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더불어민주당 언론개혁특별위원회 최민희 위원장이 2025년 10월20일 국회 언론개혁특위 허위 조작정보 근절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언론개혁특별위원회 최민희 위원장이 2025년 10월20일 국회 언론개혁특위 허위 조작정보 근절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화방송(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의 권태선 이사장은 문화방송 국정감사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뤄진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위원장의 문화방송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 등과 관련해 23일 “유감스러운 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안형준 문화방송 사장도 최근 사태와 관련해 이날 사내에 “‘공영방송을 국민의 품으로’라고 외치며 산화한 동료의 뜻을 이어갈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권 이사장은 이날 국회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최 위원장 논란과 관련해 “권력을 남용한 부당한 보도 개입이라고 생각하지 않느냐”는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월요일에 있었던 사건은 제가 생각할 때는 공영방송의 특수성에 대한 인식 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국회는 국민을 대표해서 공영방송의 업무보고를 받을 수도 있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반면 공영방송의 주요 임무 가운데 하나가 권력기관에 대한 감시이기에 개별 사안, 개별 보도에 대해 일일이 묻지 않는 것이 국회에서도 관례였다”고 답변했다.

또 권 이사장은 신성범 국민의힘 의원의 “정치 성향을 불문하고 엠비시 내부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항의 성명을 발표하고 있는데, 감독기관 수장으로서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질의에도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해서는 국회에서도 일일이 질의하지 않는 것이 그동안의 관례였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한 뒤 “(그런 질의가) 자칫 권력의 개입으로 비칠 수 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서로 자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고

앞서 최 위원장은 지난 20일 문화방송 업무보고 자리에서 전날 ‘뉴스데스크’의 국감 리포트 내용의 편향성을 지적하며 박장호 보도본부장에게 해명을 요구했으나, 박 본부장이 “개별 보도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며 답변을 거부하자 퇴장을 명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일로 ‘언론 자유 침해’ 논란이 빚어지자 최 위원장은 22일부터 연이틀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해당 보도를 ‘친국힘 편파보도’ 등으로 몰아세우는 등 해당 사안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굽히지 않았다.

안형준 문화방송 사장도 이번 사태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냈다. 문화방송은 이날 오전 박범수 보도국장이 편집회의에서 “지난 수십년 동안 엠비시를 둘러싼 외부 환경이 녹록했던 적은 한번도 없었다. 엠비시는 늘 그랬듯이 저널리즘의 원칙을 지키며 무소의 뿔처럼 흔들리지 않고 한발 한발 민주주의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는 내용의 안 사장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광고
광고

최 위원장은 권 이사장의 유감 표명과 관련해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최 위원장은 오전 국감이 정회되기 직전 자신의 발언 기회를 통해 “권 이사장님의 말씀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서도 “그런데 혹시 그 상황을 잘 아는가. 전해 들은 것 말고 그 상황을 잘 알 수 있도록, 저에게 여쭤본 적이 있나”라고 따져 물었다. 이어 그는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라는 독일 소설이 있다. 사실이 아닌 일로 매도당하는 한 여성의 이야기”라며 “이런 얘기를 할 때는 적어도 양쪽의 이야기를 다 들어보고 성명서도 나오고 그래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