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갑 갤러리 클립 대표·‘건축가가 지은 집’ 저자
최근 이곳에서 뜻깊은 북토크가 열렸다. 대사관에서 문화공보담당관으로 근무했던 윤서영 씨가 1년 6개월간의 취재 끝에 ‘스위스 예술 여행’이라는 책을 냈다. 대사관 측은 첫 북토크의 무대로 기꺼이 대사관의 문을 열었다. 아름다운 대사관도 볼 겸 스위스 예술 여행에 대한 감흥도 들을 겸 많은 사람들이 발걸음했다.
행사는 2021년 주한 스위스대사로 부임한 다그마 슈미트 타르탈리의 마지막 공식 일정이었다. 함께한 직원을 위해 대사관의 문을 연 것이 뭐 그리 대단하냐고 물을 수 있지만 내게는 무척 특별하고 정겹게 보였다. 그 나라의 문화에 지위 높은 사람에게만 다정한 위계와 수직이 배어 있다면 이런 수평적 결정을 내리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윤 씨도 스위스의 가장 큰 매력으로 서로 존중하고 존중받는 ‘수평적 문화’를 꼽았다. 일찍이 민주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스위스는 26개의 주(州)가 자치 행정을 한다. 상징적 수도는 베른이지만 편의상 그러할 뿐, 공식적인 것은 아니다. 정해진 수도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광고 로드중
이 모든 내용은 책 ‘스위스 예술 여행’에 담겨 있다. 윤 씨는 주한 스위스대사관에서 일하며 인연을 맺은 스위스의 명사 38명을 인터뷰했다. 그들이 들려주는 스위스 문화는 물론이고 “바다 빼고 다 있다”는 말을 들을 만큼 세계적 강소국이 된 비결, 꼭 가봐야 할 스위스 명소를 400여 쪽에 충실하게 담았다. 인터뷰이 중에는 세계적 건축가 페터 춤토르와 마리오 보타, 막강한 영향력의 아트 컬렉터 울리 지그도 있다. 윤 씨의 말에 따르면 스위스 인구는 대한민국의 약 6분의 1이지만 문화 예산 규모는 한국의 2배다. 예술과 문화야말로 모두에게 ‘수평적’으로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란다. 무더웠던 어느 여름날, 서울에 있는 스위스의 공간에서 진정한 선진국이란 어떤 모습이고 방향이어야 하는지 잠시 생각했다.
정성갑 갤러리 클립 대표·‘건축가가 지은 집’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