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광주전자공고 빛고을시민햇빛발전소. 빛고을햇빛조합 제공
광주전자공고 빛고을시민햇빛발전소. 빛고을햇빛조합 제공

전라남도 자치단체들이 공공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가동하기 위해 주민펀드 조성에 나선다. 재생에너지 수익금 일부는 사회적 약자를 위해 지역공유기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20일 전남도의 설명을 종합하면 나주시, 영광·영암군은 한전케이디엔(KDN)㈜와 함께 ‘공공 유휴부지 활용 공익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한다. 지자체는 공공건축물·자전거도로·주차장 등 공공 유휴부지를 발굴하고, 한전케이디엔은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다.

사업 재원은 한전케이디엔의 투자와 공모형 ‘주민펀드’ 등으로 마련한다. 시설 운영비와 펀드 참여자 수익 배당을 제외한 발전수익을 사회적 약자 등 ‘에너지 빈곤층’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이익공유기금으로 환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전남도는 앞으로 도내 공공 유휴부지 100곳을 발굴해 공익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펼칠 방침이다.

광고

나주시는 하수처리장과 배수 펌프장 등 공공 유휴부지 5곳에 태양광발전 사업 허가를 받은 상태다. 허가 설비 용량은 1.5㎿다. 나주시 쪽은 “법인 설립 과정에서 주민 참여 비율을 50% 정도 할 방침이다.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중반기 이후에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영암군과 영광군도 공공 유휴부지를 찾아 태양광발전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지난 15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윤병태 나주시장, 우승희 영암군수, 장세일 영광군수, 박상형 한전KDN 대표이사와 ‘공익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업무협약’을 했다. 전남도 제공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지난 15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윤병태 나주시장, 우승희 영암군수, 장세일 영광군수, 박상형 한전KDN 대표이사와 ‘공익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업무협약’을 했다. 전남도 제공

하지만 전력을 실어나르는 송전선(계통망) 포화 문제가 공익형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을 더디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2023년 9월1일부터 호남·제주·강원·경북 등 전국 205곳 변전소의 전력 계통 접속을 제한하면서 2031년 12월까지 7년 4개월간 사실상 발전 허가가 중단된다. 전남 도내 22곳 시군 중 나주시만 신규 발전허가 중단 유예기간인 2023년 8월31일 이전에 산업통상산업부에서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허가를 받았다.

광고
광고

한전케이디엔은 나주시 외에 다른 자치단체에선 공공부지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공공기관에 직접 공급하는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정인기 전남도 재생에너지팀장은 “송전선이 여의치 않을 경우 시군체육관 등 공공기관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찬호 한전케이디엔 차장도 “계통 포화를 피하기 위한 방안을 한전과 지속해서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