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北, 극초음속 '화성-11마' 시험발사한듯…韓방공망 무력화 의도

송고 2025년10월23일 09시28분

세 줄 요약

북한이 지난 22일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이달 초 공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은 이날 구체적인 미사일 기종이나 세부 제원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신형 극초음속 비행체라고 언급한 것으로 미뤄볼 때 이달 초 처음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분석이 나온다.

화성-11마는 탄두 부분이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인데, 이날 북한이 공개한 해당 미사일도 화성-11마와 같은 극초음속 활공체의 외형을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김철선
김철선기자

이달 초 공개한 신형 미사일…저고도 변칙 기동으로 방공망 회피 특징

김정은은 참관 안 해…軍 "극초음속 핵심 변칙 기동 없었다" 판단

북한, 새 무기체계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 발사
북한, 새 무기체계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 발사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미사일총국은 지난 22일 중요 무기체계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통신은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고 전했다. 이번 시험발사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총국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다. 2025.10.23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김철선 기자 = 북한이 지난 22일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이달 초 공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평가가 나온다.

불규칙한 비행궤적으로 요격이 어려운 단거리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로 남한의 대공 방어망 무력화를 시도하는 한편,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북한은 23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전날 새로운 무기체계인 극초음속비행체 두 발을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평양시 역포구역에서 발사된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등판 목표지점에 떨어졌다. 발사지점과 탄착지점의 거리는 약 400㎞다.

우리 군은 전날 북한 미사일이 평양 인근인 황해북도 중화 일대에서 발사됐으며, 해당 미사일이 약 350km 비행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북한은 이날 구체적인 미사일 기종이나 세부 제원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신형 극초음속 비행체라고 언급한 것으로 미뤄볼 때 이달 초 처음 공개된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1마'라는 분석이 나온다.

화성-11마는 탄두 부분이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인데, 이날 북한이 공개한 해당 미사일도 화성-11마와 같은 극초음속 활공체의 외형을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다.

화성-11마는 이달 초 평양에서 열린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처음 등장했다.

화성-11형은 북한의 대표적인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인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의 제식 명칭인데, 공개된 화성-11마는 KN-23의 발사체에 극초음속 활공체(HGV) 형상의 탄두를 장착한 형태였다.

화성-11마는 지난 10일 북한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도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과 함께 재차 등장하기도 했다.

통상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대기권 안에서 비행하면서 변칙 기동하는 특성을 지녀야 극초음속 미사일로 분류된다.

탄도미사일만큼 빠른 속도에 순항미사일만큼 낮은 비행고도를 결합하고 변칙 기동성까지 부여함으로써 미사일 방어망을 회피할 수 있어 '게임 체인저'로도 불린다.

다만 우리 군은 전날 북한의 미사일 궤적에서 고도와 방향을 불규칙하게 바꾸는 변칙 기동은 식별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다.

변칙 기동은 미사일 요격을 어렵게 해 방공망을 무력화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핵심적 특징인데, 이번 시험발사가 그 정도 기술 역량까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로 북한의 중요 무기체계 시험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해온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이번 시험발사에선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험발사를 통해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확보 수준을 평가하긴 이르다면서도 앞으로도 북한이 계속해서 미사일 시험발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저고도 극초음속 활강 성능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정확도를 과시하기 위한 의도로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한미 방공망을 무력화를 위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두부가 글라이더 비행 또는 극초음속 효과를 냈느냐는 고도와 궤적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면서 "화성-11마형은 최소 500㎞ 사거리의 300㎞ 구간에서 활공하며 일정한 회피기동이 가능한 비행체로 추정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북한이 한국과 미국 등을 직접 거명하지 않으며 수위를 조절했다면서도 "사거리상 남측을 겨냥한 무기로 APEC 국내 개최를 염두에 둔 정치적 목적도 있다"며 "경주까지 사거리가 도달할 수 있는 미사일 시험발사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존재감 과시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kcs@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Sh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