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지방 명승지의 하나. 탄금대는 충주 서북으로 흐르는 남한강(南漢江)과 달천(達川)의 합류점 부근 대문산(大門山) 위에 있다.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으로 알려진 탄금대에 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14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 "탄금대는 견문산(犬門山)에 있다. 낭떠러지 푸른 벽이 높이가 스무 길 남짓이다. 그 위에 소나무·참나무가 울창하
카주는 사람의 목소리를 변형·증폭시키는 단순한 구조의 악기로, 세상에서 가장 연주하기 쉬운 악기 중 하나이다. 시가(cigar) 또는 잠수함 모양의 짧은 관으로 되어 있으며,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연주법을 따로 배울 필요 없이, 누구나 취구(Mouthpiece)에 입을 대고 노래를 하거나 허밍을 하면 악기에 장착된 원형의 작은 울림막(Membrane)이 진동하여 특유의 활기차면서도 긁는 듯
분류 관악기호른보스텔-작스 분류 막울림악기(Membranophone, 膜鳴樂器)최초 제작지역 미국최초 제작시기 1840년경최초 제작자 앨버머 베스트(Albama Vest)주요 사용 지역 미국, 영국주요 사용 명칭 Kazoo(영어), Bazoo(영어), Bazooka(영어), Gazooka(영어), Gazoota(영어), Hooter(영어), Tommy talker(영어)관련 악기 Eunuch flute(유너크 플루트)
국악기 중 현악기. 두 줄로 된 찰현악기로, 깡깡이, 앵금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두 줄로 된 찰현악기로, 깡깡이, 앵금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통, 복판, 입죽(줏대, 기둥대)과 활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울림통에 세로로 대를 세우고 울림통과 대를 2개의 줄로 연결하였다. 공명통은 대나무를 주로 쓰는데, 대의 뿌리 부분을 있는 그대로 다듬은 원통을 상품으로 친다. 양쪽
양금은 사다리꼴의 평평한 공명상자 위에 금속 줄을 얹고, 대나무를 깎아 만든 가느다란 채로 줄을 쳐서 연주하는 치터(zither)류 악기이며, 한국전통음악의 유일한 타현(打絃, 줄때림)악기이다. 유럽의 덜시머(Dulcimer)가 18세기에 중국을 거쳐 조선에 들어와 정착한 것이며, 풍류방음악과 일부 궁중음악에 사용되었다. [ 1. 양금] 양금(洋琴)은 치터(zither) 류에 속하며, 한국전통악기 중 유일한 타현
분류 현악기 > 타현악기(打絃樂器)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줄울림악기(Chordophones, 絃鳴樂器)팔음 분류 사부(絲部) 또는 금부(金部)음악 계통에 따른 분류 향부(鄕部)주요 사용 지역 한국주요 사용 시기 18세기주요 사용 명칭 양금(洋琴, 揚琴, 梁琴)(한국어),구라철사금(歐邏鐵絲琴),구라철현금(歐邏鐵絃琴),구라금(歐羅琴),구라동현소금(歐邏銅絃小琴),철사금(鐵絲琴),철사소금(鐵絲小琴),천금(天琴),번금(蕃琴),서양금(西洋琴),서금(西琴),삼현금(三絃琴)(이상 한국 고문헌)
칼림바는 1954년에 휴 트레이시(Hugh Tracey)가 고안한 악기로, 상자나 판 형태의 몸통 앞면에 음높이가 다른 금속 건반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있다. 건반의 음높이는 일반적으로 서양의 평균율에 맞춰 조율되며, 악기의 형태는 아프리카의 다양한 라멜로폰을 본뜬 것이다. 연주 시 두 손으로 악기의 몸통을 감싸 쥐고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위에서 아래로 건반을 튕겨서 소리를 낸다. 오늘날에는 휴 트
분류 타악기 > 유율타악기호른보스텔-작스 분류 몸울림악기(Idiophone, 體鳴樂器)최초 제작지역 남아프리카공화국 로데포르트최초 제작시기 1954년최초 제작자 휴 트레이시(Hugh Tracey, 1903~1977)주요 사용 명칭 Kalimba(영어),Modern kalimba(영어)
국악기 중 타악기. 호랑이를 본뜬 모양의 등줄기에 톱날처럼 생긴 톱니가 있는 악기이다. 어는 나무를 엎드린 호랑이의 모습으로 깎아 만든 악기이다. 호랑이의 등에는 등줄기를 따라 꼬리 부분까지 27개 톱니를 길게 박아 놓았다. 둥근 대나무 끝을 아홉 갈래로 쪼갠 채로 호랑이의 머리를 세 번 치고는 나무 톱을 꼬리 쪽으로 한 번 훑어 내린다. 이러기를 세 번 함으로써 음악의 끝을 장식한다
국악기 중 현악기.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여섯 개의 현을 가지고 있다. 거문고는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현악기이다.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4세기 경의 안악3호분(고구려 古墳) 벽화(壁畵) 중 주악도(奏樂圖)에서 발견되었다. 이 거문고는 7C 말경 신라에 전해져 나라의 보물 창고(天尊庫)에 보존되
▶ 기타리스트 조정치의 기타 코드 운지법 동영상 설명 - G코드 [기타 G코드 운지법 (설명 : 기타리스트 조정치)] G코드는 이런 모양으로 짚어주셔도 되고, 이렇게 짚어주셔도 돼요. 먼 훗날을 생각했을때 1번 손가락을 아껴두시고 2, 3, 4번 손가락으로 짚어주시면 좋아요.
국악기 중 현악기.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여 ‘가야고’라고도 한다. 가야금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며, ‘가야고’라고도 한다. 가야금의 울림통은 오동나무이고 12개의 현은 명주실로 만든다. 현을 지탱하는 나무괘는 기러기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안족(雁足)이라 부른다. 가야금은 맨 손가락으로 타는데 왼손은 안족 뒤편 줄 위
드뷔시(프랑스)의 출세작일 뿐만 아니라 인상주의의 작풍을 확립한 음악사상 획기적인 명작. 완성된 관현악 작품으로는 그의 제1작이기도 하다. 스테판 말라르메(Stephane Mallarmé, 1842~1898)와 사귀게 된 드뷔시(프랑스)는 그의 상징시 「목신의 오후」를 음악에 사용하려고 생각하고 전주곡 · 간주곡 · 끝곡의 3부작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작곡된 것은 이 전주곡뿐으로, 그 밖의 2곡은
원제 Prélude à l’aprésmidi d’un faune음악장르 관현악곡작곡가 드뷔시(프랑스)작곡연도 1894년초연 1894년
14세기경 이탈리아 또는 플랑드르 지역에서 고안된 건반악기인 하프시코드(Harpsichord)는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피아노가 상용화되기 이전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독주 및 합주 악기였다. 하프시코드의 일종으로 직육면체 소형 하프시코드인 버지널(Virginal), 다각형 소형 하프시코드인 스피넷(Spinet), 업라이트형 하프시코드인 클라비시테리움(Clavicytherium) 등이 있다. [ 1.
분류 건반악기, 발현악기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줄울림악기(Chordophone, 현명絃鳴악기)최초 제작지역 이탈리아 또는 플랑드르 지역으로 추정최초 제작시기 14세기경주요 사용 명칭 Harpsichord(영어), Clavecin(프랑스어), Cembalo(독일어), Clavicimbal(독일어), Flügel(독일어), Kielflügel(독일어), Cembalo(이탈리아어), Clavicembalo(이탈리아어)주요 제작자 뤼커르스(Ruckers) 가문, 쿠셰(Couchet) 가문, 블랑셰(Blanchet) 가문약자 Hps.
마림바는 나무나 유리섬유로 만든 여러 개의 톤바가 피아노의 건반처럼 배열된 유율타악기이다. 톤바 아래에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레조네이터가 달렸다. 마림바는 오케스트라 악기 중 가로가 가장 긴 악기이기도 하다. 마림바의 소리는 다른 악기와 잘 융합되기 때문에 독주뿐 아니라 각종 형태의 합주에도 많이 사용되며 대중음악에서도 종종 사용된다. 마림바는 비슷한 악기인 실로폰에 비
분류 타악기 >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호른보스텔-작스 분류 몸울림악기(Idiophone, 體鳴樂器)주요 사용 명칭 Marimba(영어),マリンバ(일본어)관련 악기 Xylophone(실로폰),Vibraphone(비브라폰)
팀파니는 케틀드럼의 일종인 유율타악기이다. 오케스트라에서는 보통 네 대의 팀파니가 세트로 연주된다. 반구나 포물선 모양의 볼에 헤드를 덮어 만들며 헤드의 장력을 조절하여 음높이를 바꿀 수 있다. 팀파니는 보통 네 대를 세트로 배열하며, 왼쪽부터 높은 음의 팀파니를 배열하는 인터내셔널식과 왼쪽부터 낮은 음의 팀파니를 배열하는 독일식이 있다. 팀파니의 음역은 지름에 따라 다
분류 타악기 > 유율타악기호른보스텔-작스 분류 막명악기(Membranophone, 膜鳴樂器)최초 제작시기 중세주요 사용 명칭 Timpani,Kettledrum(영어),Timbaless(프랑스어),Pauken(독일어),Timbales(이탈리아어),ティンパニ(일본어),定音鼓(중국어)관련 악기 Snare drum(스네어 드럼),Kūs(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