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자가면역질환과 연관된 면역세포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202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메리 브랑코(64) 미국 시스템생물학연구소 시니어프로그램매니저, 프레드 람스델(65) 미국 소노마바이오테라퓨틱스 과학고문, 시카구치 시몬(74) 일본 오사카대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3명의 수상자는 면역체계가 신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만드는 말초 면역 내성 영역에서 획기적인 발견을 한 공로로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3명의 수상자는 면역체계가 우리 몸을 공격하는 것을 막는 면역세포인 ‘조절 T세포’에 대한 연구 성과를 냈다. 면역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상적인 상태에서 왜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하지 않는지 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시카구치 교수는 1995년 면역체계는 기존에 생각했던 것보다 복잡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자가면역질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세포인 ‘조절 T세포’를 발견했다.
브랑코 매니저와 람스델 고문은 2001년 쥐 실험을 통해 'Foxp3'라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을 때 자가면역질환에 취약해진다는 점을 발견했다. 인간에서는 Foxp3이 'IPEX'라는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시카구치 교수는 이후 Foxp3이 조절 T세포의 발달을 조절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조절 T세포는 다른 면역세포들을 감시하고 면역체계가 자기 몸의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도 밝혀냈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의 발견은 자가면역질환과 암에 대한 치료법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메달, 증서와 함께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5500만원)를 3분의 1씩 나눠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