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 생식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동물을 이용하기도 하고, 바람을 이용하기도 하고, 스스로 씨앗을 퍼트리는 식물도 있습니다. 꽃 피는 계절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 이미 어느 지역에서는 벚꽃이 개화하기도 했습니다 . 겨울 동안 잎이 다 떨어져 앙상했던 나무에도 하나둘 꽃이 피면 그렇게 화사해 보일 수가 없습니다 .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봄이 되면 ' 화분증 ' 이라 불리는
미각은 맛을 느끼는 감각으로, 혀의 미각 세포와 코의 후각 세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맛을 인지한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혀는 맛을 느끼는 기관이에요 .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단맛 , 짠맛 , 신맛 , 쓴맛 , 감칠맛까지 다섯 가지 맛을 느껴요 . 최근에는 칼슘맛 , 탄산맛 등 새로운 맛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지요 . 우리가 맛을 느끼는 것은 혀 속의 아주 작은 기관인 미뢰 덕분이
탄소연대측정법은 탄소-14를 이용해 유물 또는 생물 유해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식이에요. 미국의 윌라드 리비 교수팀이 1949년에 개발했지요. 탄소연대측정법으로 유물, 유적 등의 연대를 알아낼 수 있다. (출처: Pixabay) 가끔 고고학자들이 땅속에서 수백 년 전 유물 ( 유해 ) 을 찾아냈다는 뉴스를 본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 모든 유물에 언제 만들어졌다고 생성연도가 적혀 있는 것도 아닌데 ,
고생대는 약 5억 4100만 년부터 2억 5200만 년 전까지의 지질시대로, 해양 생물이 크게 번성했어요. 삼엽충이 대표적인 고생대 생물이지요. 삼엽충 화석. (출처: Pixabay) 고생대는 지구 역사상 처음으로 화석이 많이 발견된 지질시대예요 . 약 5 억 4100 만 년부터 2 억 5200 만 년 전으로 추정되지요 . 그전까지는 미생물이나 부드러운 형태로 살던 생물이 고생대부터 폭발적으로 진화해 늘어나기 시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태양의 고도라고 해요. 우리나라는 하루 중 낮 12시 30분경에 태양 고도가 가장 크지요. 해가 질 때나 뜰 때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 해가 비스듬히 비친다. (출처: Pixabay) 태양은 하루 동안 고도가 달라져요 . 24 시간마다 동쪽에서 떠서 남쪽을 지나 서쪽으로 지지요 . 이에 따라 태양의 고도는 점점 높아지다가 정확히 남쪽에 있을 때 가장 높이 뜨고 , 그 뒤
1974년 6월 26일, 미국 오하이오주의 한 슈퍼마켓에서 처음으로 바코드로 물건이 찍혔어요. 바코드는 미국의 발명가 노먼 조셉 우드랜드와 버나드 실버가 발명했답니다. (출처: 위키미디어) 우리가 물건을 살 때 거의 항상 하는 일이 있습니다 . 바로 바코드 찍기죠 . 검고 흰 줄무늬인 ‘ 바코드 ’ 는 물건의 종류 , 가격 , 제조 회사 등 상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판독기로 바코드에 강한
1923년 3월 16일, 미국의 과학자 로버트 고다드는 세계 최초의 액체 로켓 발사에 성공했어요. 로버트 고다드와 로켓. (출처: 위키미디어)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눈 덮인 벌판 . 두꺼운 코트를 입은 남자가 허술한 텐트같은 구조물 옆에 서 있습니다 . 이 사람은 로켓 연구의 선구자인 미국의 과학자 로버트 고다드예요 . 옆의 구조물은 직접 만든 액체 로켓과 발사대고요 . 이 사진은 세계 최초 액
1910년 3월 5일, 라면을 발명한 안도 모모후쿠가 대만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밀가루 국수를 튀겨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현재의 라면을 만들어 냈죠. 맛있고 저렴한 데다 조리도 간편한 즉석 라면은 세계에서 사랑받는 음식이에요. 중국 화북 지방에서 먹던 ‘납면’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 납면이 일본으로 건너가 ‘라면’이란 발음으로 정착했죠. 우리가 아는 즉석 라면은 일
1943년 2월 20일, 멕시코 파리쿠틴에서 화산이 폭발했어요. 이는 이전에 없던 화산이 처음 폭발한 것으로, 파리쿠틴 화산은 1952년까지 폭발하며 424 m 높이의 산을 이뤘답니다. (출처: 위키미디어) 1943 년 2 월 20 일 , 멕시코 파리쿠틴의 농부 ‘ 디오니시오 풀리도 ’ 는 다가오는 봄에 옥수수를 심을 준비를 하느라 여념이 없었습니다 . 오후 4 시 즈음 옥수수밭에 도착한 그는 밭에 난 균열을 발
1823년 영국의 발명가 토머스 핸콕이 처음 고무줄을 만들었다고 해요. 그러나 1845년 3월 17일, 고무줄 특허를 받고 생산한 사람은 핸콕의 공장에서 일했던 스티븐 페리였답니다. (출처: Pixabay) 머리를 묶을 때 , 흘러내리는 바지를 조일 때 , 작은 물건들을 단단하게 묶을 때 , 새총을 쏠 때 …. 고무줄의 쓰임새는 무궁무진해요 . 그런데 고무줄은 만들어진 지 200 년도 안 된 발명품이라는 사실 !
중생대는 여러 공룡이 번성했던 지질 시대로, 약 2억 52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까지 해당해요. (출처: Pixabay) 중생대는 약 2 억 5200 만 년 전부터 6600 만 년까지 여러 공룡이 번성했던 지질 시대예요 . 공룡으로 대표되는 파충류가 중생대 전 기간에 걸쳐 크게 번성했기 때문에 , 중생대를 ‘ 파충류의 시대 ’ 라 부르기도 해요 . 중생대는 빙하기가 없었던 유일한 지질 시대이기도 해요 . 활발한
홀로그램은 두 빛이 만날 때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이용해 3차원으로 물체나 장면을 기록한 것이에요. 즉, 입체를 기록하는 거죠.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홀로그램은 두 빛이 만날 때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이용해 물체나 장면을 3 차원으로 기록한 것을 말해요 . 2 차원으로 상의 색과 명암 정보만 기록하는 사진이나 동영상과 달리 홀로그램은 사람의 눈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 정보가 더
지방은 에너지를 제공해 주는 3대 영양소 중 하나로, 1 g당 9 ㎉의 열량을 내요. 기름에 튀긴 음식에는 지방이 많이 들어 있다. (출처: Pixabay) 기름에 튀기면 신발도 맛있다는 말이 있어요 . 그만큼 튀김은 맛있다는 뜻인데요 , 이는 다 기름 덕분이에요 . 기름은 곧 지방이기도 한데 , 사람의 혀에는 지방의 맛을 느끼는 수용체가 발견되기도 했어요 . 그만큼 지방은 사람이 좋아하는 영양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