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김민석 국무총리가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보고 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고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이 27일 밝혔다.

이 수석은 이날 공지로 “이 대통령이 전날 오후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와 관련해 전 부처별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 대응 매뉴얼에 따른 대응 체계, 대국민 서비스의 이상 유무, 데이터 손상, 백업 여부 등을 국가위기관리센터장과 국무위원으로부터 보고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밤 유엔총회 참석을 위한 미국 뉴욕 방문을 마치고 귀국했다.

한편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번 화재와 관련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복구 과정을 국민과 투명하고 신속하게 소통하겠다”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국가의 중요한 전산 시스템이 한곳에 밀집된 시설 특성상 화재 진압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행정안전부 중심의 위기상황대응본부가 설치돼 화재의 완전한 마무리와, 이후 복구 계획 마련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고

김 총리는 이어 “어떤 서비스에 장애가 있는지, 언제까지 복구가 이루어질 것인지, 가능한 구체적이고 신속히 말씀드릴 것”이라며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을 통해서 국민 불편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상황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사실 파악을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모바일 신분증을 예로 들었다. 이날 당장 모바일 신분증 사용을 염두에 두고 출국하는 이들이 사용에 제한을 겪어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26일 1시 이후 새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은 경우 모바일신분증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가 복구되기 전까지 모바일 신분증 신규 발급 및 안심인증이 제한된다.

광고
광고

김 총리는 “우선 긴급한 대처를 하면서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정리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화재 발생 경위나 대응 과정, 전산망 백업 체계 등 비상 대책 매뉴얼이 과연 잘 작동했는지 점검을 해봐야한다”고 말했다. 또 “행안부 장관이 제 상황 대처를 해나가면서, 각 부처에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니 그 부분을 더 긴장감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유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무정전·전원 장치(UPS)실에서 26일 저녁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났다. 불은 약 9시간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됐다. 이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과 국민신문고, 정부24 등 70개가량의 정부 행정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다. 행안부는 이날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하고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해 대응 중이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