론 장벽’을 가동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유럽 드론 방어 이니셔티브’가 여기에 담겼다. AFP 연합뉴스
16일(현지시각)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운데) 등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벨기에 브뤼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위 대비태세 로드맵 2030’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유럽연합 동부전선 등에 ‘드론 장벽’을 가동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유럽 드론 방어 이니셔티브’가 여기에 담겼다. AFP 연합뉴스

한 프랑스군 관계자는 르피가로에 “마지노선을 다시 만들 순 없다”고 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이 프랑스군의 마지노선 요새를 우회해 파리로 쳐들어왔듯, 러시아가 해상 발사 등으로 드론 장벽을 손쉽게 무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탈리아 등 남유럽 국가들 역시 동유럽이 우선 수혜를 보는 계획을 못마땅해 한다. 반면 폴란드는 유럽 동쪽 국경에 드론 방어선을 세우지 않는 건 “무책임한 일”이라며 초조해한다.

러시아엔 분열이 희소식이다. 프랑스·독일 등 서유럽 강대국이 동유럽 방위에 인색한 모습을 보이면, 동유럽에서 유럽연합·나토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알렉산더 바우노프 카네기 러시아유라시아센터 선임연구원은 르피가로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연합 안에서 서방의 연대에 대한 의구심을 심어주려 한다”고 해석했다.

유럽연합 싱크탱크인 유럽외교협회(ECFR) 라파엘 로스 연구원 역시 르몽드에 러시아 도발이 “동맹국 간의 위험 감수 정도와 적절한 대응에 대한 견해 차를 드러냈다”며 “나토 32개 회원국 간 합의 부족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에겐 중대한 승리가 될 것이며, 동맹을 결정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추가적인 파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벽 구축이 실현되더라도 유럽의 우크라이나 지원 여력이 분산되는 건 불가피하다. 크리스텐 미할 에스토니아 총리는 1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연합 정상회의에서 “푸틴은 우리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우크라이나를 돕는 데 대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몰아내는 데 대해 이야기하지 않고 우리 자신(의 안보)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원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15일 벨라루스 중부 바리사우에서 열린 ‘자파드 2025’ 군사훈련에서 러시아·벨라루스 국기가 걸린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15일 벨라루스 중부 바리사우에서 열린 ‘자파드 2025’ 군사훈련에서 러시아·벨라루스 국기가 걸린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나토 전면침공의 서곡?

서방에서는 하이브리드 공격이 유럽을 향한 대규모 재래식 침공을 위한 ‘간보기’라는 분석마저 쏟아진다. 러시아가 서방 반응을 관찰하며 전력과 단합력을 시험한다는 얘기다.

예컨대 나토는 러시아 드론의 폴란드 월경 때 F-16·F-35 전투기와 공중 조기경보기·패트리엇 미사일을 총동원하면서 핵심 방공 전력을 노출했다. 우크라이나군은 2022년 4월 흑해에서 러시아 흑해함대 기함 ‘모스크바’를 향해 튀르키예제 ‘바이락타르’ 대형 드론을 쏴 방공망 대응을 유도한 뒤 대함미사일을 쏴서 침몰시킨 바 있는데, 러시아가 같은 수법으로 나토 방공망을 헤집어본 것이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이런 탐색이 나토-러시아 전쟁의 ‘페이즈 제로’(0단계)라고 주장한다. 이는 전면 충돌을 구체적으로 계획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언젠가 벌어질 전쟁에 대비해 정보를 수집하고 적에게 공포를 유발하는 과정이다.

지난달 10일 러시아군 드론 1대가 폴란드 동부의 작은 마을 초스누프카에 추락했다. 이 드론은 당시 폴란드 전역에 침입한 러시아 드론 19대 중 하나였다. 초스누프카/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10일 러시아군 드론 1대가 폴란드 동부의 작은 마을 초스누프카에 추락했다. 이 드론은 당시 폴란드 전역에 침입한 러시아 드론 19대 중 하나였다. 초스누프카/로이터 연합뉴스

연구소는 6일 보고서에서 “러시아는 전쟁 비상사태에 대비한 물리적·심리적 환경 조성을 위해 체계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공격의 유형과 지역적 범위를 (기존 우크라이나 전선보다) 넓혀 유럽 어디서든 폭력 위협이 상존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러시아는 유럽의 방위 증강 노력이 오히려 러시아의 공격을 유발할 거라는 공포를 조장한다. 이는 상대가 러시아에 득이 되는 정책 결정을 스스로 내리도록 유도하는 ‘반사적 통제’의 일부”라고 덧붙였다.

마르틴 예거 독일 연방정보국(BND) 국장 역시 13일 “러시아의 침공이 (기존 서방 예상처럼) 빨라야 2029년에나 가능할 거라는 가정에 안주해선 안 된다”며 “우리는 이미 공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러시아는 유럽의 반응을 ‘히스테리’라고 일축한다. 푸틴은 2일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발다이 국제토론클럽 행사에서 러시아의 나토 공격 가능성은 “말도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왜 덴마크에 많은 드론을 보냈는가’라는 질문에는 “더는 안 보내겠다”는 농담으로 되받았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