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교원 창업 기업인 소바젠이 난치성 뇌전증 신약 후보를 개발해 5억5000만달러(약 7500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 성과를 냈다.
KAIST는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교수의 교원 창업 기업인 소바젠이 난치성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RNA 신약 후보를 개발해 이탈리아의 글로벌 제약사 안젤리니 파마에 기술이전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뇌 줄기세포에서 생긴 후천적인 돌연변이가 난치성 뇌전증, 악성 뇌종양 등 치명적인 뇌 질환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처음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2015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8년 '네이처 메디신'에 각각 발표했다.
이 교수는 이후 신약 개발 전문가인 박철원 소바젠 대표와 협력해 뇌전증의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인 'MTOR'를 직접 겨냥할 수 있는 RNA 신약 후보를 발굴했다. 기초 의과학 연구에서 출발한 혁신적 발견이 실제 신약 개발과 세계 시장 진출까지 이어진 사례다.
의사과학자인 이 교수는 "국내 의과대학은 환자 진료 중심 문화인 반면 KAIST는 혁신과 산업화를 중시하는 연구 문화를 갖춰 혁신적 기초 연구와 신약 기술 수출이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이번 성과가 앞으로 KAIST 의과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졸업생인 박상민 소바젠 수석연구원은 "질병 원인 규명부터 신약 개발, 글로벌 기술 수출까지 모두 대한민국 과학의 힘으로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이번 성과는 KAIST가 추구해 온 '기초에서 산업으로'라는 연구 철학이 의과학 분야에서도 현실로 구현된 대표적 사례"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