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논란 의식? 국토차관 일정 취소…이찬진 “자녀에게 양도”

입력 2025.10.22 (21:11) 수정 2025.10.22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고위 인사들의 행태와 발언에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비판을 수습하겠단 의지도 딱히 보이질 않습니다.

자신은 갭투자를 해놓고 나중에 집사라고 한 국토부 차관은 오늘(22일) 공개 일정을 취소했고, 강남에 아파트 두 채를 갖고 있는 금감원장은 한 채를 자녀에게 넘겨서 정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세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상경 국토부 차관은 지난해, 30억 원이 넘는 성남 분당의 아파트를 배우자가 전세 낀 매매, 갭투자 한 걸로 드러났습니다.

"입주 시기가 맞지 않아 불가피"했단 해명에도 비판은 사그라지지 않습니다.

10·15 대책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갭투자가 원천 차단됐는데 정작 당사자는 갭투자로 집을 샀단 지적입니다.

[이상경/국토교통부 1차관/지난 15일 : "(이번 정책으로) 고가주택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봤을 때는 시장 안정에 꽤 크게 기여하지 않을까.."]

이 차관은 최근 "집값이 떨어지고, 소득이 쌓인 후 집을 사라"는 발언으로도 구설에 올랐습니다.

여론을 의식한 듯 당초 오늘 서울 공공주택 공급 지역을 방문하려던 일정을 돌연 취소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음 주 국정감사를 준비하느라 일정을 조정했다"며 "국감 때 질의가 나오면 설명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강남 다주택자' 논란에 직면했습니다.

이 원장은 "송구하다"며 한두 달 안에 정리하겠다면서도 자녀에게 넘기겠단 뜻을 밝혔습니다.

[이찬진/금융감독원장/어제 : "제 자녀에게 양도할 겁니다. 국민들의 법 감정에 잣대에 맞지 않다는 건 받아들이겠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이억원 금융위원장 등이 서울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를 소유한 사실도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 정책과 맞물려 고위공직자들의 부동산 보유 실태에 대해 '이중적'이라는 여론의 비판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영상편집:나주희/그래픽:채상우 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