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냅스 ‘디지털 치료제’ 시장 개척국내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정체된 가운데 뉴냅스의 시야 장애 디지털 치료제인 ‘비비드 브레인’이 실제 병원 처방까지 이끌어내면서 저변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뉴냅스는 시각신경과학에서 연구되던 시지각 학습에 착안해 치료 방법이 전무했던 뇌졸중 시야 장…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사라진 후 정체된 통신 시장에서 SK텔레콤이 새로운 승부수를 던졌다. 주인공은 바로 ‘에어(air)’. 이달 13일 출시된 에어는 공기처럼 가볍다는 의미로 매장도, 상담원도, 약정도 없이 앱 하나면 가입부터 해지까지 끝낼 수 있는 자급제 전용 디지털 통신…
수치 정보는 ‘10’ 같은 숫자와 ‘십’ 같은 숫자 단어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런데 똑같은 단백질 제품을 광고하고 전달하는 정보가 동일하더라도 ‘10그램의 단백질’로 표현하는지, ‘십 그램의 단백질’로 표현하는지에 따라 소비자 판단과 행동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
‘짐샤크’의 팬덤 비즈니스짐샤크(Gymshark)는 2012년 영국 버밍엄의 작은 차고에서 19세 대학생 벤 프랜시스의 개인 프로젝트에서 출발했다. 나이키 아디다스 같은 글로벌 강자와 정면 승부하기보다는 피트니스 인플루언서를 전면에 내세운 팬덤 기반 마케팅과 한정판 ‘드롭(drop)’…
인공지능(AI) 기술이 산업 지도를 바꾸고 있는 가운데, 그 기반이 되는 데이터센터의 열기를 식히는 ‘냉각 솔루션’이 핵심 후방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LG전자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형 미래도시 프로젝트 ‘네옴시티’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 파트너로 낙…
고객의 까다로운 요구가 기업의 서비스 혁신을 유도하는 강력한 동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단, 그 과정의 핵심에는 영업사원의 회복탄력성과 민첩성이라는 두 가지 역량이 작용했다. 튀르키예 이스탄불 사바하틴 자임대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공동 연구진은 튀르키예에서 냉난방공조(HVAC) …
환경 위기 시대의 생존 전략제품을 생산-사용-폐기하는 선형경제 모델이 위험으로 부상하면서 그 대안으로 순환 경제의 한 모델인 ‘제품의 서비스화’와 ‘서비스의 제품화’가 주목받고 있다. 제품의 서비스화란 제품과 운영 역량을 서비스로 전환하는 전략이다. 서비스 기반 수익은 외부 충격에 상…
문명이 시작된 이래 지속해서 진화를 거듭해 온 화폐의 역사가 현재 분산원장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라는 혁신적 기술과 조우하고 있다. 화폐와 분산원장기술의 운명적 만남을 통해 잉태된 스테이블코인은 비트코인 등 기존 가상자산에 내재한 ‘극심한 …
여성 리더의 자기애적 성향이 부정적으로 평가된다는 통념에 균열이 생겼다. 미국 미시간대 디어본 캠퍼스 경영대와 애리조나주립대 W P 캐리 경영대 교수진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동일한 수준의 나르시시즘을 보일 때 여성 리더가 남성 리더보다 더 효과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
포터블 멀티로컬리티전 세계적으로 팬덤을 구축한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허름한 국밥집, 한의원 같은 한국의 일상 속 공간들이 전 세계 ‘한류’ 팬들의 큰 공감을 얻었다. 이처럼 특정 장소에 대한 감정적인 유대가 지리적 경계를 넘어 전이되는 현상, 이른바 ‘포터블 멀티로컬리…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애플 등에서 활동하던 슈퍼 인텔리전스 연구자들을 직접 나서서 공격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1인당 1억∼2억 달러(약 1380억∼2770억 원) 수준의 보상 패키지를 제시…
최근 젊은 소비자 사이에서 약속 전에 서로 꾸미는 수준을 미리 정하는 ‘꾸밈 단계 맞추기’가 유행하고 있다. 1단계인 ‘민낯으로 가볍게 만나기’부터 4단계인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큼 완벽하게 꾸미기’까지 만남의 성격에 따라 꾸밈의 정도를 미리 약속하는 것이다. 그냥 각자 스타일대로 입…
최근 한 의사가 유튜브 채널에서 MZ세대 수련의와 일하며 겪었던 당황스러운 경험을 털어놨다.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자, 당시 전공의였던 그는 옆에 있던 수련의에게 긴급 조치를 요청했다. 하지만 수련의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퇴근 시간이니 당직 의사를 부르라는 것이었다.…
기술의 안보재화 시대인공지능(AI), 반도체, 배터리, 양자컴퓨팅 등 첨단 기술을 국가 안보와 경제 주권을 좌우하는 핵심 전략 자산으로 바라보는 ‘기술의 안보재화(Techno-Nationalism)’가 부상하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은 공급망 블록화와 기술전쟁을 촉발했고 유럽연합(EU…
“혼란기는 위험한 시기이다. 하지만 가장 큰 위험은 현실을 부정하려는 충동이다.” 경영학 구루 피터 드러커는 1980년 저서 ‘혼란기의 경영’에서 인구구조의 변화, 글로벌화 심화 등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미래 메가 트렌드를 예측하면서 경영자들에게 어제의 확실성에 기대기보다 새로운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