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호

“한중수교 33년, 아직도 한국인은 중국을 모른다”

[Interview] ‘한국 1호’ 중국 베이징대 역사학 학·석·박사 이원엽

  • 최창근 경제사회연구원 미래센터 위원 caesare21@hanmail.net

    입력2025-09-02 09: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한중수교 직후 베이징행, ‘남조선에서 온 유학생’ 환대

    • 주변국 평등하게 대하지 않는 中華, 과거-현재-미래 걸림돌

    • 관롱집단, 중국공산당 집단지도체제 이해 키워드

    • 군주민수(君舟民水), 중국공산당 지도부가 새겨야 할 구절

    • ‘지속성과 변화’를 핵심축으로 中 균형 있게 바라봐야

    이원엽 베이징대 동북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지호영 기자

    이원엽 베이징대 동북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지호영 기자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한중수교 협정에 서명했다. 1988년 2월 출범한 노태우 정부가 북방정책의 화룡점정이라 할 수 있는 중국과 수교 협정을 추진한 결과였다. 양국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지속된 적대 관계를 공식 청산하고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올해로 수교 33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는 암초에 부딪혔다. 대표적인 것이 한국인의 부정적 중국관이다. 2025년 2월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실시한 주변국 인식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부정적’이라는 답변은 71.5%로 북한(79%)에 버금가는 수치를 기록했다. 부정 인식 증가 추세도 가파르다. 2015년 조사에선 부정적이라는 답변은 16.1%였는데, 2020년 조사에서 40.1%로 치솟았고, 2025년엔 31.4%포인트 급등했다. 한국의 대(對)중국 감정은 비호감을 넘어 혐오로 바뀌는 추세다. 

    친중·반중 넘어 지중(知中) 강조하는 학자

    이런 가운데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외교·안보, 경제·무역 관계가 밀접한 중국과의 관계에서 친중(親中)·반중(反中)의 이분법 구도를 넘어서 지중(知中)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있다. 1세대 중국 유학파 이원엽(59) 교수다. 그는 한중수교 이듬해인 1993년 혈혈단신 중국으로 떠나 베이징대에서 역사학 전공으로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베이징연합대·시난대(西南大)·다롄외국어대(大連外國語大)·산둥대(山東大)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서울대학 국제대학원 객원교수를 거쳐 베이징대 동북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연구·강의하고 있다. 베이징대 최우수 박사 논문 ‘중·미 양국의 한반도 정책 과정 연구’를 비롯해 ‘차이나 매뉴얼’ ‘역사의 플랫폼’ 등의 저서가 있다. 

    2025년 8월 중순, 서울 중구 명동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이원엽 교수를 만나 한중 관계, 한국인의 중국관, 중국의 현실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이 교수는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맺은 지 33년이 지났지만 중국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는 것을 지적하며 “친중, 혐중을 넘어 객관적으로 중국, 중국인을 바라보는 고유 관점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한중수교 이듬해인 1993년 중국 유학을 떠났다. 특별한 이유가 있었나. 중국 등은 이른바 적성국가로 분류됐을 텐데.



    “중학생 시절 역사를 공부하면서 실크로드, 만리장성 존재를 인식했다. 인상적이었다. 당시 ‘중공(中共)’이라 부르던 미수교 국가 ‘중국’이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언젠가 중국에 가서 공부하고 싶다’는 꿈을 꿨다. 결정적 계기는 1990년 일본 도쿄 유학이다. 어학연수반 동료 중국인과 막역한 사이가 됐다. 이를 통해 꿈을 구체화했다. 시대 변화와 한국에 미칠 영향을 직접 체험해 보고 싶기도 했다. 한중수교는 냉전 종식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다. 동북아시아 신질서 구축을 알리는 서막이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국가가 개혁·개방을 통해 변화하는 과정을 직접 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학문적 호기심이 발동했다. 한반도와 역사적 유대를 맺어온 중국 역사를 현지에서 제대로 공부해 보고자 했다. 미지의 세계 중국 수도 한복판으로 가게 됐다.”

    학부에서 중국 고대사, 대학원에서 근·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학을 전공한 계기는?

    “당(唐) 태종 이세민(李世民)의 치세를 다룬 ‘신당서(新唐書)’ ‘위징전(魏徵傳)’에는 ‘구리를 거울 삼으면 옷차림을 바로잡을 수 있고, 역사를 거울 삼으면 역대 흥망성쇠를 알 수 있으며, 사람을 거울 삼으면 자신의 득실을 깨달을 수 있다’는 구절이 있다. 지난날 한중 관계 근간을 이해하기 위해서 학부에서는 중국 고대사, 석사과정은 동북아시아 근대사, 박사과정은 동북아시아 현대사를 공부했다.”

    당시 베이징에서 한국인은 거의 없었을 텐데 중국인의 태도는 어떠했나.

    “1993년 베이징대 학부 전체에 한국인이 20명 미만이었다. 대학원생, 언어연수생을 포함해도 전체가 50명 정도였다. 한국인 유학생 자체가 희소했다. 중국 교수·학생은 ‘남조선 한성(漢城)에서 온 유학생’이라면서 환대했다. 호의와 호기심이 뒤섞인 태도였다. 유학생에게 관심을 가지고 배려했다. 고도 경제성장을 구가하며 민주화도 달성한 한국의 발전상에 궁금증을 가지고 자주 질문했다.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한국 정치제도에 관심이 높았다.” 

    박사학위 취득 후 중국 각지 대학·연구소에서 연구·강의를 했다. 

    “베이징연합대 역사학과 부교수를 시작으로 충칭(重慶)시, 랴오닝(遼寧)성, 산시(山西)성, 산둥(山東)성 소재 대학에서 강의하며 다양한 중국인을 접촉했다. 대학 학부 동기는 1970년대생, 이후 가르친 학생은 1980년대생, 1990년대생이다. 지역별로 세대별로 다른 중국인과 만나고 대화하면서 오해나 선입견을 없앨 수 있었던 것은 귀중한 경험이다. 중국인의 가치관을 존중하게 됐고, 한중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산이 됐다. 지피지기의 중요성을 체득한 셈이다.”

    북한이 단초 제공, 中 2000년대 동북공정 본격화

    수교 33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는 암초에 부딪힌 듯하다. 기저에는 ‘중국은 주변국가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한국인의 인식이 자리한다. 역대 중화제국은 주변국을 평등한 관계로 대우한 경험이 없다. ‘베스트팔렌조약’ 체결 후 주권을 지닌 근대 국민국가 개념이 형성된 유럽과 다른 경험이다. 

    “지적에 동의한다. 중화(中華)사상에 입각한 중국은 주변국과 평등한 관계를 수립한 적이 없다. 유럽과 다른 양상이다. 마지막 봉건왕조 청(淸)은 강옹건성세(康雍乾盛世)라 불리는 역사상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강희제-옹정제-건륭제로 이어지는, 135년에 걸친 유례없는 사례다. 그중 건륭제 80세 생일 축하를 명분으로 1792년 영국 국왕 조지 3세는 조지 매카트니(George Macartney)를 대표로 한 특사단을 파견했다. 청 조정은 이들을 조공국 사절단으로 취급했다. ‘영국 조공사절단’ 깃발을 들게 하고 3번 절하고 9번 고개를 조아리는 삼궤구고두례(三跪九叩頭禮)를 요구했다. 영국 국왕 친서에 답신으로 건륭제가 보낸 칙서의 첫 문장은 ‘천조부유사해(天朝扶有四海)’로 시작한다. ‘천조(중국)는 사해(전 세계)를 다스린다’는 뜻으로 중국이 세계 패권국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당시 대영제국도 패권국이었음에도 황혼기에 접어든 청은 이를 자각하지 못하고 오만했다. 영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대등한 경제통상 관계를 수립했다면 치욕을 겪지 않았을지 모른다. 불과 50년 만인 1840년 제1차 아편전쟁, 1856년 제2차 아편전쟁에서 패전하고 홍콩을 할양해야 했다. 이후 서구 열강과 신흥 제국 일본의 침략으로 중국은 반(半)식민지 혹은 차(次)식민지로 전락했다. 역사의 교훈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중화사상에 입각한 우월주의는 주변국과 갈등을 빚는 요인이다. 주권 평등 원칙을 존중하고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주변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최고 지도부가 지난해 7월 중국 베이징 징시호텔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최고 지도부가 지난해 7월 중국 베이징 징시호텔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신화/뉴시스

    서해 불법 구조물 설치, 역사 왜곡 등이 한중 관계 갈등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고구려사를 중국 변방사로 편입한 동북공정의 단초는 북한이 제공했다. 1970년대 문화대혁명 시기 김일성이 중국에 동북3성이 고구려 옛 강역임을 들어 반환을 요청했다. 이후 중국은 2000년대 들어 동북공정을 시작했다. 한반도 통일 후 동북3성 거주 조선족이 합쳐 통일국가를 건설할 것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고구려사는 중국사의 일부’라고 공식 교육한다. 현대사에서는 한국 독립운동사를 중국 항일투쟁사에 흡수하려고도 한다. 한국 독립운동사를 중국은 존중해야 한다.”

    중국이 오만하게 비치는 원인으로 세계 2위 규모 경제대국이자 세계 5대 핵무기 보유국이 상징하는 군사 강국이라는 점을 들수 있다. 미국과 더불어 ‘G2’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이 강대국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중국공산당 1당 지배체제가 현대사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룬 것은 사실이다. 근원적 모순과 한계도 존재한다. 비(非)자유민주주의 체제 근본 문제는 자유의 제한이다. 언론·출판·결사의 자유를 보장하지 않는다. 소수민족 탄압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경제적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다. 지역별·세대별 빈부격차가 심화하고 있다. 이른바 ‘중국특색 사회주의’하에서 국유기업 비효율성과 관료 부패 문제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2025년 6월 기준 당원 1억 명을 돌파한 세계 최대 정당 중국공산당은 실핏줄처럼 뻗은 조직력을 자랑하지만 취약점을 지녔다. 다 같이 평등한 이른바 대동(大同) 사회를 외치지만 중국공산당 내에 또 다른 계급사회를 만들었다. ‘얼다이(二代)’로 불리는 특권계급이다. 중국공산당 간부, 고위 관료, 재벌, 혁명 원로 후손들이 부와 권력을 세습한 홍색귀족(紅色貴族)이 등장했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에는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구호가 등장한다. 혁명 이후 돼지들이 권력을 잡은 후 ‘어떤 동물은 다른 동물들보다 더 평등하다’로 바뀐다.”

    핵심 통치 권력 ‘관롱집단’, 오늘날 7인 집단지도체제로 

    중국공산당 1당 지배체제를 ‘블랙박스’에 비유한다. 이러한 한계 속에서 중국 체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이원엽 교수는 현대 중국 정치 시스템을 이해하는 키워드로 ‘관롱집단(關隴集團)’을 제시했다. 역사학자 천인커(陳寅恪)가 제시한 개념으로 한나라 멸망 후 삼국시대 이후 위진 통일기를 거쳐 전개된 분열기인 남북조시대 서위(西魏)·북주(北周)에서 통일 왕조 수·당에 이르기까지 관중(關中·산시성)과 농서(隴西·간쑤성) 지역을 기반으로 한 문벌 귀족이다. 유목민족 선비(鮮卑)족과 북방 거주 한족의 호한혼혈(胡漢混血) 혈족으로 문무 합일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북주 8주국(八柱國) 12대장군(十二大將軍)이 대표적이다. 수 왕조 양(楊)씨, 당 왕조 이(李)씨가 모두 연유했다. 

    “관롱집단은 북위(北魏)부터 수·당에 이르기까지 핵심 역할을 했다. 혼맥을 통해 권력을 유지·강화한 것도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수 왕실과 당 왕실은 이종사촌 간이다. 당 후기 관롱집단은 과거 시험 출신자들이 요직에 등용되면서 영향력을 상실했다. 중국공산당이 국가를 통치하는 당정(黨政)국가 중화인민공화국은 7인의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집단지도체제다. 1978년 덩샤오핑 집권 후 집단지도체제를 구축한 후 현재까지 이어진다. 장쩌민(江澤民)이 중국공산당 총서기를 ‘동급자(정치국 상무위원) 중 1인자’로 공식화한 후 지속성에서 불안 요소를 드러냈다. 2018년 시진핑(習近平)은 총서기 임기 제한을 폐지하면서 집단지도체제에 균열을 낸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7인 집단지도체제는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본다.”

    ‘루머’에 가까운 시진핑 실각설, 군부 쿠데타설이 해외 반중 인사들을 중심으로 확산했다. 한국에도 영향을 끼쳤다. 한국인의 중국관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는데.

    “친중을 넘어 숭중(崇中)하거나 반중을 넘어 혐중(嫌中)으로 번지는 양상은 우려스럽다. 숭중이나 혐중이나 ‘중국공산당은 전지전능하다’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는 듯하다. 실상은 다르다. 이분법적 사고는 객관적으로 중국을 인식하는 데 방해된다. 지중(知中) 혹은 지화(知華) 시각을 가져야 한다. 지화파 숫자가 많을수록 양국 관계의 미래가 밝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이 중국을 왜곡된 시선으로 보는 원인이 서구의 시선이 투영됐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자유민주주의 시각에서 중국공산당 전제주의 체제를 바라보고 왜곡도 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중국관이 왜곡된 원인은 복합적이다. 서구 시선이 투영된 측면이 존재한다는 지적에 동의한다. 냉전시대부터 서구는 중국에 비판적 시각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는 한국에 영향을 끼친다.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와 인민대회당만 바라보지 말고 서민의 삶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다수 중국인의 삶은 한국인과 다르지 않다. 월급 받아서 주택 융자금 상환하고 자동차 할부금 내고 자녀 교육을 하며 노후 걱정하며 살아간다. 중국공산당과 정치 시스템에 편중된 시각을 버리고 역사·문화·사회 시스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면서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 신화/뉴시스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 신화/뉴시스

    체제 모순, 사회 불안, 미중 갈등 앞에 선 中

    역사학자 시각에서 중국, 중국인을 이해하는 출발점은 무엇이라 보나.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성과 변화’를 핵심축으로 균형 있게 바라보는 것이다. 지속성 관점에서 중화주의(中華主義)의 변화와 유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화이질서(華夷秩序)의 제도적 의미 파악이 중요하다. 분열과 혼란기도 있지만 중국은 통일제국을 유지해 오고 있다. 중앙집권제, 관료제, 유교 등이 결합돼 있다. 변화 관점에서 나관중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첫 장의 ‘분구필합 합구필분(分久必合, 合久必分)’을 이해해야 한다. ‘나뉜 지 오래되면 반드시 합쳐지고, 합친 지 오래되면 반드시 나뉘게 된다’는 의미다. 진·한나라 이후 60개 이상 왕조가 명멸했다. 그중 200년 이상 존속한 왕조는 청(296년), 당(289년), 명(276년), 전한(209년), 요(209년) 5개 정도다. 300년 이상 존속한 왕조는 없다. 46개 왕조는 짧게는 10년(후진), 길게는 97년(원)까지 존속했다. 평균수명은 60년 정도다. 왕조 교체는 반복되는 현상이다. 지속성과 변화를 균형 있게 바라보면서 객관적·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중국의 미래도 조망할 수 있다.”

    사회주의 정치 시스템에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융합한 중국의 미래는 어떠할까.

    “1978년 시작된 중국특색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최대 위기는 1989년 발발한 6·4 톈안먼(天安門) 사건이다. 1991년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이 붕괴했다. 중국 내부에서 개혁·개방정책 논란이 심화했다. 성자성사(姓資姓社), 즉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 논쟁으로 번졌다. 1992년 덩샤오핑은 중국 남부 시찰 중 행한 이른바 남순강화(南巡講話) 중 ‘자본주의에도 계획이 있고, 사회주의에도 시장이 있다(資本主義也有計劃, 社會主義也有市場)’로 이념 논쟁을 불식했다. 이후 장쩌민-후진타오(胡錦濤)-시진핑 체제로 이어진다. 사회주의 정치 시스템에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융합한 중국의 미래는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확실성을 수반한다. 경제성장, 기술혁신을 통해 강대국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지할 점은 체제 모순 심화, 사회 불안 증가, 미중 갈등 심화 등 내외적 도전 요인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이다. 역사학자로서 다음을 강조하고 싶다. 당 태종의 통치 철학이 담긴 ‘정관정요(貞觀政要)’에 등장하는 ‘군주민수(君舟民水)’다. 원래 ‘순자(荀子)’에 등장하는 ‘수능재주 역능복주(水能載舟, 亦能覆舟·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지만 배를 뒤엎을 수도 있다)’에서 나온 것으로 백성을 물에, 군주를 배에 비유했다. 현대 중국을 통치하는 중국공산당 지도부가 새겨야 할 구절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