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식물백과 27,639건
  • [분포] 한국(경상남도, 전라남도), 중국 [특징] 꽃이 귀한 초겨울을 즐길 수 있다. 겨울 내내 푸른 잎과 자주색 열매, 섬세하고 풍성한 가지에 황홀한 향기까지 갖추어 정원수로는 금목서보다 더한 식물이 없다는 것이 학계의 얘기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7~12cm×2.5~4cm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며, 표면은 짙은 녹식이고 뒷면 측맥이 어느 정도

  • [특징] 개화형태에 따라 하나의 꽃대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스탠더드국화로 흔히 장례식이나 제례용으로 사용되는 흰색, 노란색이 국내에서는 유통되고 있으며, 하나의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을 피우는 스프레이국화로 보통 꽃꽂이나 꽃다발용으로 사용되며 시장이나 화원에서 보이는 다양한 색들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국화는 화색이 아주 다양하고 화형도 가장 흔하게 보이는 홑꽃형을 비롯

  • [개요]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m쯤이며,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9-10월에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가운데는 관모양꽃, 주변부는 혀모양꽃이 있다. 혀모양꽃은 암술만 가진 단성꽃이며, 관모양꽃은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꽃이다. 감국과 구절초의 교배를 통해 개량화되었으며, 꽃의

  • [특징] 18세기 말에 아시아의 각 원종이 유럽에 도입되고 이들 유럽과 아시아 원종간의 교배가 이루어져 화색이나 화형은 물론 사계성이나 개화성 등 생태적으로 변화가 많은 품종들이 만들어졌다.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old rose), 19세기 이후의 장미를 현대장미(modern rose)라 한다. 장미는 온대성의 상록관목으로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이다. 적정생육온도는 구간 24~27℃이고 야간온도 15~1

  • [ 1. 구분] 송라과의 지의류로 가는 실 같고 흰 녹색을 띠며 길이 15~50㎝ 정도로 뒤엉키듯 쳐져서 자란다. [ 2. 서식지] 깊은 산 1,000~1,500m 고지 고원지대 중에서 습하여 안개가 잘 끼고 눈이 많이 오며 숲이 우거져 그늘진 곳의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 고목의 줄기나 죽은 가지에 아주 드물게 붙어서 자란다. [ 3. 특징] 고산 지역의 가문비나무 줄기에 아무 드물게 붙어서 자라며 실

  • 여러해살이풀로 관엽식물이며, 개화기에는 관화도 한다.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생김에서 따온 것이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동북아시아 뿐만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넓게 분포한다. [형태] 식물체 높이는 20~50cm이며,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흔히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된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

  • [특징] 수고 5~6m 정도로 구불구불 굽어지며 자란다. 수피는 옅은 갈색으로 매끄러우며 얇게 벗겨지면서 흰색의 무늬가 생긴다. 타원형의 잎은 마주나고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이다. 표면에 광채를 띄며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듬성듬성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거의 없다. 가지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의 꽃은 홍자색으로 피고 우리나라에서는 7월부터 늦가을까지 꽃이 달려

  • [특징]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가늘고 긴 돌기가 있다. 가지는 회색이며 털은 없다. 햇가지는 짙은 적자색이다. 겨울눈은 뾰족하며 털이 전혀 없고 끈끈한 점성이 있다. 잎은 4~7쌍의 쪽잎으로 된 깃모양곂잎(羽狀複葉)이다. 쪽잎은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며 끝은 날카롭게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굴거나 좁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거나 겹톱니모양이며 그 끝은 홑톱니 모

  • [특징] 백일홍이란 꽃이 100일 동안 붉게 핀다는 뜻을 가지며 백일초라고도 부른다. 최근 일본에서는 대형종에 왜화제를 처리해서 분화용으로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백일홍은 꽃 색이 선명하고 풍부하며, 꽃 형태도 소형의 꽃송이가 잘 피는 것부터 다알리아 크기의 거대한 송이까지 있다. 백일홍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절화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화단에 심겨지

  • [생육형]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6cm, 폭 2.5-4.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짧은 원통형이다. [꽃]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2mm이지만 꽃이 핀 다음에는 길이가 5-6mm로 된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

  • [기능성정보] 그늘진 곳에서 잘 견디지만, 실내 밝은 간접광이 더 좋다. 환경 조건에 견디는 힘이 뛰어나고 과습한 상태에서 저온상태가 되면 뿌리가 썩기 쉽다. 수분이 많은 지하경을 가지고 광택이 있는 잎이 매력적이다.

  • [ 1. 구분] 뽕나무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로 키가 10m 정도 자라며 잔가지가 많이 나온다. 가시가 있다. [ 2. 서식지] 산 100~700m 고지의 양지바른 기슭이나 비탈, 바위틈, 밭둑, 바닷가에 서식한다. 주로 야산에서 볼 수 있다. [ 3. 특징] 열매와 꽃이 둥근 머리 모양이다. [잎] 길이 6~10㎝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은 뾰족하거나 무디게 뾰족한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2~3갈

  • [ 1. 일반설명] 무궁화는 낙엽 관목으로서 여러 품종이 있고 높이가 3-4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진다.무궁화는 정원에서 재배가 쉽고 씨로 번식이 가능하지만 꺽꽂이로 번식되므로 형질을 변형시키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쉽다.잎은 어긋나며 달걀모양이고 대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 2. 꽃, 씨앗, 열매] 꽃은 7~10월에 피며 1개씩 달리고 새벽에 꽃이 피

  • [ 1. 특징] 알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풀이다. 알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은 어두운 갈색이고 밑바닥에 많은 뿌리가 나 있다. 난초잎과 비슷한 연한 잎이 뭉쳐 자라는데 잎 끝은 둥그스름하다.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잎이 말라버린 후에 60cm 정도의 높이를 가진 꽃대가 자라난다. 꽃대의 끝에 4~8송이의 꽃이 뭉쳐 피는데 완전히 핀 꽃은 모두 옆을 향한다. 지름 7cm 안팎의 꽃은 6장의 피침 모양의

  •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 [특징]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가 3-10cm로서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꽃은 7-10월에 피고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밑부분에 잎같은 2개의 난상 원형의 포가 받치고 있다. 머리모양꽃차례는 2개의 작은포로 싸여 있는 많은 낱꽃으로 되며 낱꽃은 보통 적색이지만 연홍색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