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머니플로우] 국장·미장 모두 '유동성 파티'…뭉칫돈 줄 섰다

송고 2025년10월18일 08시00분

세 줄 요약

한국 증시와 미국 증시가 '쌍끌이' 호황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뭉칫돈을 동시에 빨아들이고 있다.

대신증권의 이경민 연구원은 "최근 미·중 갈등 수위가 높아졌지만, 정상회담을 앞둔 '협상 카드 확보'의 일환이라는 낙관적 해석이 지배적"이라며 "향후 미국은 기술주 모멘텀 지속과 3분기 실적 발표 때 주요 기업의 실적 가이던스의 기대감 충족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진투자증권의 허재환 연구원은 "미국은 AI 분야의 호황이 그 외 전통적 섹터의 어려움을 다 가리는 상황"이라며 "AI 투자에 적극적인 주요 기업의 실적이 좋은 만큼 AI 거품론은 걱정할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며, 미·중 갈등도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미국 트럼프 대통령도 내년 중간선거를 치러야 하는 사정을 볼 때 결국 타협 수순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김태균
김태균기자

한 주 새 투자자예탁금 80조 최고점 찍고 美 주식 순매수 2조4천억

'빚투' 과열에 주의보도…"韓 증시, 산업 개편 따른 구조적 강세장"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마감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마감

(서울=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한국 증시와 미국 증시가 '쌍끌이' 호황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뭉칫돈을 동시에 빨아들이고 있다.

1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13일 80조1천901억원으로 역대 최대치 기록을 경신했고 이후 다소 감소해 16일엔 76조5천374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자예탁금은 고객들이 증권사 계좌에 맡긴 잔금의 총합으로, '투자에 쓰일 실탄 양(量)'에 흔히 비유되고 주가 상승 기대감에 비례해 불어난다. 종전의 투자자예탁금 최대 기록은 2021년 5월 3일의 77조9천18억원이었다.

다른 주가 기대 지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15일 23조8천288억원까지 치솟아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거래융자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로, 이런 '빚투'(빚내서 투자)는 상승장 때 활발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금투협과 한국거래소는 앞서 17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주식시장 활황에 청년층과 50∼60대의 신용융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대출 투자 과열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국내 투자자들은 최근 1주일(10∼16일) 동안 미국 주식을 16억8천만달러(약 2조3천85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바로 전 추석 연휴(3∼9일)의 미국 주식 순매수액 12억4천만달러와 비교해 약 35%가 늘었다.

지난 한 주간 가장 인기 있었던 미국 종목은 반도체 업종 수익률을 3배로 증폭해 따르는 '디렉션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로 2억2천만달러(3천126억원)어치가 순매수됐다.

화색을 띤 미국 증시 트레이더
화색을 띤 미국 증시 트레이더

(AFP=연합뉴스)

순매수액 2위와 3위는 대표 AI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1억8천만달러)와 암호화폐 채굴기업인 아이리스 에너지(1억3천만달러)가 각각 차지했다.

코스피는 15일 종가 3,600선을 넘었고 이어 16일 3,700선을 뚫어 '사천피' 돌파가 가까워졌다는 기대감이 한껏 커졌다.

미국 대표지수인 S&P500도 대형 AI 기술주의 약진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우상향 기류가 지속돼 한 주 새 1.2%가 뛰었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증시에 대해 단기조정 가능성과 한미 무역 협상 등 변수가 상존하지만, 큰 틀에서는 호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이 일단 우세하다.

NH투자증권[005940] 리서치본부의 김병연 이사는 "AI 기술과 융합이 용이한 소프트웨어. 반도체, 헬스케어 등 신(新)경제의 비중이 확대되고 AI 융합이 어려운 구(舊)경제는 위축하는 구조적, 산업적 양극화가 이번 상승장의 핵심 배경"이라며 "미국의 AI 가치사슬에 연계된 국가와 산업은 계속 멀티플(배수) 확장이 가능할 전망이며, 1990년대의 IT 호황과 비슷한 상황이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김 이사는 이어 "현 시장은 결국 산업 효율성의 격차가 시장 격차를 재편하는 구조적 강세장"이라며 "코스피 5000 비전도 단순한 유동성 환상이 아니라 산업 양극화가 낳은 구조적 고평가의 정당화 구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짚었다.

미국 증시도 대중 무역 분쟁과 AI 실적 거품 등에 경계감 속에서도 호조 흐름이 꺾이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대신증권[003540]의 이경민 연구원은 "최근 미·중 갈등 수위가 높아졌지만, 정상회담을 앞둔 '협상 카드 확보'의 일환이라는 낙관적 해석이 지배적"이라며 "향후 미국은 기술주 모멘텀(반등 동력) 지속과 3분기 실적 발표 때 주요 기업의 실적 가이던스의 기대감 충족 여부가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진투자증권[001200]의 허재환 연구원은 "미국은 AI 분야의 호황이 그 외 전통적 섹터의 어려움을 다 가리는 상황"이라며 "AI 투자에 적극적인 주요 기업의 실적이 좋은 만큼 AI 거품론은 걱정할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며, 미·중 갈등도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미국 트럼프 대통령도 내년 중간선거를 치러야 하는 사정을 볼 때 결국 타협 수순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tae@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Sh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