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인류 고대 친척 손 화석 최초 분석…도구 사용 가능했을 것

통합검색

인류 고대 친척 손 화석 최초 분석…도구 사용 가능했을 것

2025.10.17 07:00
캐리 몽글 교수 연구팀이 P. 보이세이의 손 화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고생물학자 Louise Leakey 제공.
캐리 몽글 교수 연구팀이 인류의 고대 친척인 'P. 보이세이'의 손 화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고생물학자 Louise Leakey 제공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조상으로 알려진 ‘호미닌’ 중 도구 사용 여부가 불분명했던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 보이세이)가 도구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됐다. 최초의 인류로 여겨지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동시를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P. 보이세이의 손뼈 화석을 처음으로 분석한 결과다. 


캐리 몽글 미국 스토니브룩대 인류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류의 고대 친척인 P. 보이세이의 손뼈 화석을 분석해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이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1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P.보이세이의 화석에는 손뼈가 포함돼 있다. 케냐 투르카나 호수 근처에서 152만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이다. 


연구팀이 화석의 치아와 두개골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 발견된 P. 보이세이 화석과 일치했다. 큰 어금니를 가진 튼튼한 턱, 평평한 얼굴, 음식 씹는 능력과 연관된 근육이 부착되는 뼈 돌출부 등 P. 보이세이가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현대 고릴라, P.보이세이, 현대 인류의 손뼈 모습. P.보이세이의 손뼈는 현대 인류 및 고릴라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공.
왼쪽부터 현대 고릴라, P.보이세이, 현대 인류의 손뼈 모습. P.보이세이의 손뼈는 현대 인류 및 고릴라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공

약 100만~200만년 전 동아프리카에는 P.보이세이, 호모 하빌리스, 호모 루돌펜시스, 호모 에렉투스 등 4종의 호미닌 종이 함께 존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 호미닌 종은 모두 도구를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P. 보이세이 관련 증거가 불충분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연구한 P. 보이세이 화석의 손뼈가 현대 인류 및 아프리카 유인원과 공통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손가락 길이 비율을 토대로 P. 보이세이가 인간과 비슷하게 움켜쥐는 능력 및 손재주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밀하게 손가락 끝을 모아 쥐는 능력까지는 없었을 것으로 보았다. 


P. 보이세이는 고릴라처럼 악력이 셌을 것으로도 추정된다. 강한 악력은 등반할 때 유용하게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P. 보이세이는 이족 보행을 했지만 나무 등반을 위해 손과 팔도 이용했을 것이란 설명이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P. 보이세이가 도구를 만들고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음식을 먹을 땐 소화가 안 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식물 껍질을 벗기는 등의 작업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P. 보이세이는 작은 치아를 가진 호미닌 종이 먹지 못하는 식물을 섭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분석한 화석의 손뼈만 별도로 발견됐다면 고릴라 손뼈 화석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현재 유인원과 매우 유사했다”며 “P. 보이세이는 견고한 뼈와 움켜쥐는 능력을 통해 식물이나 도구를 조작하고 사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이 기사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기사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고발 소재 등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