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KTX울산역 환승센터 개발 포기…휘몰아치는 ‘후폭풍’

  • 동아일보

코멘트
KTX울산역세권 개발의 선도사업인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이 백지화됐다. 롯데그룹이 수립한 사업 조감도. 울산시 제공
KTX울산역세권 개발의 선도사업인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이 백지화됐다. 롯데그룹이 수립한 사업 조감도. 울산시 제공
롯데그룹이 울산시와 손잡고 추진한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사업을 10년 만에 포기하면서 후폭풍이 거세다. 울산 도시개발 계획의 핵심인 땅을 장기간 묶어둔 롯데의 무책임한 태도를 비판하는 여론과 함께 소송전으로 비화할 조짐도 보인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 나온 민감한 이슈로 정치권의 정쟁으로까지 번지는 분위기다.

롯데울산개발은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울산 울주군 삼남면의 복합환승센터 토지 3만7732㎡와 주차장 시설물 등의 처분 내용을 담은 ‘비유동자산 처분 결정’ 보고서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롯데울산개발 이사회는 해당 토지와 시설을 울산도시공사에 되팔기로 결의했다.

처분 가격은 561억2273만 원으로, 이는 2016년 롯데 측이 울산도시공사로부터 매입했던 금액과 같다. 다만 공시 보고서상에는 해당 토지와 시설물의 최근 자산총액이 956억3140만 원으로 표기돼 있는데, 이는 토지 가격에 그동안 공사와 관리 비용 등이 포함된 금액이라고 롯데 측은 설명했다.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은 3125억 원을 들여 7만5480㎡ 부지에 환승센터와 환승 지원시설, 테마 쇼핑몰 등을 2018년까지 건립하는 것이다. 이 사업을 위해 롯데쇼핑은 2015년 울산시, 울산도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사업협약을 체결했고, 2016년 2월 출자회사인 롯데울산개발을 설립했다.

그러나 롯데울산개발은 유통환경 변화를 들면서 애초 계획을 백지화했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찾겠다면서 사업을 차일피일 미뤘다. 2019년과 2023년에는 롯데 측이 복합환승센터 지원시설 용지에 주거시설을 짓겠다고 밝혔다가 특혜성 요구라는 시민과 울산시의 질타로 무산되는 일도 있었다. 그동안 몇 차례 사업 철회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롯데 측은 “그럴 일은 전혀 없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롯데는 사업 포기 이유로 오프라인 상권의 급격한 쇠락과 철도 교통망의 중심이 울산 외곽인 KTX울산역에서 도심을 가로지르는 태화강역으로 재편한 점 등을 들고 있다. 롯데 측은 “울산역의 경제성이 갈수록 떨어지는 상황에서 태화강역 주변으로 다양한 개발 수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도저히 사업성을 확보할 방안이 없어 사업 포기를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의 이 같은 해명에도 책임감 없는 태도를 비판하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10년 전 울산역세권에 투자한 김모 씨(57)는 “울산역세권에 지어진 상가는 대부분 텅텅 비어있다”면서 “‘희망고문’만 해온 롯데와 울산시에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정치권에서도 질타가 이어졌다. 서범수 국회의원(울산 울주), 이순걸 울주군수, 시·군의원들은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년간 울산 시민을 기만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토지 반환을 넘어 사업 포기로 인해 발생한 막대한 기회비용 손실과 투자자들의 피해에 대해 배상 계획을 수립하라”고 밝혔다. 울산시에 대해선 “안일하고 무능한 행정”이라며 비판하면서 “지지부진한 울산역 복합환승센터에 공을 들이기는커녕 되려 8300억 원을 들여 태화강역에 또 다른 복합환승센터를 짓겠다고 나서면서 울산역 복합환승센터의 사업성을 떨어트렸다”고 책임을 물었다.

울산시는 “시민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토지 매입 절차를 마무리하고, 이후 복합환승센터 계속 추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롯데그룹#울산시#KTX울산역#복합환승센터#토지처분#사업포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