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만 고위급 인사 방일도 잇따라…"유사시 美관여 회피 불안감"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일본의 해양 경비 당국인 해상보안청이 대만 해순서(해경)와 합동훈련 정례화를 추진 중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3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일본을 방문한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왼쪽에서 세번째)이 다카이치 사나에(오른쪽에서 세번째)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 일본 자민당 의원들과 만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출처: 일본 자민당 후루야 게이지 의원 페이스북]
양국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 6월 중순 오키나와현 사키시마 제도 앞바다에 대형 순시선을 파견해 해난 구조를 가정한 합동 훈련을 진행했다.
일본 측은 이 훈련에 동원한 헬리콥터 탑재형 순시선인 전장 134m의 '미즈호'를 합동훈련 완료 뒤 동남아시아 쪽으로 보내 말레이시아 해양 당국과 훈련 등 활동에 투입했다.
앞서 이들 기관은 작년 7월 지바현 앞바다에서 단교 후 첫 합동 훈련을 했다.
신문은 이번 훈련과 관련해 "중국의 함선이 위압적으로 활동하는 동·남중국해나 대만 주변 해역에서 한층 더 협력을 강화한 형태"라며 "해상보안청은 앞으로 동맹국과 우방국을 섞는 훈련도 시야에 넣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은 1972년 중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대만과 단교했다. 그러나 일본 측의 '일본·대만교류협회'와 대만측 협회 등을 창구로 교류는 이어왔다.
특히 올해는 대만 정부와 정치권 인사 방일이 잇따랐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5일에는 한궈워 입법원장(국회의장)을 비롯한 대만의 여야 의원 10여명이 방일했다. 대만 입법원장의 일본 방문은 2023년 7월 이후 2년여만이다.
같은달 초순에는 차이잉원 전 대만 총통이 휴가 목적으로 일본을 찾았다.
특히 지난 7월에는 린자룽 대만 외교부장(장관)이 일본을 방문한 사실이 알려졌고 중국은 8월에 일본과 열 계획이던 양국 농업장관 회담 개최를 막판에 연기해 항의성 결정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신문은 "대만 고위급 인사의 방일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대만 유사시 미국이 관여를 회피할 가능성을 둘러싼 불안감이 확산한 점도 있다"며 "이에 따라 대만 측은 일본과 한층 더 관계를 강화하려는 생각이 있다"고 전했다.
ev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10/03 10:34 송고
2025년10월03일 10시34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