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벗은 삼성 '갤럭시XR', XR 생태계 흔든다

22일 서울 서초구 삼성강남에서 열린 '갤럭시 XR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갤럭시 XR을 시연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22일 서울 서초구 삼성강남에서 열린 '갤럭시 XR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갤럭시 XR을 시연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삼성전자 첫 확장현실(XR) 헤드셋 '갤럭시XR(프로젝트명 무한)'이 베일을 벗었다. 삼성전자는 이 제품을 '인공지능(AI)경험을 제공하는 헤드셋 형태의 모바일 기기'라고 명명했다. 갤럭시 AI의 대중화와 함께 안드로이드 XR 생태계 확대를 동시에 노린다.

삼성전자는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멀티모달 AI 새로운 시대, 더 넓은 세상이 열린다' 행사를 열고 갤럭시XR 한국과 미국에 동시 출시했다.

최원준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갤럭시 XR은 모바일 AI 비전을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한층 끌어올리고, 업계와 사용자 모두에게 일상의 기기로 거듭날 것“이라는 밝혔다.

갤럭시XR은 삼성전자·구글·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이 적용된 첫 기기다. 사용자 음성·시선·손짓 등을 인식하고 콘텐츠 검색·앱 실행·내레이션 등 다양한 명령을 직관적으로 수행하는 데 특화됐다.

디스플레이는 좌우 눈에 각각 4K 마이크로 OLED가 적용됐다. 인치당 4032픽셀(PPI)의 초고밀도 화질을 구현했다. 칩셋은 퀄컴 스냅드래곤 XR2+ 2세대가 들어갔다. 외부에는 총 6개의 센서 및 카메라가, 내부에는 눈 추적을 위한 카메라 4대가 들어간다. 마이크는 총 6개가 배치돼 음성 인식 정밀도를 높였다.

갤럭시 XR을 활용해 뉴욕의 식당을 찾아가는 모습
갤럭시 XR을 활용해 뉴욕의 식당을 찾아가는 모습

삼성전자는 그간 XR 기기의 약점으로 꼽히던 '무게'와 '킬러 콘텐츠 부재'를 대거 보완해 제품을 출시했다. 무게는 545g 수준이다. 애플 비전 프로(약 600~650g)보다 가볍다. 안드로이드 기반 게임은 물론 XR 전용 게임도 구현했다. 구글, 어도비, 쿠팡플레이, 티빙, 네이버 '치지직', MLB, NBA 등 주요 글로벌 및 국내 파트너사와 협력해 다양한 몰입형 XR 콘텐츠도 확보했다. 특히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모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앱을 지원해 콘텐츠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배터리도 최대 2.5시간에다 충전 중 제품 사용까지 가능해 편의성도 높였다.

제품 출고가는 269만원이다. 글로벌 XR 시장을 주도하는 메타 퀘스트3(499달러·약 71만원)보다는 고가지만, 애플 비전 프로(3499달러·약 500만원)의 절반 가격이다. 대중성과 고성능을 동시에 확보해 시장 저변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갤럭시XR은 삼성전자 XR플랫폼의 시작점과 같은 제품이다. 당장 판매 실적에 집중하기보다 XR 생태계를 다지고 추후 신규 제품을 통해 본격적인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계산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XR 후속 제품으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 기반 스마트글라스 '해안(프로젝트명)'을 준비하고 있다.

임성택 한국 총괄 부사장은 이날 “구글과 같이 업계 선두 파트너와 XR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으로 의미가 크다”며 “국내 XR 헤드셋 시장은 올해보다 내년에 2배 더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