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동물병원 주평균 63시간 운영..24시 병원은 7~8%
일요일 하루 문닫는 병원 가장 많고, 평일의 경우 '수요일' 가장 많이 쉬어
서울·경기 지역 동물병원 영업시간 분석 – 기고자 양이삭
<추석 연휴에 문 여는 동물병원기사>를 보다가 문득 이상한 점이 눈에 보였습니다. “3일(금)부터 12일(일)까지 연휴 내내 문을 여는 동물병원도 176개소로, 지난해 추석 연휴(5일) 모두 문을 연 동물병원(151개소)보다 오히려 많아졌다.”라는 부분이었는데요.
우리나라 임상 환경상, 24시 운영되는 병원은 연휴의 길이와 상관없이 연중무휴로 진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동물병원 개수는 5,378개 (2025년 9월, 행정안전부 인허가데이터 기준)입니다. 조사된 내용이 사실이라면, 전체 동물병원에서 24시 병원의 비율이 약 3.27% (176/5378*100)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3%밖에 안 된다고? 라는 생각에 농식품부 홈페이지 <공지*공고>란에 업로드된 원자료를 직접 살펴보았는데요. 지자체별로 나눠 보면 추석 연휴에 서울특별시에서 하루라도 진료하는 병원 개수는 83개소였습니다. 그런데 인허가데이터상 서울특별시 동물병원 개소수는 961개소입니다. 83/961*100 = 8.63%이니까, 결국 지난 추석 연휴에 서울특별시에서는 무려 91%가 넘는 동물병원들이 10일간의 연휴를 모두 문 닫고 쭉 쉬었다는 뜻이 됩니다. 정말 그랬을까요?
자료가 현실과 크게 다른 이유는, 추측하건대 연휴 기간 동물병원 영업 정보를 각 기초지자체에 요구해 단순 취합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지자체 입장에서 연휴기간 관내 동물병원 영업 정보를 조사해달라는 자료 요청은 성실하게 조사해 대답할 유인이 그다지 없습니다. 동물병원에서도 시군구청에서 오는 영업시간 조사 연락에 성실하게 응답할 이유는 별로 없습니다. 시도청이나 농식품부는 전국에서 올라오는 수십 개의 파일을 취합하는 동안 원자료를 하나하나 검증할 이유도 여력도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충분치 않은 행정력이라는 현실을 감안하더라도, 어쨌든 이 자료가 공식적으로 중앙행정부 차원에서 국민 편의를 위해 발표된 자료임을 생각해 본다면 매우 아쉬운 수준입니다.
정부 차원의 조사와는 달리, 동물병원들이 영업시간을 자발적으로 기재해 놓는 공간이 있습니다. 바로 특정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의 업체 정보란입니다. 이 정보를 수집해 정제할 수 있다면, 동물병원의 영업시간과 관련해 좀 더 정확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점에 착안해, 포털사이트에 존재하는 모든 동물병원의 영업시간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AI로 정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서울/경기 동물병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80% 이상의 동물병원들이 포털사이트에 구체적인 영업시간을 기재한다
먼저 모수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광역지자체(서울/경기도)별, 영업시간 정보 기재 여부별 동물병원 개수와 그 비율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영업시간 정보를 기재한 병원의 비율은 서울에서 88.94% 경기도에서 81.51%로, 절대다수의 수도권 동물병원이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에 영업시간 정보를 표시하고 있음이 확인됩니다. 또한 24시 병원 비율은 서울에서 7.95%, 경기도에서 6.53%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서 총 병원 수는 신고된 사업자수가 아니라 지도 서비스에 노출되는 사업장 기준이기 때문에 행정자료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인허가데이터상의 서울시/경기도 동물병원 수와 거의 비슷하게 수집되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24시 병원비율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서울 금천구, 경기 광명시로 나타났다
24시 병원이 많아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는 지역은 당연히 강남구와 수원시 일대겠지 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서울에서는 금천-강남-동작 순으로, 경기에서는 광명-군포-양주/의정부 순으로 24시 병원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울에서 광진구, 종로구와 경기에서 동두천시, 가평군 등은 관내에 24시 병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금천구-광명시는 맞닿은 행정구역입니다. 광진구나 종로구, 동두천시나 포천시 등 24시 병원 비율이 낮은 지역들은 서울시의 경우 “행정구역 크기가 좁고 인접 지역에 강력한 24시 병원이 있어서”, 경기도의 경우 “도농복합시적 특성이 있어서” 등으로 그 이유를 추측해 볼 여지가 있지만, 수도권 서남부 일대 여러 지자체에 걸쳐 유독 높은 24시 병원 비율이 형성된 이유가 무엇일지는 흥미로운 생각거리가 아닐까 합니다.
3. 수도권 동물병원들은 평균적으로 한 주에 60시간 넘게 영업한다
지도 서비스에는 24시 병원 여부뿐만 아니라 요일별로 영업시간(진료시각-종료시각), 정기휴무 등의 정보가 기재되기 때문에 영업시간의 관점에서 분석도 가능합니다.
수도권 동물병원들은 평균적으로 일주일 중 63시간 넘게 영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에서 평균 주간 영업시간은 금천-강남-동작 순으로 높았고, 종로-광진-성동 순으로 낮았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광명-안성-군포 순으로 높았고 동두천-여주-양평 순으로 낮았습니다.
4. 24시 병원을 제외하더라도, 서울 동물병원들은 주 6일, 8.6시간 일한다
동물병원을 경영하든 소속되어 일하든, 영업시간은 개개인의 근로조건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요. 언제나 주당 168시간을 고정 영업하게 되는 24시 병원을 포함시킨 상태로 영업시간을 분석할 경우 의도하지 않은 편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에서 24시 병원을 제외하고, 영업시간에서 휴게시간(기재된 경우) 까지 제외한 순수 영업시간을 시군구별 Box plot으로 나타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Box plot의 특성상, 막대그래프와 달리 중앙값이 높은 순서대로 좌-우 정렬되었습니다).
동물병원들의 순수 주간 영업시간(중앙값)은 서울에서 52시간, 경기에서 50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24시가 아닌 모든 병원이 1인 병원은 아니겠지만) 서울의 1인 병원이라면 휴게시간을 제외하더라도 주 6일 8.6시간을 일하는 셈입니다.
또한 시군구별로 나누어 보면, 단순 계산된 주간 영업시간과는 약간 다른 양상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24시 병원 비율이나 평균 주간 영업시간으로 보면 그다지 순위가 높지 않았던 서울 도봉구, 경기 포천시 등은 순수 주간 영업시간 기준으로 보면 상위권에 위치합니다. 이 지역들은 24시 병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대신, 24시가 아닌 병원 사이에서 영업시간 경쟁압력이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암시합니다.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울과 경기 시군구별로 순수 주간 영업 시간의 중앙값(X축)과 24시 병원 비율(Y축)을 산점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산점도상 좌하단에 위치한 시군구, 즉 관내 24시 병원 비율과 순수 주간 영업시간이 모두 낮은 지역들은 속된 말로 “상대적으로 덜 빡셀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5. 이외 흥미로 보는 데이터들
5-1. 정기휴무가 있는 경우 요일별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정기휴무가 여러 요일인 경우 중복 집계) 일요일 하루를 쉬는 경우가 가장 많고, 평일 중에 정기휴무가 있는 경우 수>목>월>화>금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5-2.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는 영업시간 외에도 여러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지도 서비스 상에서 바로 연결되는 병원 예약서비스나 블로그/SNS 등 외부 링크, 방문자 리뷰나 별점 등이 있는데요.
서울·경기 동물병원의 지도 서비스에서 바로 연결되는 다른 서비스의 도입 비율을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포털에서 제공하는 예약 서비스 연결 비율 : 11.31% (251개)
-웹사이트 연결 비율 : 14.20% (315개)
웹사이트를 어느 하나라도 연결한 경우, 연결된 웹사이트의 유형별 비율 (중복 포함)
-네이버 블로그: 66.98% (211개)
-인스타그램: 54.92% (173개)
-페이스북: 3.17% (10개)
-유튜브: 13.33% (42개)
-카카오톡 채널: 20.95% (66개)
-자체 홈페이지 (또는 기타): 22.86% (72개)
5-3. 마지막으로 방문자 리뷰 개수의 분포와 평점(평점이 존재하는 사업자에 한정함)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상의 분석은 공개된 데이터를 활용했음을 밝힙니다. 자료가 수집된 시점(2025년 10월) 이후에는 각 사업자들의 개폐업 및 정보 수정에 따라 데이터가 변화할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동물병원의 영업시간은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기재되기 때문에 정규표현식 등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 AI를 활용해 정리했습니다. AI의 작동원리상 개별 병원의 원래 자료로부터 재정리된 자료가 100% 정확하다고 보증할 수 없다는 점을 참고해 주십시오. 현업에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