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정책들이 여성들의 일자리와 가정 내 돌봄 구조 전반을 뒤흔들며, 경제적 퇴출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2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여성들이 올해 들어 불균형적으로 일자리를 잃고 있는 배경에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적 결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방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46%에 불과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으로 직격탄을 맞은 부처와 기관들은 여성 비중이 특히 높았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각각 63%가 여성으로 구성돼 있었으며, 이들 부처의 예산 감축과 보조금 중단 여파로 관련 민간 부문에서도 여성 해고가 잇따랐다.
또 NYT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반이민 정책이 돌봄 노동 시장을 위축시켜 여성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결국 일자리를 떠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이저가족재단(KFF)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 내 장기 돌봄 종사자의 28%가 이민자였으며, 이 중 30만 명 이상이 비시민권자였다. 아동 돌봄과 유아교육 종사자의 약 20%도 이민자로 구성돼 있었다. 이민자 수가 줄면서 돌봄 인력난이 심화되고 비용이 급등하자, 가정 내에서 돌봄을 전담하던 여성들이 일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성들의 경제적 퇴출이 가속화하자, 스탠퍼드대 ‘급속 조사 프로젝트(Rapid Survey Project)’에 따르면 어린 자녀를 둔 가정의 45%가 최근 기본 생계비를 충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여기에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 중단) 장기화로 여성 공무원과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산하 정신건강·약물남용서비스국(SAMHSA)에서 공중보건 자문역으로 일하던 첼시 부스는 원격근무 폐지와 예산 삭감으로 사직했고,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근무했던 제시카 그로스는 해고 이후 “아프리카의 보건 시스템을 강화하던 내가 이제는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토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