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신체 능력은 30세 전후에 정점을 찍고, 추론·기억·정보 처리 속도 등 기초 인지 기능은 20대 중반부터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 돼 왔다.
이러한 경향은 현실에서도 확인된다. 운동선수는 대체로 30세 이전에 전성기를 맞고, 수학자들이 중요 업적을 남기는 시기도 30대 중반까지다. 바둑이나 체스 챔피언 가운데 40세를 넘은 경우는 거의 없다.
오죽하면 “60세가 넘으면 뇌가 썩는다”는 표현까지 회자될 정도다. 물론 이는 유시민 작가의 “60세가 넘으면 뇌 세포가 죽어 젊었을 적 능력 있는 사람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라는 발언이 왜곡·과장된 형태로 퍼진 것이지만, 나이 들면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는 사회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단순한 ‘두뇌 회전 속도’보다 감정 조절력, 판단력, 도덕적 추론 능력 등 복합적 정신 능력을 고려하면 전혀 다른 그림이 나타난다고 보고한다.
나이가 들수록 몸의 근력이나 반사 속도는 떨어지지만, 인간의 전반적인 정신 기능(Overall psychological functioning)은 55세에서 60세 사이에 정점을 찍는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인간 지능 분양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인텔리전스(Intelligence)에 게재됐다.
논문 내용과 교신 저자인 질 E. 지냑(Gilles E. Gignac)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의 기고문(더 컨버세이션)을 종합하면, 이러한 결과는 특히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이나 지도력(리더십)이 필요한 직무에서, 해당 연령대가 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지적 능력에서 정서적 안정까지 폭넓게 연구 연구진은 실생활 성과와 관련이 있으며,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6가지 심리적 특성을 기존의 대규모 연구에서 추출했다. 이어 대규모 인구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연령에 따른 인지·정서·성격적 변화와 종합적인 궤적을 추적했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16가지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 능력 영역에는 기억 용량, 결정성 지능, 유동성 지능, 정보 처리 속도 -빅5 성격 특성에는 개방성,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성 -추가로 감성 지능, 금융 이해력, 도덕적 판단력, 매몰 비용 편향에 대한 저항력, 인지적 편향 통제력 등 이다.
주요 결과 그 결과 성실성은 약 65세, 정서적 안정성은 75세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지 편향을 통제하는 능력은 70대. 심지어 80대까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식과 감정 지능,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등 모든 특성을 종합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정신 기능은 약 55세에서 60세 사이에 최고조에 달한 뒤 65세 전후부터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75세 이후에는 감소 속도가 빨라지는 흐름을 보였다.
이 결과는 흔히 “나이가 들면 머리가 굳는다”라는 통념을 뒤집는다. 연구자들은 “청년기에는 속도가 중요하지만, 중년 이후에는 깊이 있는 판단력과 균형 잡힌 사고가 강점으로 작용한다”라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복잡한 문제 해결과 리더십은 중년기가 절정 연구 결과는 통솔력이나 복합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직무에서 50대~60대가 특히 강점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55세에서 60세까지는 경험, 감정 통제, 판단력, 인간 이해가 모두 조화되는 시기”라며 “이 나이대는 조직 내에서 전략적 사고와 리더십을 발휘하기에 최적의 시기”라고 평가했다.
이는 기업과 정치, 공공 분야에서 50대~60대가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한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신적 전성기이기 때문이다.
수명 연장의 시대, 정년 연장의 근거 될까? 연구자들은 단순히 나이 듦이 곧 능력 저하를 의미하지 않는다면서 정년 연장 논의나 재취업을 희망하는 고령자를 평가할 때 나이보다 개인별 실제 역량과 성향에 기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기억력이나 처리 속도는 다소 저하되더라도, 감정 조절과 판단력의 향상이 있기에 이를 충분히 상쇄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중년 이후를 인생의 ‘내리막길’로 보는 사회적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많은 사람에게 중년은 쇠퇴의 시작이 아니라 오히려 ‘정신 기능의 정점’이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