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bble study 검사 개념 바꾸는 충격적 결과’, “정상 반려견 50~70% Shunt 있어”
서울동물심장병원 이승곤 원장, Journal of Veterinary Cardiology에 관련 연구논문 게재

수의심장학 분야, 특히 반려견 심장초음파 검사와 관련해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충격적인 내용이 입증됐다.
개에서 Intrapulmonary Shunt가 50-70% 정도로 매우 많고, 이 때문에 bubble study에서 심각한 수준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논문 리뷰어들조차 결과를 믿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서울동물심장병원 이승곤 원장이 약 5년간의 추적 결과 발견한 이 같은 사실은 최근 수의심장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Journal of Veterinary Cardiology에 게재됐다(Prevalence of left heart contrast with agitated saline contrast echocardiography in healthy resting dogs).
제1저자는 이승곤 원장이고, 공저자는 UC데이비스 수의과대학 Mark D. Kittleson 명예교수다. 미국수의심장전문의(DACVIM(Cardiology))인 Mark Kittleson 교수는 ‘Small Animal Cardiovascular Medicine’ 교과서를 쓴 세계적인 수의심장학 분야 권위자다.

연구진은 2020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서울동물심장병원에서 심장 평가를 받은 건강한 소형견 48마리(2.4~9.5kg)를 대상으로 Agitated Saline 조영 심초음파(Agitated saline contrast echocardiography, ASCE) 검사를 시행했다.
정상적인 사람에서 ASCE 검사 시 폐내 단락(Intrapulmonary shunt)을 통해 조영제(미세기포)가 좌심실에 보이는 경우가 흔한데, 이러한 현상에 개에서도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심각한 질환이 있거나, 약물을 복용 중인 개체는 제외됐다. 48마리 모두 정상적인 심초음파 결과를 보였거나(17마리), 심장 리모델링 없이 컬러 도플러 검사에서 확인 가능한 수준의 경미한 승모판 역류(B1 Stage)만 있었다(31마리). 호흡기 증상은 없었으며,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도 호흡기 질환이 확인되지 않았다. 나이는 1~13세 사이였고, 품종은 다양했다.
검사 결과, 48마리 중 37마리(77%)에서 left heart contrast(LHC)가 확인됐다. 이는 사람처럼, 정상적인 개에서도 Intrapulmonary Shunt(right to left shunt)가 매우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개에서 심각한 우심계 질환이 있을 때 ‘R to L shunt’가 발생한다고 알려져서, bubble study를 통해 이를 확인하면 우심계 질환이 심해졌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개에서도 Intrapulmonary Shunt가 많다면, bubble study 검사 결과 해석이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
위 초음파 그림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반려견은 정기적인 심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a)에서 LA/Ao 비율이 정상인 것을 알 수 있고, (b)에서 LVIDDN이 정상인 점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d)에서 bubble study에서 우심방과 우심실뿐만 아니라 좌심방과 좌심실에서도 상당한 조영제(미세기포)가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외에도 개는 사람과 다르게 patent foramen ovale(난원공 개존증)가 매우 드물다는 것도 증명했다.
이승곤 서울동물심장병원 원장은 “기존에는 개의 폐동맥협착증, 심실중격결손, 심한 폐고혈압 등 우심계 질환이 심해지면 right to left shunt가 발생한다고 생각해서, right to left shunt의 기형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agitated normal saline을 통한 bubble study를 했다”며 “이 결과는 심장 내 비정상적인 연결 통로 이상, 압력 구매 이상을 진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진단에 있어서 골드스탠더드로 받아들여져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연구를 통해 심장이 건강한 개에서도 50-70% Intrapulmonary Shunt가 존재하고, 심장 조영 시 심각한 artifacts를 만든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개의 bubble study 심장초음파 검사의 의의와 판독에 대한 새로운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