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최근 드론 기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운반 시범사업을 덕적도 북2리 파래금 해변 일대에서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접근이 어려운 해안지역의 쓰레기 운반 문제를 해결하고 인천의 해양환경을 관리하고자 마련됐다.
시는 시범사업으로 해안에서 운반선까지 총 300㎏ 해양쓰레기를 운반할 수 있는 드론을 활용했다.
시범사업 대상지인 덕적도 파래금 해변은 해안 접근이 어려워 쓰레기 수거가 쉽지 않은 곳이다. 현재 옹진군은 해안쓰레기 운반선 ‘옹진청정호’를 운항하고 있으나, 해안에서 운반선까지의 쓰레기 이송 과정에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드론 운반으로 해양쓰레기를 안전하게 선박으로 옮겨 해안쓰레기 수거 효율을 높이고 해상작업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는 내년부터 옹진군 전역의 해안쓰레기 수거 취약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과 연계해 드론 기반의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드론은 이미 갯벌 순찰, 해양안전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번 시범사업으로 드론은 인천의 푸른 바다를 지키는 ‘환경 지킴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시가 ‘2025년 국토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국토교통부 지원으로 추진되는 ‘섬지역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과 연계돼, 섬 지역의 생활·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실증 플랫폼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박광근 시 해양항공국장은 “푸른 바다 환경을 위한 드론 활용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인천의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기술 기반으로 전환하겠다”라며 “드론 기술을 활용해 접근이 어려운 해안의 쓰레기를 신속·안전하게 처리하고, 깨끗한 바다를 후세에 물려줄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