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 대한 애정이 깊고 인내심이 강한 순종적인 개. 아메리칸 핏불 테리어는 싸움을 좋아하는 호전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오랫동안 투견으로 생산되고 길들여져 왔다. 핏불테리어의 고통을 참아내는 인내력과 강한 힘을 투견에 이용한 사람들의 행위로 인하여 이 개들은 부정적이고 나쁜 이미지로 세상에 알려졌다. 그러나 이 견종은 자신의 가족에 대해서는 애정과 애교가 넘치고
원산지 미국체고 46~56cm체중 23~36Kg크기 중형외모 중형의 단단하게 짜여진 운동선수같은 근육질의 몸을 가짐성격 느긋하고 조용하지만 아주 강하고 대담하면서도 냉철함추천성향 아파트/단독주택/전원주택,운동량 많음주요유의질병 백내장색상 다양한색상그룹구분 테리어친화성 높음털빠짐 보통집지키기 보통실내외구분 실내,실외
카피바라란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와 브라질 남부에 사는 인디오말로 '초원의 지배자'라는 뜻. [특징] 카피바라(Capybara)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로, 주로 남아메리카의 습지, 강가, 늪지 등 물가에서 서식합니다. 물과 육지를 자유롭게 오가며 수영과 잠수가 능숙하며,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물속에서 오래 머무를 수 있습니다. 주로 육지에서 생활하지만, 더위를 피하거나 천적으로부
학명 Hydrochoerus hydrochaeris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설치목(Rodentia) 과 : Hydrochaeridae 속 : Hydrochoerus크기 100~130cm무게 27~79kg수명 8~10년식성 초식성(목초, 수생식물, 과일)서식지 호수, 강, 습지, 연못분포정보 분포지 : 남미
[생태적 특징] 족제비는 전국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동물이며, 산림지대의 바위와 돌이 많은 계곡에서 주로 생활한다. 겨울에는 인가 근처의 창고에서 살며 죽은 나무와 나무뿌리 밑, 돌담 사이 구멍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먹이는 서식환경에 따라 다르나 여름철에는 곤충류, 갑각류, 어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이며 나무 열매도 먹는다. [일반적 특징] 다리는 짧고 몸은 길다. 수
학명 Mustela sibirica생물학적 분류 문 : 척색동물문(chordate)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식육목(Carnivora) 과 : 족제비과(Mustelidae) 속 : 족제비속(Mustela)
비숑 프리제는 바빗을 닮아 바비숑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견종이다. 털이 돌돌 말린 형태를 띠며, 사교성이 매우 좋은 소형견이다. [역사] 비숑 프리제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전해졌다. 생김새가 아주 작은 바빗(Barbet)과 흡사하여 “바비숑(barbicho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가 “비숑”으로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17세기와 18세기에 여러 유명한 화가들이 왕과 귀족을 비롯
FCI 스탠다드 No. 215원산지 프랑스/벨기에공식 표준의 발표일자 2016년 4월 4일용도 반려견FCI 분류 그룹 9 반려견 및 토이독,섹션 1 비숑 및 관련 견종 / 1.1 비숑,훈련경기대회 미실시
[특징] ‘뮤즈의 도마뱀’이라는 뜻이다. 이 바다도마뱀의 턱뼈 화석이 1770년에 탄광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탄광이 그 당시 바다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생김새는 물고기와 도마뱀을 섞어 놓은 것 같다. 육지에서 살다가 물속 생활에 맞게 진화해, 몸은 물고기를 닮아 길쭉하지만 뼈의 구조는 도마뱀에 가깝다. 머리는 짧고 몸통은 길며, 쉽게 구부릴 수 있었다. 네 개의 지느러미와
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바다 파충류 목 : 바다도마뱀생존시대 백악기/후기식성 육식성발견지 유럽(네덜란드)길이 12m
[특징] 1초에 19~90번의 날개짓을 한다. 약 320여종이 있음. 날아다니는 힘이 강하며, 벌처럼 공중에서 정지하여 꿀을 빨아 먹는다. [생생스토리] 벌새란 이름은 벌같다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꽃에있는 꿀을 먹고, 꿀벌보다 더 부지런히 날개짓을 한다.
학명 Trochilidae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조강(Aves) 목 : 칼새목(Apodiformes) 과 : 벌새과(Trochilidae)크기 50~215mm무게 1.8~24g식성 꽃 속의 꿀, 곤충, 거미분포정보 분포지 : 알래스카, 대체로 열대지방에 많이 분포
[특징] 지역에 따라 몸빛의 변이가 심하다. 일반적으로 초록색 바탕에 붉은 띠무늬가 있으며 목 부위에 올리브색의 무늬가 있다. 배 쪽은 황백색이며 검은 반점이 분포한다. 몸빛은 남쪽으로 갈수록 녹색바탕이 연해진다. 제주도산은 일본산과 비슷해서 올리브색이며, 목 부위에서 황색 또는 올리브색의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몸통비늘은 19열이며 비늘에는 용골돌기가 있어 손으로 만지
학명 Rhabdophis tigrinus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파충강(Reptilia) 목 : 유린목(Squamata/Serpentes) 과 : 뱀과(Colubridae) 속 : Rhabdophis크기 70~80cm식성 지렁이, 올챙이, 개구리휴면시기 겨울휴면방법 동면
[특징] 'procyon lotor'는 '씻는 곰'이라는 의미로, 물건을 물에 담그는 습관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raccoon'은 인디언 말로 '냄새를 찾는 손'이라는 의미이다. 뾰족한 주둥이에 눈 주위로 나있는 굵고 검은 무늬가 특징이다. 윗털은 길고, 윗털 아래로 회갈색의 두꺼운 밑털이 자란다. 꼬리에는 검은색 혹은 갈색의 고리 무늬가 5~10개 정도 있다. 수컷이 암컷보다, 북쪽에 분포하는 개체가 남쪽에 분
학명 Procyon lotor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식육목(Carnivora) 과 : 아메리카너구리과(Procyonidae) 속 : Procyon크기 41.5~60cm무게 2~12kg수명 5~16년식성 잡식성(열매, 도토리, 파충류, 어린 쥐, 각종 동물의 알, 대형 척추 동물과 그 새끼)천적 퓨마, 재규어, 코요테, 스라소니, 여우, 늑대, 담비, 개, 독수리, 뱀활동시간 밤서식지 숲, 연못주변 습지, 맹그로브 숲, 호수, 얕게 흐르는 강
영리하고 귀소본능이 뛰어나며 주인에게 충성심이 강한 개. 진돗개는 '돌아온 백구'의 일화가 있을 정도로 한번 주인이면 영원한 주인으로 섬기며, 뛰어난 귀소성을 간직하고 있다. 그만큼 첫 정을 준 주인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또한 진돗개는 야생성에서 기인한 사냥 본능, 보금자리에서 대소변을 보지 않으려는 청결성도 특징이다. 다른 개에 대한 서열의식 등이 남아 있고 특히 동성의 개
원산지 한국체고 45~53cm체중 15~20kg크기 중형외모 역삼각형의 머리와 곧게 선 귀가 특징성격 야생성이 남아 있어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심, 사냥 본능, 대소변 장소를 가리는 청결성, 신중함 등의 특징을 가짐.추천성향 단독주택 / 전원주택 적합 / 계절에 집중되는 털갈이 감내시 실내 생활 가능색상 황색, 흰색. 네눈박이, 재색 등그룹구분 한국개친화성 가족 충성, 낯선 사람 경계털빠짐 보통 / 계절 집중 털빠짐집지키기 뛰어남실내외구분 실외 / 야외배변을 위한 산책 및 계절 집중 털갈이 감내시 실내 가능
족제비과의 수달아과에 딸린 포유류다. 매끈한 유선형의 몸은 길이가 1,250mm이고 몸무게는 12kg 정도이며 발에 물갈퀴가 있고 이중구조의 털가죽은 방수 및 보온 기능이 매우 뛰어나다. 육식성으로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는 수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다. 주로 하천을 따라 살아 활동 영역이 선형을 띠어 국내 전역에 분포해도 실제 서식 밀도는 매우 낮다. 남획, 서식지 파괴, 먹이원 감소, 교통사
분류군 포유류학명 Lutra lutra생물학적 분류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식육목(Carnivora) 과 : 족제비과(Mustelidae) 속 : 수달속(Lutra)지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천연기념물,한국 적색목록 취약(VU),IUCN 적색목록 준위협(NT)
[특징] 얼굴모양은 미국너구리와 비슷하다. 털이 길고, 눈 아래 검정색 큰 점이 있다. 소변, 대변을 보는 자리가 일정하다. 여러마리가 한 장소를 변소로 이용하면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추운 겨울이 되면 긴 털이 더 길어진다. 자신이 거주하는 굴은 직접 파기도 하고 바위틈을 이용하기도 하며 여우나 오소리가 만들어 놓은 굴에 그냥 들어가기도 한다. 북쪽에 사는 영양상태가 좋
학명 Nyctereutes procyonoides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포유강(Mammalia) 목 : 식육목(Carnivora) 과 : 갯과(Canidae) 속 : Nyctereutes크기 50~68cm무게 4~10kg수명 7~8년식성 잡식성(개구리, 설치류, 파충류, 어류, 곤충, 연체동물, 과일, 열매, 씨앗, 식물의 뿌리)휴면시기 11월~3월휴면방법 겨울잠서식지 산림, 강, 개울 근처의 빽빽한 수풀, 굴분포정보 분포지 : 시베리아 남동쪽에서 베트남 북부 사이, 일본 혼슈
[형태] 크기는 10mm 정도이며, 몸은 좌우대칭이고, 길쭉한 리본형으로 갈색 및 어두운 갈색이나 서식환경에 따라 다양하다. 몸 아랫면이 윗면보다 밝다. 머리에는 눈(안점)이 1쌍 있고, 아랫면 가운데에 입(인두)이 있다. 살아있는 개체의 머리는 화살촉 모양이지만, 표본으로 관찰할 때는 둥글게 보인다. [동정 포인트] 몸 형태, 머리 모양 [생태] 계류, 평지하천, 강 등 여울이 발달된 유수역에 서
학명 Dugesia japonica Ichikawa and Kawakatsu생물학적 분류 문 : 편형동물문(Platyhelminthes) 과 : 플라나리아과(Planariidae)서식지 유수역 : 계류, 평지하천, 강섭식 긁어먹는무리(scrapers),주워먹는무리(gathering collectors),잡아먹는무리(predators)행동 기는무리(sprawlers),붙는무리(clingers)환경지표 오염내성도 : 보통 환경질점수 : 3
작은 사모예드로 개량해서 만든 일본제 스피츠. 그들은 총명하고, 용감하며, 쾌활한 성격을 가진 이 개들은 다른 스피츠 품종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그들의 털은 그 자체로 깨끗하고 자기의 주인이나 가족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반려견으로 적합하게 작고, 장난을 치며 놀 만큼 제페니스 스피츠는 아이들이나 노인들이 선택하여 기르면 좋다. 주의력, 관찰력이 대단히 좋고 경계심
원산지 일본체고 30~35cm체중 6~10kg크기 중형외모 순백의 털과 장식털이 많은 꼬리, 뾰족한 얼굴과 일어선 귀를 가짐성격 총명하고 용감하며 쾌활하고 가족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함추천성향 아파트/단독주택/전원주택,어린이/젊은층/노년층,운동량 보통색상 흰색그룹구분 논스포팅 (일반적인 의미의 비수렵견, 실용견)친화성 보통털빠짐 많음집지키기 뛰어남실내외구분 실내,실외
꼬리지느러미는 8~9개의 골판을 가진 키지느러미로 변형되어 마치 꼬리가 없는 물고기처럼 보인다. 몸은 측편되었으며 등은 청흑색, 배는 회백색이다. 눈, 입, 아가미구멍은 매우 작으며, 등·뒷지느러미는 몸의 후반부에 마주보며 위치한다. 연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의 중·표층에서 플랑크톤, 해파리를 먹고 살며 표층에 떠 잠을 자기도 한다. 크기는 3m. 식용어이며 대형 수족관에서도 인기
외국어 표기 Ocean sunfish(영어),Trunkfish(영어),manbō(일본어 로마자표기)학명 Mola mola목 복어목(Tetraodontiformes)과 개복치과(Molidae)방언 골복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