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청정수소 원팀 R&D에 2029년까지 1천190억 투입

송고 2025년10월23일 14시00분

세 줄 요약

정부가 청정수소 연구개발 및 실증을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하는 5대 핵심 분야 중점연구실에 2029년까지 1천190억원을 투입한다.

또 수요기업이 연구개발 단계부터 참여할 수 있는 청정수소 기술개발 과제를 내년부터 추진하고, 혁신 연합 내 분야별 '기술분과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혁신 연합은 명실상부한 청정수소 R&D 협업 플랫폼"이라며 "청정수소 기술 자립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혁신 연합 중심의 전주기 R&D 협력체계가 안착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조승한
조승한기자

5대 수전해 기술 고도화·실증 통해 산업 현장 적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청정수소 연구개발(R&D) 및 실증을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하는 5대 핵심 분야 중점연구실에 2029년까지 1천190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청정수소 R&D 혁신 연합 제1차 총괄위원회를 열어 이런 계획을 밝혔다.

혁신연합은 과기정통부와 청정수소 기술 수요기업, 연구기관 및 대학교 등 93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다.

2023년까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율 100% 달성을 위해 ▲알칼라인(ALK) 수전해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고체산화물 수전해(SOEC)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액상유기 수소운반체(KOHC) 등 5대 기술을 고도화하고 수요기업과 공동 실증해 사업화하기 위해 구성됐다.

총괄위원회는 김준범 울산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주요 수요기업 관계자, 수소 중점연구실 단장, 학계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여한다.

참석자들은 R&D 결과물이 원천기술 단계에서 머무르지 않고 실제 산업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수요 맞춤형 연구개발 체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실증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수요기업 관계자들은 국내 청정수소 기술 수준이 미국·유럽 등 선도국에 비해 낮다며 정부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실증 기반 확충에 적극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과기정통부는 5대 핵심 분야 중점 연구실에 예산을 투입해 수요기업의 상용화를 돕도록 시스템 대용량화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ALK 수전해 시스템 규모는 0.5메가와트(MW) 수준에서 2029년 10MW 수준까지 늘리고, PEM 수전해 시스템도 0.3MW에서 수MW 수준까지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 수요기업이 연구개발 단계부터 참여할 수 있는 청정수소 기술개발 과제를 내년부터 추진하고, 혁신 연합 내 분야별 '기술분과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혁신 연합은 명실상부한 청정수소 R&D 협업 플랫폼"이라며 "청정수소 기술 자립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혁신 연합 중심의 전주기 R&D 협력체계가 안착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shjo@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Sh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