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 원자번호 79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Au이다. 11족에서 구리, 은 등과 함께 있다. 구리, 은, 금을 통틀어 구리족 원소라 하기도 하고 또 화폐 금속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들은 고대부터 자연에서 원소상태로 채취한 금속이다.
원자번호 79원소기호 Au원자량 196.966569g/mol발견자 고대부터 알려짐.전자배치 [Xe]4f145d106s1실온상태 고체녹는점 1064 ℃끓는점 2970 ℃밀도 19.30 g/cm³전기음성도 2.54존재비 지각 0.004ppm산화상태 -1,1,2,3,4,5천연 동위원소 수 1: 197Au(100%)원소명 어원 앵글로색슨어 geolo(노랑).[라틴어]Aurum(빛나는 새벽).겉보기 및 특성 높은 밀도의 무른 노란색 귀금속. 금속 원소 중 연성과 전성이 가장 큼.생산 또는 합성 광석에서 추출, 회수. 니켈과 구리 제련부산물. 재생.주요 용도 장신구와 투자 수단, 전자 제품의 도선과 연결 부품. 도금, 의약품 등.
약 1010년 전에 극히 높은 밀도와 고온의 상태로부터 대폭발(빅뱅, 초신성폭발과는 다름)을 거쳐 팽창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계속 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우주의 질량밀도를 정확히 결정하는 문제(중성미자의 질량여부와 암흑물질의 질량여부)에 따라 평평한 우주(0에 가까운 팽창률), 열린 우주(제한 없는 비율로 계속 팽창), 닫힌 우주(최대팽창이 멈추고 다시 수축)가 결정된다는 우주모형이다
[목차] 1.개요 2.금속 유기 골격체의 구조 3.금속 유기 골격체의 합성 4.금속 유기 골격체의 활용 분야 4.1.기체의 분리와 저장 4.1.1.수소 저장 4.1.2.이산화 탄소 포집 4.2.촉매 반응 4.3.기타 응용 5.참고 자료 [ 개요 ]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 MOF)는 금속 이온이나 뭉치에 여러 자리 리간드가 배위된 기본 단위(building block) 구조가 3차원으로 반복되어 견고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화합물이
제Ia형초신성은 초신성의 한 종류이다. 질량이 태양의 10배 이하인 항성이 백색왜성으로 진화한 뒤 동반성의 가스를 급격히 흡수하면서, 폭발하여 일시적으로 매우 밝게 빛나는 초신성이다. 제Ia형초신성의 최대 밝기는 은하 한 개의 밝기와 거의 맞먹을 정도로 매우 밝다. 이것은 제II형 초신성보다도 1등급(약 2.5배) 정도 더 밝다.
[노벨상 수상자] [솔 펄머터(Saul Perlmutter, 1959~)]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1986년에 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캘리포니아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자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1988년부터 수십억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수십 개의 초신성을 관찰하면서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갈수록 빨라진다는 사
강치는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바다사자과(Otariidae)에 속하는 종이다. 한반도 동해 해안과 일본 열도 일대 연안에 서식하였으나 현재는 멸종되었다. 특히 독도에 많이 살았다 하여 '독도강치'라고도 불렀다. 강치의 학명은 Zalophus japonicus이고 정식 이름은 강치가 아닌 '바다사자'이다.
[특징] [형태적 특징] 어류중에서 가장 큰 물고기로, 다 자란 고래상어의 경우, 몸길이가 18m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상어류와 달리 입이 주둥이 끝부분에 있습니다. 턱에는 300열의 매우 작은 이빨이 있답니다. [생태적 특징] 아가미에는 스펀지와 같은 조직이 있어 물과 함께 입을 들어온 먹이를 여과하여 먹는답니다. 주로 플랑크톤, 작은 갑각류, 떼 지어 다니는 물고기를 먹고
해파리는 대체로 투명하며, 갓 둘레에 많은 촉수를 가지고 있다. 촉수에는 자세포(쏘기세포)가 있어 동물분류학상 자포동물(刺胞動物)문에 속한다. 젤리 같은 몸을 가져서 영어로는 젤리피시(jellyfish)라 부른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해파리를 '해타(海鮀)'라 하고, 속명을 해팔어(海八魚)라고 하였다. 해타는 바다의 모래무지란 뜻이다. '타'는 뱀을 뜻하기도 하는데, 길게 늘어진 촉수가 뱀처럼 보여 붙은 이름일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