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유공자. [개설] 정몽석(丁夢錫)[1901~1966]은 1901년 6월 1일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면 도호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호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광주 시내에서 일어난 3.10만세운동에 숭일학교 학생 신분으로 참여하였다. 정몽석은 시위 군중에게 「독립선언서」, 「2천만 동포에게 고함」 등의 인쇄물을 배포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지역 광주광역시시대 근대/일제 강점기출처 디지털광주문화대전-정몽석
[정의]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 비둘기낭 마을에 있는 폭포. [명칭 유래] 폭포 뒤의 동굴에서 백비둘기들이 집을 짓고 살았는데, 비둘기 둥지와 같이 움푹 파인 낭떠러지라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유래하였다. [자연 환경] 비둘기낭 폭포는 포천 한탄강 주상 절리 협곡과 동일하게 한탄강 용암 대지가 불무산에서 발원한 불무천에 의해 개석되면서 형성된 폭포이다. 비둘기낭 폭포는 포
분야 지리/자연 지리유형 지명/자연 지명지역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시대 현대/현대출처 디지털포천문화대전-비둘기낭 폭포
[정의]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시대 왕릉군. [개설] 구리 동구릉(九里 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이다. 동구릉이란 도성 동쪽에 있는 아홉 개의 왕릉이란 뜻이다. 조선 초기 태조(太祖)의 건원릉(健元陵)이 이곳에 자리 잡은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총 아홉 개의 왕릉이 조성되었다. 왕릉이 생길 때마다 동오릉 또는 동칠릉 등으로 명칭이 바뀌
분야 역사/ 전통 시대유형 유적/능묘지역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인창동 66]시대 조선/조선문화재 지정 일시 1970년 5월 26일,2021년 11월 19일문화재 지정 번호 사적출처 디지털구리문화대전-구리 동구릉
[정의]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주택 별당 건물. [개설] 조선 시대 상류 주택의 별당 사랑채로 사용되던 전통 건축물로,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李珥)가 태어난 곳이다. ‘오죽헌’이라는 이름은 이이의 사촌인 권처균(權處均)의 호에서 유래했다. 권처균은 외할머니인 용인이씨에게서 집을 물려받았는데, 집 주위에 줄기가 손가락만하고 색이 검은 대나무[오죽(烏竹)]가 많이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유형 유적/건물지역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죽헌동 201번지]시대 조선/조선 전기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2021년 11월 19일출처 디지털강릉문화대전-강릉 오죽헌
[정의] 조선 후기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중앙동, 광복동, 남포동, 대청동 일대에 있던 왜관. [개설] 초량 왜관(草梁倭館)은 조선 전기 부산포 왜관, 임진왜란 직후 설치된 절영도 왜관, 1607년(선조 40) 조성된 두모포 왜관에 이은 네 번째 왜관이다. 조선 후기 왜관은 조선과 일본의 외교와 무역이 진행된 곳으로 대마도에서 온 500여 명의 성인 남성이 거주하였다. 조선 전기 왜관에 가족을 동반
분야 역사/전통 시대유형 제도/관부(전통 시대)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신창동,중앙동,광복동시대 조선/조선 후기출처 디지털부산문화대전-초량 왜관
[정의] 김대유를 시조로 하는 충청북도 제천시의 세거 성씨. [연원] 청풍 김씨의 시조는 고려 말 문하시중을 지낸 김대유(金大猷)로,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김정구의 17세손이다. 김대유가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으로 하였다. 김대유의 묘소는 옛 청풍부 도전리에 있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실묘하여 후손들이 제천시 수산면 도전리에 시조 제단(祭壇)과 단비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유형 성씨/성씨지역 충청북도 제천시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출처 디지털제천문화대전-청풍 김씨
[정의]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호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충주시 세거 성씨. [연원] 전주이씨는 신라 때 사공(司功)을 역임한 이한(李翰)을 시조로 한다.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이한의 22세손이지만 이성계의 고조할아버지인 목조 이안사(李安社) 이전의 계보는 전혀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전주이씨의 분파는 120여 파로 거의 대군(정비의 소생)과 군(후궁의 소생)을 파조로 하고 있다. 전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유형 성씨/성씨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출처 디지털충주문화대전-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신평·보성·구억리의 곶자왈 일대를 포함하는 도립 공원. [개설] 곶자왈은 수풀이 우거져 원시림 지대를 형성하며 빗물이 지하로 흘러들어 지하수를 만들기 때문에 제주 생태계의 ‘허파’로 불린다. 서귀포시 대정읍 4개 마을[무릉리·신평리·보성리·구억리]에 걸쳐 있는 약 154만 6757㎡에 이르는 규모의 곶자왈을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
분야 지리/인문 지리유형 지명/시설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구억리,무릉리,보성리,신평리시대 현대/현대출처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제주곶자왈도립공원
[정의] 밀물 때에는 바닷물로 덮여 있으나 썰물 때에는 육지로 드러나는 바닷가의 평평한 땅. [개설] 갯벌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바다로도 되고 육지로도 되는 지역이다. 갯벌을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은 육지에서 운반되어 퇴적된 것이다. 이러한 갯벌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간다. 또한 생산성이 풍부하고 오염 물질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 흔히 조간대, 간석지, 개펄 등으로
분야 지리/자연 지리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지역 전라남도 진도군출처 디지털진도문화대전-진도의 갯벌
[정의] 화산이 분출할 때 점성이 높은 용암이 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로 쪼개져 요철(凹凸)지형이 만들어지면서 나무, 덩굴식물 등이 뒤섞여 숲을 이룬 곳을 이르는 제주 고유어. [개설] 제주도의 동부, 서부, 북부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지하수 함량이 풍부하고 보온, 보습 효과가 뛰어나 북방한계 식물과 남방한계 식물이 공존하는 세계 유일의 독특한 숲이다. [교래곶자왈의 식생] 늡서리오름
분야 지리/자연 지리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시대 현대/현대출처 디지털제주문화대전-곶자왈
[정의] 강호경을 시조로 하고 강영을 입도조로 하는 제주의 세거 성씨. [연원] 시조 강호경(康虎景)은 고려 태조 왕건의 외(外) 6대조이고, 강호경(康虎景)의 4세손 강보육(康寶育)은 왕건의 외고조부로서 왕덕대왕(王德大王)으로 추존된 인물이다. 강씨의 실질적인 시조라고 할 중시조(中始祖: 1세)는 충렬공(忠烈公) 강지연(康之淵)으로 강지연(康之淵)은 몽골 침입 때 고려 고종(高宗)을 따라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유형 성씨/성씨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출처 디지털제주문화대전-신천강씨
[정의] 신영미를 시조로 하고 신윤유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의성군의 세거 성씨. [연원] 아주 신씨(鵝洲 申氏)의 발상지는 지금의 거제(巨濟) 지역이다. 신라 때부터 거제군(巨濟郡)으로 불렀던 큰 고을로 아주현(鵝洲縣), 송변현(松邊縣), 명진현(溟珍縣)이라는 3개의 지역단위가 있었다. 아주 신씨는 아주현의 토호세력 중 권지호장(權知戶長)을 지낸 신영미(申英美) 시조로부터 비롯되었다.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유형 성씨/성씨지역 경상북도 의성군출처 디지털의성문화대전-아주 신씨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장산(萇山)은 옛날 장산국이 있던 곳이라 하여 붙은 이름으로 전한다. 상산(上山)으로도 불렸는데, 전설에 따르면, 상고 시대에 산 아래 우시산국(于尸山國)이 있었는데 시(尸)는 고어로 ‘ㄹ’로도 읽고 ‘ㅅ’으로도 읽어 울산 또는 웃산이 되었다가 옛 동래 지방에서 웃뫼라고 부르면서 상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자연 환경] 장산
분야 지리/자연 지리유형 지명/자연 지명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시대 현대/현대출처 디지털부산문화대전-장산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건립 경위] 서산 해미읍성(瑞山海美邑城)은 1416년(태종 16) 이후 예산 덕산(德山)에서 충청병마도절제사영(忠淸兵馬都節制使營)이 서산으로 이설된 뒤, 1652년(효종 3) 청주로 옮겨 가기 전까지 약 230여 년간 군사권을 행사하던 거점성이다. 조선은 건국 초부터 해안 방비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집중적으로 시행하였다. 태조는 평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유형 유적/유적(일반)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동문1길 36-1시대 조선/조선 전기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2021년 11월 19일출처 디지털서산문화대전-서산 해미읍성
[정의]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로 하고 박선호(朴善好)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연원] 밀양박씨의 시조는 박혁거세이며, 시조로부터 45세(世)인 박현(朴鉉)을 규정공파(糾正公派)로 하여 중시조로 삼는다. 2세 박문유(朴文有)는 경주판관, 3세 박사경(朴思敬)은 법전판사, 9세 박소영(朴召榮)이 부제학감사, 14세 박천손(朴天孫)은 형조참의를 지냈다. [입향 경위] 김천 지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유형 성씨/성씨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월곡리출처 디지털김천문화대전-밀양박씨 규정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