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뇌연구로 확인한 냄새만 맡아도 맛 느끼는 이유

통합검색

뇌연구로 확인한 냄새만 맡아도 맛 느끼는 이유

2025.10.08 08:00
음식냄새.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음식냄새.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음식 냄새는 우리의 입맛을 돋웁니다. 콧물이 흐르면 맛을 잘 느끼지 못할 만큼 냄새는 맛을 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9월 12일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연구팀은 냄새와 맛의 관계를 밝혀냈습니다. 바로 냄새만 맡아도 맛을 처리하는 뇌 부위인 ‘뇌섬엽’이 활성화돼 맛을 본 걸로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성인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실험 참가자들은 단 냄새를 맡은 후 단맛이 나는 음식을, 짭짤한 냄새를 맡은 후 짭짤한 맛이 나는 음식을 먹었어요. 


이를 통해 냄새와 맛을 연결 지었어요. 그다음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맛만 보거나 냄새만 맡게 한 뒤 두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습니다.


분석 결과 냄새만 맡았을 뿐인데 뇌섬엽의 신경 패턴은 실제로 맛을 느꼈을 때와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단 냄새를 맡으면 단 음식을 먹었을 때와, 짭짤한 냄새를 맡으면 짭짤한 음식을 맛볼 때와 비슷한 뇌섬엽 패턴이 나왔어요. 정작 후각을 처리하는 뇌 부위인 ‘후각 피질’은 냄새를 맡았다는 것만 인식할 뿐 두 냄새를 구분하지 못했습니다.


연구팀은 “냄새가 후각 피질뿐만 아니라 뇌섬엽에서도 처리된다는 걸 밝혀냈다”며 “음식에 더 많은 향을 넣어 풍미를 더하는 등 식품을 개발할 때 연구 결과를 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0월 1일, [과학뉴스] 냄새만 맡아도 맛 느낀다!? 

관련 태그 뉴스

이 기사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기사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고발 소재 등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