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22일 서울 서초구 강남 ‘삼성 스토어’에서 모델들이 ‘갤럭시 엑스알’을 쓰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22일 서울 서초구 강남 ‘삼성 스토어’에서 모델들이 ‘갤럭시 엑스알’을 쓰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물안경처럼 생긴 검은 헤드셋을 끼자, 눈앞에 스마트폰 속 애플리케이션들이 둥둥 떠다니기 시작했다. 유튜브앱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꼬집어 실행한 뒤 몰디브 바다 영상을 재생하자 푸른 바다가 펼쳐졌다. 스마트폰 화면 터치에 해당하는 조작이 엄지와 검지를 살짝 붙였다가 떼는 방식이었다. 360도로 시선을 돌려보니, 마치 몰디브에 와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삼성전자가 구글, 퀄컴과 함께 개발한 확장현실 헤드셋인 겔럭시 엑스알(XR·확장현실)을 22일 공개했다. 헤드셋 형태의 모바일 기기로 사진을 입체감 있게 볼 수 있고, 360도로 촬영된 영상을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즐길 수 있었다. 이 기기를 쓴 채로 구글의 인공지능(AI) ‘제미나이’에 질문하면, 제미나이는 가상과 현실을 이으며 대답을 내놓는다. 예컨대 제미나이에게 “뉴욕 맨해튼 중심가로 안내해줘”라고 이야기하면 구글 지도를 기반으로 한 도심 전경이 눈앞에 펼쳐지는 식이다. 누구나 ‘방구석 세계여행’을 떠날 수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엑스알’.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갤럭시 엑스알’.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구글, 퀄컴과 함께 개발한 ‘안드로이드 엑스알’ 플랫폼을 갤럭시 엑스알에 최초로 탑재했다. 사용자의 움직임, 손짓, 음성 등을 정확히 인식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엑스알2 플러스 젠(Gen)2’ 고성능 칩셋도 넣었다. 글로벌 빅테크 3개 기업이 지난 4년 동안 ‘프로젝트 무한’으로 협업한 결과물이다.

광고

확장현실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을 뛰어넘어 현실과 가상 세계를 융합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갤럭시 엑스알 역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기존 갤럭시 스마트폰과 갤럭시 탭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자체적인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삼성전자 설명이다.

김기환 삼성전자 모바일(MX)사업부 부사장은 갤럭시 엑스알을 두고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의료,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부문에서 일상 속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광고
광고

다만 엑스알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아직은 제한적이라는 점은 한계로 꼽힌다. 엑스알로는 기존 영화나 게임 등을 모두 할 수 없고, 일부 전용 콘텐츠만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엑스알 구매자들에게 티빙, 쿠팡플레이와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구독권을 제공하고, 미국 프로야구와 프로 농구 등 콘텐츠 제공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는 이유다. 또한 네이버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을 통해서도 엑스알 콘텐츠를 출시한다. 완충했을 때 동영상 시청 기준으로 2시간30분 가량의 사용시간도 단점으로 지적된다. 출고가(269만원)도 경쟁사인 애플 기기(499만원)에 견주면 절반 수준이지만 소비자들에게 부담스러울 수 있는 금액이다.

삼성전자는 엑스알 시장이 아직 초기인 만큼, 단기 실적보다는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단순한 분기별 실적보다는 구글, 퀄컴과 협력해 생태계를 만들었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올해와 비교해 내년에는 관련 시장이 2배 커질 것으로 본다”고 했다. 또 안경 브랜드 ‘젠틀몬스터’ 등과 협업해 안경 형태의 ‘스마트 글래스’ 개발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광고

한편, 갤럭시 엑스알은 이날부터 한국과 미국 시장에 출시되고, 국내에서는 서울 강남, 대구와 대전 등 전국 삼성 스토어 7곳에서 구매할 수 있다.

권효중 기자 harr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